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Global

중동 전문가가 밝힌 '예멘 후티반군의 최후'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기습 공격은 중동의 세력 구도를 완전히 뒤바꾸는 도화선이 되었다. 당시 하마스는 1200명의 이스라엘인을 살해하고 251명을 납치하는 충격적인 테러를 감행했다. 이란의 후원과 헤즈볼라의 지원을 등에 업은 하마스는 이스라엘과의 전면전을 자신했지만, 결과는 예상과 크게 달랐다.

 

하마스는 중동 전역에서 반이스라엘 봉기가 일어날 것이라 기대했다. 그러나 그들의 잔혹한 테러 방식은 오히려 아랍 국가들의 지지를 얻는데 실패했다. 이스라엘은 즉각적이고 강력한 반격에 나섰고, '저항의 축'으로 불리는 반이스라엘 세력들을 하나씩 제압해 나갔다.

 

2025년 초 현재, 하마스와 헤즈볼라는 사실상 와해 상태에 이르렀다. 이스라엘은 하마스의 이스마일 하니예와 야히야 신와르, 헤즈볼라의 하산 나스랄라와 하심 사피에딘 등 주요 지도자들을 차례로 제거했다. 시리아에서는 반군이 정권을 장악하자마자 이스라엘이 신속하게 군사시설의 80%를 파괴하며 이란과의 무기 공급선을 차단했다.

 

현재 이스라엘의 주요 타깃은 '홍해의 깡패'로 불리는 예멘의 후티반군이다. 후티반군은 지난해 300여 회에 달하는 미사일과 드론 공격을 감행했고, 12월에는 텔아비브 공격으로 16명의 부상자를 냈다. 이에 이스라엘은 예멘의 주요 군사시설을 폭격하며 전면전을 선포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둔 시점에서, 이스라엘은 후티반군에 대한 대대적인 공세를 준비 중이다. 다만 예멘과의 1600km 이상 떨어진 거리와 상대적으로 부족한 정보력이 작전 수행의 걸림돌로 지적된다.

 


이스라엘에게 진정한 위협은 이란이다. 21세기 중동 분쟁의 본질이 이란 및 연대조직과 이스라엘의 대결 구도로 변화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으로 이란 핵시설에 대한 군사적 조치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스라엘의 수교 협상이 주목받고 있다. 다만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 없이는 수교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또한 중국의 중재로 가까워진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의 관계도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튀르키예의 역할도 주목된다. 시리아 사태를 계기로 영향력 확대를 노리는 튀르키예는 이스라엘과의 잠재적 갈등 요인을 안고 있다. 그러나 국내 경제 문제와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이스라엘의 진정한 경쟁자가 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스라엘의 공세적 군사 행동을 두고 '전쟁에 미쳤다'는 비판도 있지만, 사방이 적으로 둘러싸인 이스라엘의 입장에서는 이것이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첨단 군사력과 정보력, 그리고 미국의 지원을 바탕으로 한 이스라엘의 전략은 중동의 새로운 질서를 형성하는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

 

이스라엘은 건국 이후 네 차례의 중동전쟁을 거치며 지역 내 강국으로 부상했다. 역설적이게도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테러는 이스라엘의 군사적 우위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적대 세력들에 둘러싸인 이스라엘은 '약하게 보이면 죽는다'는 생존 논리에 따라 강력한 군사력 과시를 이어가고 있다.

 

'4천만의 추억 사라진다' 롯데월드 번지드롭·회전그네, 운행 종료

두 어트랙션은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번지드롭’은 2000년 7월 롯데월드 어드벤처가 35억원을 들여 새롭게 선보인 드롭형 어트랙션이다. 탑승객을 32m의 높이까지 끌어올린 후 자유낙하를 하며 스릴 넘치는 경험을 선사했다. 최고 시속 72km의 속도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는 이 어트랙션은 개장 당시 실내에 위치하여 유리돔 천장에 닿을 듯한 느낌을 제공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2006년에는 매직아일랜드로 자리를 옮겨 재오픈하며, ‘자이로드롭’, ‘자이로스윙’, ‘자이로스핀’ 등 다른 고공 스릴 어트랙션들과 함께 매직아일랜드를 고공 스릴 어트랙션의 성지로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회전그네’는 2002년 9월 매직아일랜드에 오픈하여 총 32개의 나뭇잎 모양 의자가 시속 50km로 빠르게 회전하는 방식으로 탑승객에게 하늘을 나는 기분을 선사했다. 의자가 최대 4.5m까지 올라가며 무중력 상태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매력을 가진 이 어트랙션은 22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다.두 어트랙션은 서로 다른 형태의 움직임을 가지고 있지만, 나란히 매직아일랜드에서 자주 함께 운행되며 많은 방문객들에게 즐거운 시간을 선사했다. 두 어트랙션의 운행은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대표하는 아이콘이 되었으며, 이곳을 방문한 많은 이들에게 기억에 남을 순간을 만들어주었다.‘번지드롭’은 1회 운행 시 32m 높이를 3회씩 왕복하는 방식으로 하루 평균 118회 운행되었고, 24년 동안 누적 운행 횟수는 약 103만 4천 회에 달했다. 누적 거리로는 약 10만㎞로, 이는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를 약 11,300번 쌓은 높이에 해당한다. ‘회전그네’는 1회 운행 시 약 2분 20초 동안 1.9㎞를 돌아가며 하루 평균 99회를 운행했다. 22년 동안의 누적 운행 횟수는 약 79만 5천 회였으며, 그 거리는 약 151만㎞에 달한다. 이 거리는 지구와 달을 두 번 왕복할 수 있는 거리로, 두 어트랙션이 얼마나 많은 방문객들에게 사랑받았는지를 보여준다.특히, ‘번지드롭’은 연간 평균 86만 명이 탑승했으며, 24년 동안의 누적 이용객 수는 약 2064만 명에 달한다. ‘회전그네’는 연간 평균 99만 명이 이용했으며, 22년 동안 누적 이용객 수는 2178만 명에 이른다. 이 두 어트랙션의 합산 이용객 수는 4242만 명으로, 이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인구보다 많은 수치다.이 두 어트랙션과 함께 롯데월드의 또 다른 인기 패밀리 어트랙션인 ‘머킹의 회전목마’도 2월 2일(일)부터 운영을 종료한다. 롯데월드 측은 이러한 어트랙션들의 마지막 운행을 기념하기 위해 ‘굿바이 매직 어트랙션’ 이벤트를 개최한다. 이 이벤트는 1월 13일부터 2월 2일까지 진행되며, 과거와 현재의 ‘번지드롭’과 ‘회전그네’와 함께 찍은 추억 인증샷을 SNS에 업로드한 참여자 중 20명을 선정해 소정의 선물을 증정한다. 또한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실내 어드벤처에 위치했던 ‘번지드롭’의 추억 인증샷을 업로드한 참가자 중 5명에게는 특별한 경품이 제공된다.롯데월드 어드벤처의 권오상 대표는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대표하는 어트랙션으로서, 수많은 손님들에게 짜릿한 경험을 선사하며 롯데월드의 위상을 높여왔다”며 “이제는 새로운 어트랙션들이 손님들에게 더욱 특별한 경험과 추억을 선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렇게 20여 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온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2월 2일을 끝으로 롯데월드의 역사 속으로 사라지지만, 그 추억은 영원히 많은 이들의 마음 속에 남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