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사회/복지

“이직 원인 1위는 '이것'” 직장인 이직 고민, 그 속사정은?

 이직은 많은 직장인들이 고민하는 문제 중 하나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이 이직을 고려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가 전국 만 20~69세 남녀 직장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직장인의 이직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가장 큰 이유는 ‘낮은 급여’(52.5%)로 나타났다. 이어 업무 스트레스(44.4%), 워라밸(27.0%), 조직문화(23.4%), 통근 거리(21.2%), 경력 개발 기회 부족(14.8%) 등이 뒤를 이었다.

 

이직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역시 급여(44.8%)가 1순위로 꼽혔다. 다만 연령대별로 두 번째로 중요한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20대는 급여(43.8%) 다음으로 통근 거리(10.7%)와 워라밸(8.7%)을 중요하게 여겼다. 30대와 40대는 각각 47.2%, 47.7%로 급여를 가장 중요하게 꼽았지만, 워라밸(각각 14.2%, 10.5%)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50대는 급여(43.3%) 외에도 워라밸(6.9%), 기업문화(6.7%), 통근 거리(6.2%)를 비슷한 수준으로 중요하게 생각했고, 60대는 급여(41.8%)에 이어 기업문화(12.8%)를 중요한 요인으로 선택했다.

 

이직을 고민하는 직장인들이 가장 크게 느끼는 장애물은 ‘새로운 직장에 적응해야 하는 부담감(28.2%)’이었다. 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불안정한 고용 시장(27.6%)’도 주요 장애물로 꼽혔다. 이어 경쟁 심화로 인한 취업 어려움(22.0%), 이직 프로세스 스트레스(13.9%), 구직 활동 시간 부족(7.0%) 등이 뒤를 이었다.

 

성별에 따라 이직 장애물에 대한 인식 차이도 뚜렷했다. 남성 응답자는 ‘불안정한 고용 시장(30.5%)’을 가장 큰 장애물로 꼽았다. 이는 경기 침체와 기업 구조조정으로 인해 안정된 직장에 대한 압박이 더 크게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여성 응답자는 ‘새 직장에 적응해야 하는 부담감(29.2%)’을 1순위로 선택했다. 이는 새로운 직장 문화와 시스템에 적응해야 하는 심리적 부담이 여성 직장인들에게 더 크게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한편, 이직 의향에 대한 질문에서는 ‘아직 이직 의사가 없다(47.2%)’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1~2년 후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20.1%)’, ‘1년 이내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16.4%)’, ‘6개월 이내에 이직 계획이 있다(16.3%)’ 순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이직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더위도 잊게 하는 고원도시 태백, 신비한 물과 불의 향연 펼쳐져

10회째를 맞으며, ‘태백, 사람과 물을 연결하다!’라는 주제로 대한민국의 대표 강인 한강과 낙동강의 발원지인 태백의 자연과 문화를 축제에 담아냈다. 특히 올해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경보가 발령된 가운데도, 태백이 고원도시 특유의 청량한 날씨 덕분에 ‘더위를 피해 찾는 축제 도시’로 주목받으며 전국 각지에서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축제의 중심 무대인 황지연못 일대는 30일 오후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낙화놀이’ 불꽃놀이가 펼쳐져 축제의 분위기를 한층 끌어올렸다. 낙화놀이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불꽃놀이로, 화려하면서도 신비로운 광경으로 많은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이외에도 어린이 물놀이장과 전통놀이 체험, 족욕체험, 수맥 페스티벌 등 다양한 상설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축제장을 찾은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풍성한 즐거움을 제공하고 있다. 야시장 또한 다채로운 먹거리와 쇼핑 공간으로 축제의 활기를 더했다.축제는 단순한 지역 행사에 머무르지 않고 다채로운 공연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적 깊이와 여름밤의 낭만을 선사한다. 31일에는 양하영 밴드, 녹색지대, 자전거를 탄 풍경 등 대중에게 사랑받는 뮤지션들이 출연하는 ‘8090추억의 콘서트’가 개최되어, 한여름 밤 방문객들에게 추억과 감동의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이어 8월 1일부터 2일까지는 ‘선선 워터나잇’이라는 주제로 물과 함께하는 DJ 공연과 댄스 무대가 이어지며 젊은 층의 관심도 집중시킬 계획이다. 축제의 대미는 8월 3일 ‘산골음악회’가 장식한다. 윤도현, 황가람 등 인기 뮤지션들이 출연해 수준 높은 라이브 공연으로 축제의 마무리를 화려하게 장식할 예정이다. 이처럼 공연 프로그램은 축제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잡아 방문객들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이번 축제는 태백시문화재단이 주관하며, 개막 첫날인 26일에는 태백역에서 황지연못까지 지역 8개 동 주민들이 참여한 거리 퍼레이드와 공연이 펼쳐져 시민들의 열띤 호응 속에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퍼레이드는 태백 지역 공동체의 결속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방문객들에게 태백의 문화와 역사를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태백시문화재단 관계자는 “이번 축제가 폭염 속에서도 태백의 청량한 기후와 함께 많은 사람들에게 힐링과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며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다양한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한강과 낙동강이라는 두 거대한 강의 시작점에서 펼쳐지는 이번 ‘한강·낙동강 발원지 축제’는 태백의 자연과 전통문화, 그리고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진 복합 문화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시원한 고원의 바람과 함께 전통 불꽃놀이부터 음악 공연, 체험 프로그램까지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로 올여름 무더위를 잊게 만들고 있는 이 축제는, 태백을 방문하는 이들에게 특별한 여름 추억을 선사하며 전국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