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사회/복지

해파리 인적 피해 5년간 1만 건 ↑ 발생..독성 강한 '노무라입깃해파리' 최다

 최근 5년간 해파리로 인한 인적 피해가 1만 건 이상 발생하며, 특히 여름철 피서객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해파리 출현 시기가 빨라지고 해수욕장에서 빈번히 발견되는 이유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양 온도 상승 때문이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정희용 의원이 해양수산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 7월까지 해파리로 인한 인적 피해 건수는 총 1만 228건으로 집계됐다. 피해 지역별로는 제주가 2220건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 경북·강원·경남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중상자나 사망자는 없었고, 물적 피해도 없었다.

 

최근 5년간 해파리 위기특보는 총 22회 발령됐으며, 경남이 10회로 가장 많았다. 올해는 7월 말까지 총 6회 발령되었다.

 

해파리 중 노무라입깃해파리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독성이 강해 피서객에게 큰 위험을 초래했다. 최근 강원 동해안에서도 해파리 쏘임 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정희용 의원은 해파리 출몰 시기가 빨라지며 피서객과 어민들이 안전사고에 노출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해역별 모니터링 강화와 해수욕장 유입 방지막 설치 등 사전 예방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피해 현황을 철저히 파악하고 해수부와 긴밀히 협력해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1만 1172개 글자의 비밀, 드디어 풀렸다…'말랑통통 마을'에 숨겨진 한글 창제 원리

람객을 위해 한글 창제 원리를 기반으로 한 신규 캐릭터 '말랑통통 마을의 비밀'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캐릭터는 단순한 그림을 넘어, 훈민정음 해례본에 담긴 한글의 탄생 원리와 오행(五行) 사상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흥미롭게 풀어내기 위해 탄생했다.한글은 세계적으로도 그 과학성을 인정받는 문자로, 기본 자음 다섯 글자(ㄱ, ㄴ, ㅁ, ㅅ, ㅇ)와 천(●), 지(ㅡ), 인(ㅣ)을 형상화한 기본 모음 세 글자를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여기에 획을 더하거나 글자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소리의 글자를 무한히 확장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자음 14자와 모음 10자를 조합하면 약 1만 1172가지에 달하는 글자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한글이 지닌 엄청난 확장성과 체계성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국립한글박물관은 바로 이 원리를 캐릭터 세계관에 그대로 녹여냈다. 한글의 무한한 확장성이 마치 어린이들의 무한한 성장 가능성과 닮았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본 자음과 모음을 귀여운 '말랑요정'으로 형상화한 것이다.이번 캐릭터 개발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과 '반다비'를 탄생시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매스씨앤지가 맡아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한층 끌어올렸다. 이들의 손에서 태어난 '말랑요정'들은 이름처럼 말랑하고 친근한 이미지로 디자인되어, 아이들이 보자마자 호기심을 느끼고 다가갈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아이들은 이 자음, 모음 요정들이 서로 모여 'ㅋ'이나 'ㅏ'와 같은 새로운 글자로 변신하고, 나아가 '나무', '하늘' 같은 단어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놀이처럼 체험하게 된다. 이를 통해 딱딱한 이론 학습이 아닌, 즐거운 놀이 과정 속에서 한글의 구조와 과학적 원리를 자연스럽게 체득하고 그 가치를 깨닫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국립한글박물관은 '말랑통통' 캐릭터를 일회성으로 선보이는 데 그치지 않고, 앞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계획을 밝혔다. 캐릭터를 활용한 귀여운 기념품을 제작하여 박물관을 찾는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선사하는 한편, 증강현실(AR)과 같은 첨단 기술과 접목하여 더욱 실감 나고 상호작용이 가능한 체험형 교육 콘텐츠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이 새로운 캐릭터들은 박물관 내 '한글놀이터 세종관' 전시에서 가장 먼저 어린이 관람객들을 만날 준비를 하고 있다.강정원 국립한글박물관장은 "이번 캐릭터 개발을 통해 어린이와 가족 단위 방문객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이고, 한글의 과학적 원리와 철학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