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최신

경제최신

제주항공, 정비는 뒷전 '지연율 1위' 불명예, 승객 안전 '아슬아슬'

 제주항공이 지난해 상반기 국내 항공사 중 '항공기 정비'를 이유로 가장 많은 지연 운항을 기록하며 안전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승객들은 항공기 정비 불량으로 인한 지연과 안전사고 가능성에 노출되어 있으며, 항공업계에서는 제주항공의 무리한 운항 스케줄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2020년~2024년 상반기 항공사 지연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2024년 상반기 5만 2883편을 운항하는 동안 536편(1.01%)에서 정비 문제로 지연 운항을 했다. 이는 대한항공(422편)을 제치고 저비용항공사(LCC) 중에서도 압도적인 수치다. 티웨이항공(315편), 진에어(243편), 에어부산(227편) 등 경쟁 LCC들과 비교해도 정비 지연 건수가 월등히 높다.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제주항공의 정비 지연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운항 횟수가 급증하면서 심화되었다는 것이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제주항공의 연간 정비 지연 건수는 각각 63건, 74건, 43건에 불과했다. 그러나 엔데믹 이후 항공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2023년에는 943건으로 급증했고, 2024년에도 상반기에만 536건을 기록하며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제주항공의 무리한 운항 스케줄이 정비 불량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을 지적했다. 실제로 제주항공의 월평균 항공기 운항 시간은 2020년 174시간에서 2023년 412시간으로 크게 증가했다. 항공기 가동률을 높이려는 과정에서 정비 시간이 부족해지고 부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정비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제주항공은 지난해 12월 탑승객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하는 대형 사고를 겪은 바 있다. 사고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번 정비 지연 사태는 제주항공의 안전 관리 시스템 전반에 대한 의구심을 증폭시키고 있다.

 

제주항공 측은 정비 지연 증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지난해 말 여객기 사고 이후 정비 인력을 올해 상반기 38명, 하반기 27명 추가 채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단순히 인력 확충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며, 항공기 운항 스케줄 조정, 정비 시스템 개선, 안전 관리 감독 강화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4천만의 추억 사라진다' 롯데월드 번지드롭·회전그네, 운행 종료

두 어트랙션은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번지드롭’은 2000년 7월 롯데월드 어드벤처가 35억원을 들여 새롭게 선보인 드롭형 어트랙션이다. 탑승객을 32m의 높이까지 끌어올린 후 자유낙하를 하며 스릴 넘치는 경험을 선사했다. 최고 시속 72km의 속도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는 이 어트랙션은 개장 당시 실내에 위치하여 유리돔 천장에 닿을 듯한 느낌을 제공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2006년에는 매직아일랜드로 자리를 옮겨 재오픈하며, ‘자이로드롭’, ‘자이로스윙’, ‘자이로스핀’ 등 다른 고공 스릴 어트랙션들과 함께 매직아일랜드를 고공 스릴 어트랙션의 성지로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회전그네’는 2002년 9월 매직아일랜드에 오픈하여 총 32개의 나뭇잎 모양 의자가 시속 50km로 빠르게 회전하는 방식으로 탑승객에게 하늘을 나는 기분을 선사했다. 의자가 최대 4.5m까지 올라가며 무중력 상태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매력을 가진 이 어트랙션은 22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다.두 어트랙션은 서로 다른 형태의 움직임을 가지고 있지만, 나란히 매직아일랜드에서 자주 함께 운행되며 많은 방문객들에게 즐거운 시간을 선사했다. 두 어트랙션의 운행은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대표하는 아이콘이 되었으며, 이곳을 방문한 많은 이들에게 기억에 남을 순간을 만들어주었다.‘번지드롭’은 1회 운행 시 32m 높이를 3회씩 왕복하는 방식으로 하루 평균 118회 운행되었고, 24년 동안 누적 운행 횟수는 약 103만 4천 회에 달했다. 누적 거리로는 약 10만㎞로, 이는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를 약 11,300번 쌓은 높이에 해당한다. ‘회전그네’는 1회 운행 시 약 2분 20초 동안 1.9㎞를 돌아가며 하루 평균 99회를 운행했다. 22년 동안의 누적 운행 횟수는 약 79만 5천 회였으며, 그 거리는 약 151만㎞에 달한다. 이 거리는 지구와 달을 두 번 왕복할 수 있는 거리로, 두 어트랙션이 얼마나 많은 방문객들에게 사랑받았는지를 보여준다.특히, ‘번지드롭’은 연간 평균 86만 명이 탑승했으며, 24년 동안의 누적 이용객 수는 약 2064만 명에 달한다. ‘회전그네’는 연간 평균 99만 명이 이용했으며, 22년 동안 누적 이용객 수는 2178만 명에 이른다. 이 두 어트랙션의 합산 이용객 수는 4242만 명으로, 이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인구보다 많은 수치다.이 두 어트랙션과 함께 롯데월드의 또 다른 인기 패밀리 어트랙션인 ‘머킹의 회전목마’도 2월 2일(일)부터 운영을 종료한다. 롯데월드 측은 이러한 어트랙션들의 마지막 운행을 기념하기 위해 ‘굿바이 매직 어트랙션’ 이벤트를 개최한다. 이 이벤트는 1월 13일부터 2월 2일까지 진행되며, 과거와 현재의 ‘번지드롭’과 ‘회전그네’와 함께 찍은 추억 인증샷을 SNS에 업로드한 참여자 중 20명을 선정해 소정의 선물을 증정한다. 또한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실내 어드벤처에 위치했던 ‘번지드롭’의 추억 인증샷을 업로드한 참가자 중 5명에게는 특별한 경품이 제공된다.롯데월드 어드벤처의 권오상 대표는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대표하는 어트랙션으로서, 수많은 손님들에게 짜릿한 경험을 선사하며 롯데월드의 위상을 높여왔다”며 “이제는 새로운 어트랙션들이 손님들에게 더욱 특별한 경험과 추억을 선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렇게 20여 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온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2월 2일을 끝으로 롯데월드의 역사 속으로 사라지지만, 그 추억은 영원히 많은 이들의 마음 속에 남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