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골든글로브 후보 ‘오징어 게임2’ 결국 ‘쇼군’에 밀려..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시즌2는 공개 전 미국 골든글로브 시상식 TV시리즈 드라마 부문 작품상 후보에 올랐지만, 결국 수상에는 실패했다. 5일(현지시간) 제82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시즌2는 ‘쇼군’, ‘외교관’, ‘슬로 호시스’, ‘미스터&미세스 스미스’, ‘데이 오브 더 자칼’ 등과 함께 후보에 올랐다. 시즌2는 지난 12월 26일 공식 방영을 시작했으나, 12월 9일 이미 작품상 후보로 지명됐다. 외신에서는 방영 전 작품이 후보에 오른 것은 이례적이라고 언급했다.

 

‘오징어 게임’ 시리즈의 황동혁 감독은 작품상 수상에 대해 크게 기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시즌2는 완결되지 않아 메시지가 모두 드러나지 않는다”며, 시즌2와 3으로 나누어 진행하면서 수상 기대는 접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오징어 게임’ 시즌1은 2022년 골든글로브에서 TV드라마 부문 작품상과 남우주연상, 남우조연상 등 3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으며, 오영수가 남우조연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올해 골든글로브에서 작품상은 일본 배경의 드라마 ‘쇼군’에게 돌아갔다. ‘쇼군’은 17세기 초 일본의 정치적 음모를 다룬 역사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대사 대부분이 일본어로 촬영됐다. 이 드라마는 남우주연상(사나다 히로유키), 여우주연상(사와이 안나), 남우조연상(아사노 타다노부)까지 4관왕을 차지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또한, ‘쇼군’은 지난해 9월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에서도 작품상을 포함해 18개 부문을 휩쓴 바 있다.

 

AP 뉴시스에 따르면, ‘쇼군’은 그 해의 가장 주목받는 드라마 중 하나로, 일본의 문화와 역사를 미국 시청자들에게 매력적으로 전달하며 큰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일본 배우들이 주도한 이 드라마는, 일본어 대사가 많고 일본의 역사적 배경을 충실히 재현한 점에서 문화적 교류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오징어 게임’ 시즌2에 대한 외신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주요 미국 언론은 시즌2가 전작의 긴장감과 몰입감을 잘 이어갔다고 평가하며, 특히 시각적 효과와 캐릭터의 심리적 변화에 대한 찬사를 보냈다. 다만 일부 매체는 전작의 혁신적인 요소를 따라가기 어려웠다는 평가를 내놓기도 했다. *Variety*는 "시즌2는 시즌1의 사회적 메시지를 더 깊이 탐구하면서도 여전히 관객을 끌어들이는 강력한 이야기의 힘을 발휘한다"고 했으며, *Hollywood Reporter*는 "시즌2가 너무 많은 이야기를 담으려 한 결과 일부 장면이 과도하게 늘어져 지루함을 유발하기도 한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즌2는 이전보다 더 글로벌한 반향을 일으켰고, 그 영향력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시즌3의 제작이 예고되면서, 황동혁 감독은 "시즌3에서 결말을 낼 예정이다. 그때 수상을 다시 노려볼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의 계획을 밝혔다. '오징어 게임'은 내년 골든글로브를 목표로 다시 한 번 수상 도전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4천만의 추억 사라진다' 롯데월드 번지드롭·회전그네, 운행 종료

두 어트랙션은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번지드롭’은 2000년 7월 롯데월드 어드벤처가 35억원을 들여 새롭게 선보인 드롭형 어트랙션이다. 탑승객을 32m의 높이까지 끌어올린 후 자유낙하를 하며 스릴 넘치는 경험을 선사했다. 최고 시속 72km의 속도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는 이 어트랙션은 개장 당시 실내에 위치하여 유리돔 천장에 닿을 듯한 느낌을 제공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2006년에는 매직아일랜드로 자리를 옮겨 재오픈하며, ‘자이로드롭’, ‘자이로스윙’, ‘자이로스핀’ 등 다른 고공 스릴 어트랙션들과 함께 매직아일랜드를 고공 스릴 어트랙션의 성지로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회전그네’는 2002년 9월 매직아일랜드에 오픈하여 총 32개의 나뭇잎 모양 의자가 시속 50km로 빠르게 회전하는 방식으로 탑승객에게 하늘을 나는 기분을 선사했다. 의자가 최대 4.5m까지 올라가며 무중력 상태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매력을 가진 이 어트랙션은 22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다.두 어트랙션은 서로 다른 형태의 움직임을 가지고 있지만, 나란히 매직아일랜드에서 자주 함께 운행되며 많은 방문객들에게 즐거운 시간을 선사했다. 두 어트랙션의 운행은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대표하는 아이콘이 되었으며, 이곳을 방문한 많은 이들에게 기억에 남을 순간을 만들어주었다.‘번지드롭’은 1회 운행 시 32m 높이를 3회씩 왕복하는 방식으로 하루 평균 118회 운행되었고, 24년 동안 누적 운행 횟수는 약 103만 4천 회에 달했다. 누적 거리로는 약 10만㎞로, 이는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를 약 11,300번 쌓은 높이에 해당한다. ‘회전그네’는 1회 운행 시 약 2분 20초 동안 1.9㎞를 돌아가며 하루 평균 99회를 운행했다. 22년 동안의 누적 운행 횟수는 약 79만 5천 회였으며, 그 거리는 약 151만㎞에 달한다. 이 거리는 지구와 달을 두 번 왕복할 수 있는 거리로, 두 어트랙션이 얼마나 많은 방문객들에게 사랑받았는지를 보여준다.특히, ‘번지드롭’은 연간 평균 86만 명이 탑승했으며, 24년 동안의 누적 이용객 수는 약 2064만 명에 달한다. ‘회전그네’는 연간 평균 99만 명이 이용했으며, 22년 동안 누적 이용객 수는 2178만 명에 이른다. 이 두 어트랙션의 합산 이용객 수는 4242만 명으로, 이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인구보다 많은 수치다.이 두 어트랙션과 함께 롯데월드의 또 다른 인기 패밀리 어트랙션인 ‘머킹의 회전목마’도 2월 2일(일)부터 운영을 종료한다. 롯데월드 측은 이러한 어트랙션들의 마지막 운행을 기념하기 위해 ‘굿바이 매직 어트랙션’ 이벤트를 개최한다. 이 이벤트는 1월 13일부터 2월 2일까지 진행되며, 과거와 현재의 ‘번지드롭’과 ‘회전그네’와 함께 찍은 추억 인증샷을 SNS에 업로드한 참여자 중 20명을 선정해 소정의 선물을 증정한다. 또한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실내 어드벤처에 위치했던 ‘번지드롭’의 추억 인증샷을 업로드한 참가자 중 5명에게는 특별한 경품이 제공된다.롯데월드 어드벤처의 권오상 대표는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대표하는 어트랙션으로서, 수많은 손님들에게 짜릿한 경험을 선사하며 롯데월드의 위상을 높여왔다”며 “이제는 새로운 어트랙션들이 손님들에게 더욱 특별한 경험과 추억을 선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렇게 20여 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온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2월 2일을 끝으로 롯데월드의 역사 속으로 사라지지만, 그 추억은 영원히 많은 이들의 마음 속에 남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