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이정재 '한동훈과 찍은 사진, 내가 유출한 것 아냐…' 폭탄 발언

 글로벌 스타 이정재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의 친분설에 대해 처음으로 입을 열었다.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시즌2 홍보를 위해 2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이정재는 그동안 온라인을 뜨겁게 달궜던 '한동훈 친분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내놓았다.

 

지난해 11월, 서울 서초구의 한 식당에서 이정재와 한동훈 전 대표가 함께 식사하는 모습이 포착되며 두 사람의 친분설이 불거졌다. 특히 두 사람이 나란히 서서 웃으며 찍은 사진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급속도로 퍼지면서, 정치적 해석이 덧붙여지기도 했다.

 

이정재는 이날 인터뷰에서 "서로 유명한 사람이다 보니 더욱 뉴스화된 것 같다"며 "단순히 동창이라서 식사 한 번 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특히 당시 상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식당에서 받은 겉절이를 들고 기념사진을 찍게 된 자연스러운 과정을 전했다.

 


사진 유출 경위에 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이정재는 "내 휴대폰으로 찍은 사진인데, 당시 한동훈 팬들이 식당 주변에서 기다리고 있었고, 지배인이 사진을 찍어줄 때 옆에서 함께 촬영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한 팬의 블로그에는 한동훈이 식당에 들어가고 나오는 모습, 거리를 걷는 모습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었다고 한다.

 

특히 이정재는 "우리 중 누구도 친분을 과시하기 위해 사진을 공개한 적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더불어 "한동훈 전 대표의 정치적 행보에 대해 어떠한 언급도 한 적이 없다"며, 정치적 해석을 경계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이정재는 글로벌 흥행작 '오징어 게임'의 시즌2로 다시 한번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다. 온라인 스트리밍 집계 사이트 플릭스패트롤에 따르면, '오징어 게임' 시즌2는 공개 직후 TV 쇼 부문 글로벌 1위를 기록하며 첫 시즌의 성공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해명을 통해 이정재는 한동훈 전 대표와의 관계가 단순한 동창 사이임을 분명히 했다. 연예계와 정치계를 대표하는 두 인물의 만남이 단순한 동창 모임 이상의 의미로 확대 해석된 것에 대해 선을 그은 것이다.

 

'4천만의 추억 사라진다' 롯데월드 번지드롭·회전그네, 운행 종료

두 어트랙션은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번지드롭’은 2000년 7월 롯데월드 어드벤처가 35억원을 들여 새롭게 선보인 드롭형 어트랙션이다. 탑승객을 32m의 높이까지 끌어올린 후 자유낙하를 하며 스릴 넘치는 경험을 선사했다. 최고 시속 72km의 속도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는 이 어트랙션은 개장 당시 실내에 위치하여 유리돔 천장에 닿을 듯한 느낌을 제공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2006년에는 매직아일랜드로 자리를 옮겨 재오픈하며, ‘자이로드롭’, ‘자이로스윙’, ‘자이로스핀’ 등 다른 고공 스릴 어트랙션들과 함께 매직아일랜드를 고공 스릴 어트랙션의 성지로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회전그네’는 2002년 9월 매직아일랜드에 오픈하여 총 32개의 나뭇잎 모양 의자가 시속 50km로 빠르게 회전하는 방식으로 탑승객에게 하늘을 나는 기분을 선사했다. 의자가 최대 4.5m까지 올라가며 무중력 상태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매력을 가진 이 어트랙션은 22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다.두 어트랙션은 서로 다른 형태의 움직임을 가지고 있지만, 나란히 매직아일랜드에서 자주 함께 운행되며 많은 방문객들에게 즐거운 시간을 선사했다. 두 어트랙션의 운행은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대표하는 아이콘이 되었으며, 이곳을 방문한 많은 이들에게 기억에 남을 순간을 만들어주었다.‘번지드롭’은 1회 운행 시 32m 높이를 3회씩 왕복하는 방식으로 하루 평균 118회 운행되었고, 24년 동안 누적 운행 횟수는 약 103만 4천 회에 달했다. 누적 거리로는 약 10만㎞로, 이는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를 약 11,300번 쌓은 높이에 해당한다. ‘회전그네’는 1회 운행 시 약 2분 20초 동안 1.9㎞를 돌아가며 하루 평균 99회를 운행했다. 22년 동안의 누적 운행 횟수는 약 79만 5천 회였으며, 그 거리는 약 151만㎞에 달한다. 이 거리는 지구와 달을 두 번 왕복할 수 있는 거리로, 두 어트랙션이 얼마나 많은 방문객들에게 사랑받았는지를 보여준다.특히, ‘번지드롭’은 연간 평균 86만 명이 탑승했으며, 24년 동안의 누적 이용객 수는 약 2064만 명에 달한다. ‘회전그네’는 연간 평균 99만 명이 이용했으며, 22년 동안 누적 이용객 수는 2178만 명에 이른다. 이 두 어트랙션의 합산 이용객 수는 4242만 명으로, 이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인구보다 많은 수치다.이 두 어트랙션과 함께 롯데월드의 또 다른 인기 패밀리 어트랙션인 ‘머킹의 회전목마’도 2월 2일(일)부터 운영을 종료한다. 롯데월드 측은 이러한 어트랙션들의 마지막 운행을 기념하기 위해 ‘굿바이 매직 어트랙션’ 이벤트를 개최한다. 이 이벤트는 1월 13일부터 2월 2일까지 진행되며, 과거와 현재의 ‘번지드롭’과 ‘회전그네’와 함께 찍은 추억 인증샷을 SNS에 업로드한 참여자 중 20명을 선정해 소정의 선물을 증정한다. 또한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실내 어드벤처에 위치했던 ‘번지드롭’의 추억 인증샷을 업로드한 참가자 중 5명에게는 특별한 경품이 제공된다.롯데월드 어드벤처의 권오상 대표는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대표하는 어트랙션으로서, 수많은 손님들에게 짜릿한 경험을 선사하며 롯데월드의 위상을 높여왔다”며 “이제는 새로운 어트랙션들이 손님들에게 더욱 특별한 경험과 추억을 선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렇게 20여 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온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2월 2일을 끝으로 롯데월드의 역사 속으로 사라지지만, 그 추억은 영원히 많은 이들의 마음 속에 남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