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타임

스포츠타임

커리도 소용없었다! 골든스테이트, 충격적인 30점 차 대패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는 6일(한국시간) 새크라멘토 킹스와의 경기에서 대패하며 홈 팬들에게 충격을 안겼다.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체이스 센터에서 열린 2024-2025 NBA 정규리그에서 골든스테이트는 99-129로 새크라멘토에 완패했다. 스테픈 커리와 앤드류 위긴스가 각각 26점 7리바운드, 18점 4리바운드를 기록했으나, 팀은 전혀 반등할 수 없었다.

 

새크라멘토는 말릭 몽크가 26점 12어시스트를 기록하며 공격을 이끌었고, 도만타스 사보니스도 22점 13리바운드로 골밑을 장악했다. 더마 드로잔은 12점을 기록하며 득점에 기여했다. 더욱 놀라운 점은 새크라멘토의 에이스 디애런 팍스가 결장한 상황에서, 이들의 퍼포먼스가 경기를 압도했다는 것이다.

 

경기는 1쿼터부터 골든스테이트에게 불리하게 전개됐다. 새크라멘토는 사보니스가 골밑을 지배하며 경기의 흐름을 가져갔고, 외곽에서도 케빈 허더와 키온 엘리스가 3점슛을 성공시키며 리드를 잡았다. 골든스테이트는 위긴스가 1쿼터에만 7점을 기록하며 분전했지만, 새크라멘토의 기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1쿼터 결과는 36-21로, 새크라멘토가 압도적인 리드를 잡았다.

 

2쿼터에도 새크라멘토의 흐름은 계속됐다. 식스맨 몽크가 벤치에서 등장해 골든스테이트의 수비를 물리치며 2쿼터에만 폭발적인 활약을 보였다. 사보니스는 골밑을 계속해서 장악하며 골든스테이트를 괴롭혔고, 전반은 75-51로 새크라멘토의 압도적인 우세 속에 종료됐다.

 

3쿼터에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 새크라멘토는 여전히 외곽슛이 뜨거웠고, 사보니스의 골밑 지배력은 계속 이어졌다. 골든스테이트는 중요한 순간마다 턴오버를 범하며 스스로 자멸했다. 결과적으로 3쿼터가 끝날 무렵, 105-75로 사실상 승부는 결정됐다.

 

4쿼터가 시작되자 골든스테이트는 주축 선수들을 모두 교체하고 사실상 백기를 들었다. 4쿼터는 통째로 가비지 타임이 되었고, 새크라멘토는 이를 놓치지 않고 대승을 거뒀다. 골든스테이트는 홈에서 정말 끔찍한 경기력으로 무기력한 패배를 당했다.

 

 

 

이번 경기는 골든스테이트에게 큰 충격을 안긴 경기였다. 스테픈 커리와 앤드류 위긴스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골든스테이트는 공격과 수비 모두에서 일관된 성과를 내지 못했다. 새크라멘토는 에이스 팍스 없이도 전혀 흔들림 없이 경기를 지배하며, 골든스테이트의 약점을 여지없이 파고들었다. 새크라멘토의 수비와 공격 전개가 완벽했으며, 골든스테이트는 이를 막을 방법을 찾지 못했다.

 

이번 경기에서 골든스테이트는 수비의 부족함과 중요한 순간마다의 실수를 보이며 패배했다. 특히, 턴오버와 외곽슛의 부진은 골든스테이트의 발목을 잡았다. 홈에서 팬들의 기대를 저버린 골든스테이트는 반성의 기회를 가지게 될 것이다.

 

'4천만의 추억 사라진다' 롯데월드 번지드롭·회전그네, 운행 종료

두 어트랙션은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번지드롭’은 2000년 7월 롯데월드 어드벤처가 35억원을 들여 새롭게 선보인 드롭형 어트랙션이다. 탑승객을 32m의 높이까지 끌어올린 후 자유낙하를 하며 스릴 넘치는 경험을 선사했다. 최고 시속 72km의 속도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는 이 어트랙션은 개장 당시 실내에 위치하여 유리돔 천장에 닿을 듯한 느낌을 제공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2006년에는 매직아일랜드로 자리를 옮겨 재오픈하며, ‘자이로드롭’, ‘자이로스윙’, ‘자이로스핀’ 등 다른 고공 스릴 어트랙션들과 함께 매직아일랜드를 고공 스릴 어트랙션의 성지로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회전그네’는 2002년 9월 매직아일랜드에 오픈하여 총 32개의 나뭇잎 모양 의자가 시속 50km로 빠르게 회전하는 방식으로 탑승객에게 하늘을 나는 기분을 선사했다. 의자가 최대 4.5m까지 올라가며 무중력 상태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매력을 가진 이 어트랙션은 22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다.두 어트랙션은 서로 다른 형태의 움직임을 가지고 있지만, 나란히 매직아일랜드에서 자주 함께 운행되며 많은 방문객들에게 즐거운 시간을 선사했다. 두 어트랙션의 운행은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대표하는 아이콘이 되었으며, 이곳을 방문한 많은 이들에게 기억에 남을 순간을 만들어주었다.‘번지드롭’은 1회 운행 시 32m 높이를 3회씩 왕복하는 방식으로 하루 평균 118회 운행되었고, 24년 동안 누적 운행 횟수는 약 103만 4천 회에 달했다. 누적 거리로는 약 10만㎞로, 이는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를 약 11,300번 쌓은 높이에 해당한다. ‘회전그네’는 1회 운행 시 약 2분 20초 동안 1.9㎞를 돌아가며 하루 평균 99회를 운행했다. 22년 동안의 누적 운행 횟수는 약 79만 5천 회였으며, 그 거리는 약 151만㎞에 달한다. 이 거리는 지구와 달을 두 번 왕복할 수 있는 거리로, 두 어트랙션이 얼마나 많은 방문객들에게 사랑받았는지를 보여준다.특히, ‘번지드롭’은 연간 평균 86만 명이 탑승했으며, 24년 동안의 누적 이용객 수는 약 2064만 명에 달한다. ‘회전그네’는 연간 평균 99만 명이 이용했으며, 22년 동안 누적 이용객 수는 2178만 명에 이른다. 이 두 어트랙션의 합산 이용객 수는 4242만 명으로, 이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인구보다 많은 수치다.이 두 어트랙션과 함께 롯데월드의 또 다른 인기 패밀리 어트랙션인 ‘머킹의 회전목마’도 2월 2일(일)부터 운영을 종료한다. 롯데월드 측은 이러한 어트랙션들의 마지막 운행을 기념하기 위해 ‘굿바이 매직 어트랙션’ 이벤트를 개최한다. 이 이벤트는 1월 13일부터 2월 2일까지 진행되며, 과거와 현재의 ‘번지드롭’과 ‘회전그네’와 함께 찍은 추억 인증샷을 SNS에 업로드한 참여자 중 20명을 선정해 소정의 선물을 증정한다. 또한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실내 어드벤처에 위치했던 ‘번지드롭’의 추억 인증샷을 업로드한 참가자 중 5명에게는 특별한 경품이 제공된다.롯데월드 어드벤처의 권오상 대표는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대표하는 어트랙션으로서, 수많은 손님들에게 짜릿한 경험을 선사하며 롯데월드의 위상을 높여왔다”며 “이제는 새로운 어트랙션들이 손님들에게 더욱 특별한 경험과 추억을 선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렇게 20여 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온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2월 2일을 끝으로 롯데월드의 역사 속으로 사라지지만, 그 추억은 영원히 많은 이들의 마음 속에 남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