정치타임

정치타임

"정부가 무능하다" 박성태 실장, 신랄한 비판

 박성태 사람과사회연구소 연구실장은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에 대해 '정부의 무능'이라며 심각한 비판을 쏟아냈다. 그는 7월 18일 CBS 박재홍의 한판승부에서 이 의혹이 해결되지 않는 상황을 지적하며, 특히 부산엑스포 실패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를 언급하며 정부의 역량 부족을 비판했다.

 

박 실장은 "여사가 300만 원 이상의 물품을 받은 사실은 중요한 문제였고, 2023년 말부터 거대한 국가적 이슈로 떠올랐다"며, 이에 대한 정리된 입장과 기록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진석 실장이 기록물을 포장 그대로 보관 중이라고 주장한 사례를 예로 들며 혼란스러운 입장 변화를 비판했다.

 

박 실장은 "이런 중요한 문제에서 맞춰야 할 멘트가 계속 바뀌고 있다"며, 정부의 처음부터 명확한 입장과 솔루션이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사용 여부나 포장지 사용 여부에 대한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포장재를 재사용하거나 버릴 수 있었어야 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박 실장은 "부산엑스포 실패 이후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서 그의 예측이 빗나갔다고 말한 것을 기억한다"며 "당시 기업 관계자들은 실패를 예상했으나 대통령의 담화는 예측보다는 실수로 표현되었다"고 비판했다. 이는 대통령실이 어려움을 예상하지 않고 뛰어들었다는 인식을 불러일으킨다.

 

박 실장은 "대통령실의 인재들이 진정으로 뛰어난 사람들인가에 대한 의문이 든다"며 "이러한 일관성 없는 무능이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한라산 별빛 아래서 낭만 한 스푼! 제주, '세계유산축전'으로 밤까지 즐긴다

약 3주간 개최하며 세계자연유산 제주의 진면목을 국내외에 알린다. 이번 축전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제주의 독특하고 아름다운 자연유산을 직접 체험하고 깊이 이해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축전의 서막은 개막 하루 전인 7월 3일, 한라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세계유산 글로벌 포럼'이 장식한다. 이 포럼에는 7개국 이상의 세계유산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제주의 자연유산 보존과 활용 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펼치며, 세계유산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미래 방향성을 모색하는 지식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대망의 개막식과 실경 공연은 7월 4일 오후 7시 30분, 제주의 상징이자 세계자연유산인 성산일출봉에서 웅장하게 펼쳐진다. 기념식은 전통 마당극 형식으로 문을 열어 관객들에게 흥미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며, 이어지는 미디어아트 공연은 성산일출봉의 거대한 자연 경관을 배경 삼아 제주의 탄생 신화와 자연유산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이야기를 환상적인 빛과 영상으로 풀어낼 예정이다. 이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제주의 역사와 자연이 빚어낸 감동적인 서사를 온몸으로 느끼는 몰입형 경험이 될 것이다.이번 축전은 일반인의 접근이 제한되었던 제주의 신비로운 자연유산을 직접 탐험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들을 대거 선보인다. 이미 공개된 한라산 구상나무 대표목 공개와 더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샘인 '백록샘' 탐방객 모집은 그 자체로 큰 화제를 모았다. 특히 평소에는 허용되지 않는 야간 시간에 한라산의 장엄한 풍경과 밤하늘의 별들을 감상할 수 있는 '별빛산행'은 참가자들에게 잊을 수 없는 추억을 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더욱이, 평소 일반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는 김녕굴, 벵뒤굴 등 미지의 용암동굴을 전문가의 안내를 받아 탐험하는 '세계자연유산 특별탐험대' 프로그램은 이번 축전의 백미로 꼽힌다. 지구의 신비로운 생성 과정을 고스란히 간직한 용암동굴 속으로 들어가 보는 경험은 참가자들에게 제주의 지질학적 가치를 생생하게 전달하며, 자연유산 보존의 중요성을 일깨워 줄 것이다.제주도 관계자는 "이번 세계유산축전은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유산을 전 세계에 알리고, 방문객들에게는 평생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자연유산의 가치를 오감으로 느끼고 공감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제주의 위상을 더욱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번 축전은 제주의 자연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모범적인 사례가 될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관광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축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