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사회/복지

잊힌 여성 광부를 조명하다

 다큐멘터리 ‘광부엄마’는 태백 장성광업소 폐광을 앞두고 여성 광부인 선탄부를 조명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그동안 남성 광부에 대한 보도는 많았지만, 여성 광부의 이야기는 상대적으로 부족해 의미 있는 작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은퇴한 여성 광부 김매화 할머니는 진폐 질환을 앓고 있지만, 장해등급을 받지 못한 채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여성 광부가 산재 등급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남성 광부보다 더 긴 근무 기간이 필요하며, 김 할머니는 이를 충족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76년부터 선탄부로 일한 김 할머니는 1970년대 많은 광부들이 목숨을 잃은 시기에 여성들이 광업소로 유입된 배경을 설명했다. 정선에서는 (사)중앙진폐재활협회 이희탁 회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여성 광부들의 희생과 노고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다큐멘터리의 내레이션으로 여성 광부에서 전업한 전옥화 시인의 시를 활용하기로 결정했으며, 그의 작품은 선탄부의 삶을 잘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제작 과정에서 여러 기술적 문제와 정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다큐멘터리는 불합리한 진폐법과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여성 광부들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전옥화 시인의 시구처럼, 여성 광부들의 존재가 오랫동안 기억된다면 이 다큐멘터리는 그 역할을 충분히 다한 것으로 평가될 것이다.

 

한라산 별빛 아래서 낭만 한 스푼! 제주, '세계유산축전'으로 밤까지 즐긴다

약 3주간 개최하며 세계자연유산 제주의 진면목을 국내외에 알린다. 이번 축전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제주의 독특하고 아름다운 자연유산을 직접 체험하고 깊이 이해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축전의 서막은 개막 하루 전인 7월 3일, 한라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세계유산 글로벌 포럼'이 장식한다. 이 포럼에는 7개국 이상의 세계유산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제주의 자연유산 보존과 활용 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펼치며, 세계유산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미래 방향성을 모색하는 지식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대망의 개막식과 실경 공연은 7월 4일 오후 7시 30분, 제주의 상징이자 세계자연유산인 성산일출봉에서 웅장하게 펼쳐진다. 기념식은 전통 마당극 형식으로 문을 열어 관객들에게 흥미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며, 이어지는 미디어아트 공연은 성산일출봉의 거대한 자연 경관을 배경 삼아 제주의 탄생 신화와 자연유산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이야기를 환상적인 빛과 영상으로 풀어낼 예정이다. 이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제주의 역사와 자연이 빚어낸 감동적인 서사를 온몸으로 느끼는 몰입형 경험이 될 것이다.이번 축전은 일반인의 접근이 제한되었던 제주의 신비로운 자연유산을 직접 탐험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들을 대거 선보인다. 이미 공개된 한라산 구상나무 대표목 공개와 더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샘인 '백록샘' 탐방객 모집은 그 자체로 큰 화제를 모았다. 특히 평소에는 허용되지 않는 야간 시간에 한라산의 장엄한 풍경과 밤하늘의 별들을 감상할 수 있는 '별빛산행'은 참가자들에게 잊을 수 없는 추억을 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더욱이, 평소 일반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는 김녕굴, 벵뒤굴 등 미지의 용암동굴을 전문가의 안내를 받아 탐험하는 '세계자연유산 특별탐험대' 프로그램은 이번 축전의 백미로 꼽힌다. 지구의 신비로운 생성 과정을 고스란히 간직한 용암동굴 속으로 들어가 보는 경험은 참가자들에게 제주의 지질학적 가치를 생생하게 전달하며, 자연유산 보존의 중요성을 일깨워 줄 것이다.제주도 관계자는 "이번 세계유산축전은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유산을 전 세계에 알리고, 방문객들에게는 평생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자연유산의 가치를 오감으로 느끼고 공감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제주의 위상을 더욱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번 축전은 제주의 자연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모범적인 사례가 될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관광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축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