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Global

"500㎏이 하늘에서 '쿵'..케냐 마을 혼비백산

지난달 30일, 케냐 남부의 마쿠에니 카운티에 있는 무쿠쿠 마을에 500㎏에 달하는 우주쓰레기가 떨어져 관심을 모았다. 이 물체는 지름 약 2.4m의 금속 고리 형태로, 로켓 발사체에서 분리된 것으로 보인다. 다행히도 이 물체는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에 떨어져 인명 피해는 없었다.

 

케냐 우주국(KSA)은 해당 물체가 대기권에 진입할 때 연소하거나,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에 떨어지도록 설계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KSA는 물체의 파편을 회수하고 추가 조사를 진행 중이다. 공공안전에는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우주쓰레기 추락 사고는 최근 들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위성 발사와 우주 탐사가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대기권에 진입하는 우주쓰레기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22년에는 스페이스X의 드래건 캡슐 일부가 호주 남부의 한 양 농장에 떨어졌고, 지난해 2월에는 2.3톤에 달하는 지구관측위성 ERS-2가 대기권에 재진입해 추락 위험을 일으켰다. 또한 3월에는 미국 플로리다주 네이플스에 우주쓰레기로 추정되는 물체가 떨어졌고, 집주인은 이를 이유로 NASA에 소송을 제기했다. 

 

6월에는 중국이 발사한 로켓에서 떨어져 나온 물체가 중국 남서부 마을에 추락해 주민들이 대피하는 소동을 일으킨 바 있다. 이처럼 우주쓰레기는 점차 지구의 여러 지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고와 위험이 우려되고 있다.

 

2022년 11월,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드래건 캡슐 일부가 호주 남부의 한 양 농장에 떨어져 큰 관심을 모았다. 다행히 이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우주쓰레기의 위험성이 다시 한 번 부각된 사건이었다.

 

스페이스X의 드래건 캡슐은 우주선으로, 국제우주정거장(ISS)과의 화물 운송에 주로 사용된다. 해당 캡슐은 지구로 귀환하는 과정에서 일부가 분리되었고, 이 잔해물이 호주 남부의 넓은 양 농장에 떨어진 것이다. 양 농장에 떨어진 물체는 크고 무거운 금속 조각들로, 당시 농장의 주인과 직원들은 큰 놀람을 감추지 못했다.

 

이 사고는 다행히 인명 피해 없이 마무리됐지만, 우주쓰레기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운 사례가 됐다. 우주에서 돌아오는 우주선이나 로켓, 그 잔해물들이 대기권을 지나 지구에 떨어지는 사고는 점차 빈번해지고 있다. 특히, 우주 산업의 발전과 함께 우주쓰레기 문제는 점점 더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우주쓰레기 문제는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지만, 아직 이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과 해결책은 부족한 상황이다. 우주 산업이 계속해서 발전하면서, 우주쓰레기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각국은 이에 대한 안전 규제를 강화하고, 우주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더욱 힘써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주쓰레기가 지구로 추락하는 사고가 늘어날수록, 우주 비행 안전과 인명 보호를 위한 기술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주쓰레기 문제는 단지 환경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인류의 안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인 만큼, 국제적인 협력과 조치가 필요할 것이다.

 

'4천만의 추억 사라진다' 롯데월드 번지드롭·회전그네, 운행 종료

두 어트랙션은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번지드롭’은 2000년 7월 롯데월드 어드벤처가 35억원을 들여 새롭게 선보인 드롭형 어트랙션이다. 탑승객을 32m의 높이까지 끌어올린 후 자유낙하를 하며 스릴 넘치는 경험을 선사했다. 최고 시속 72km의 속도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는 이 어트랙션은 개장 당시 실내에 위치하여 유리돔 천장에 닿을 듯한 느낌을 제공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2006년에는 매직아일랜드로 자리를 옮겨 재오픈하며, ‘자이로드롭’, ‘자이로스윙’, ‘자이로스핀’ 등 다른 고공 스릴 어트랙션들과 함께 매직아일랜드를 고공 스릴 어트랙션의 성지로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회전그네’는 2002년 9월 매직아일랜드에 오픈하여 총 32개의 나뭇잎 모양 의자가 시속 50km로 빠르게 회전하는 방식으로 탑승객에게 하늘을 나는 기분을 선사했다. 의자가 최대 4.5m까지 올라가며 무중력 상태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매력을 가진 이 어트랙션은 22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다.두 어트랙션은 서로 다른 형태의 움직임을 가지고 있지만, 나란히 매직아일랜드에서 자주 함께 운행되며 많은 방문객들에게 즐거운 시간을 선사했다. 두 어트랙션의 운행은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대표하는 아이콘이 되었으며, 이곳을 방문한 많은 이들에게 기억에 남을 순간을 만들어주었다.‘번지드롭’은 1회 운행 시 32m 높이를 3회씩 왕복하는 방식으로 하루 평균 118회 운행되었고, 24년 동안 누적 운행 횟수는 약 103만 4천 회에 달했다. 누적 거리로는 약 10만㎞로, 이는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를 약 11,300번 쌓은 높이에 해당한다. ‘회전그네’는 1회 운행 시 약 2분 20초 동안 1.9㎞를 돌아가며 하루 평균 99회를 운행했다. 22년 동안의 누적 운행 횟수는 약 79만 5천 회였으며, 그 거리는 약 151만㎞에 달한다. 이 거리는 지구와 달을 두 번 왕복할 수 있는 거리로, 두 어트랙션이 얼마나 많은 방문객들에게 사랑받았는지를 보여준다.특히, ‘번지드롭’은 연간 평균 86만 명이 탑승했으며, 24년 동안의 누적 이용객 수는 약 2064만 명에 달한다. ‘회전그네’는 연간 평균 99만 명이 이용했으며, 22년 동안 누적 이용객 수는 2178만 명에 이른다. 이 두 어트랙션의 합산 이용객 수는 4242만 명으로, 이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인구보다 많은 수치다.이 두 어트랙션과 함께 롯데월드의 또 다른 인기 패밀리 어트랙션인 ‘머킹의 회전목마’도 2월 2일(일)부터 운영을 종료한다. 롯데월드 측은 이러한 어트랙션들의 마지막 운행을 기념하기 위해 ‘굿바이 매직 어트랙션’ 이벤트를 개최한다. 이 이벤트는 1월 13일부터 2월 2일까지 진행되며, 과거와 현재의 ‘번지드롭’과 ‘회전그네’와 함께 찍은 추억 인증샷을 SNS에 업로드한 참여자 중 20명을 선정해 소정의 선물을 증정한다. 또한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실내 어드벤처에 위치했던 ‘번지드롭’의 추억 인증샷을 업로드한 참가자 중 5명에게는 특별한 경품이 제공된다.롯데월드 어드벤처의 권오상 대표는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대표하는 어트랙션으로서, 수많은 손님들에게 짜릿한 경험을 선사하며 롯데월드의 위상을 높여왔다”며 “이제는 새로운 어트랙션들이 손님들에게 더욱 특별한 경험과 추억을 선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렇게 20여 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온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2월 2일을 끝으로 롯데월드의 역사 속으로 사라지지만, 그 추억은 영원히 많은 이들의 마음 속에 남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