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남은 케이크 냉장고에 넣었다가… '대참사'

 연말연시를 맞아 케이크 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업계 조사에 따르면 12월 케이크 판매량은 평상시 대비 최대 300%까지 치솟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과다 구매는 종종 '케이크 처리 난민'을 양산하고 있다. 특히 남은 케이크의 부적절한 보관 방식이 식중독의 위험을 키우고 있어 전문가들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는 남은 케이크를 비닐봉지에 넣어 냉동보관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심각한 식중독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이미 한 번 해동된 케이크를 재냉동할 경우 그 위험성은 더욱 커진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대부분의 식중독균과 노로바이러스는 영하의 온도에서도 완전히 사멸되지 않고 증식만 억제될 뿐이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해동과 재냉동의 반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도 변화다. 이러한 환경은 세균 증식을 촉진시켜 식중독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이런 이유로 식품위생법에서는 한 번 해동된 제품의 재냉동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또한 재냉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 분자의 재결정화는 케이크의 식감을 현저히 떨어뜨린다.

 


한국소비자원의 연구 결과는 더욱 충격적이다. 유통기한이 지난 케이크를 0~5도에서 냉장 보관했을 때, 단 이틀 만에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실온 보관의 경우는 더욱 위험해서, 유통기한 경과 하루 만에 식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변질되었다.

 

전문가들은 케이크 종류별로 차별화된 보관법을 권장한다. 생크림 케이크는 구매 후 1-2일 내 섭취가 원칙이며, 버터크림 케이크는 이보다 4-5일 정도 더 보관이 가능하다. 보관 시에는 케이크 상자 대신 밀폐용기를 사용해야 하며, 냉장고 뒤쪽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냉장고 문 개폐로 인한 온도 변화가 적은 위치이기 때문이다.

 

'4천만의 추억 사라진다' 롯데월드 번지드롭·회전그네, 운행 종료

두 어트랙션은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번지드롭’은 2000년 7월 롯데월드 어드벤처가 35억원을 들여 새롭게 선보인 드롭형 어트랙션이다. 탑승객을 32m의 높이까지 끌어올린 후 자유낙하를 하며 스릴 넘치는 경험을 선사했다. 최고 시속 72km의 속도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는 이 어트랙션은 개장 당시 실내에 위치하여 유리돔 천장에 닿을 듯한 느낌을 제공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2006년에는 매직아일랜드로 자리를 옮겨 재오픈하며, ‘자이로드롭’, ‘자이로스윙’, ‘자이로스핀’ 등 다른 고공 스릴 어트랙션들과 함께 매직아일랜드를 고공 스릴 어트랙션의 성지로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회전그네’는 2002년 9월 매직아일랜드에 오픈하여 총 32개의 나뭇잎 모양 의자가 시속 50km로 빠르게 회전하는 방식으로 탑승객에게 하늘을 나는 기분을 선사했다. 의자가 최대 4.5m까지 올라가며 무중력 상태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매력을 가진 이 어트랙션은 22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다.두 어트랙션은 서로 다른 형태의 움직임을 가지고 있지만, 나란히 매직아일랜드에서 자주 함께 운행되며 많은 방문객들에게 즐거운 시간을 선사했다. 두 어트랙션의 운행은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대표하는 아이콘이 되었으며, 이곳을 방문한 많은 이들에게 기억에 남을 순간을 만들어주었다.‘번지드롭’은 1회 운행 시 32m 높이를 3회씩 왕복하는 방식으로 하루 평균 118회 운행되었고, 24년 동안 누적 운행 횟수는 약 103만 4천 회에 달했다. 누적 거리로는 약 10만㎞로, 이는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를 약 11,300번 쌓은 높이에 해당한다. ‘회전그네’는 1회 운행 시 약 2분 20초 동안 1.9㎞를 돌아가며 하루 평균 99회를 운행했다. 22년 동안의 누적 운행 횟수는 약 79만 5천 회였으며, 그 거리는 약 151만㎞에 달한다. 이 거리는 지구와 달을 두 번 왕복할 수 있는 거리로, 두 어트랙션이 얼마나 많은 방문객들에게 사랑받았는지를 보여준다.특히, ‘번지드롭’은 연간 평균 86만 명이 탑승했으며, 24년 동안의 누적 이용객 수는 약 2064만 명에 달한다. ‘회전그네’는 연간 평균 99만 명이 이용했으며, 22년 동안 누적 이용객 수는 2178만 명에 이른다. 이 두 어트랙션의 합산 이용객 수는 4242만 명으로, 이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인구보다 많은 수치다.이 두 어트랙션과 함께 롯데월드의 또 다른 인기 패밀리 어트랙션인 ‘머킹의 회전목마’도 2월 2일(일)부터 운영을 종료한다. 롯데월드 측은 이러한 어트랙션들의 마지막 운행을 기념하기 위해 ‘굿바이 매직 어트랙션’ 이벤트를 개최한다. 이 이벤트는 1월 13일부터 2월 2일까지 진행되며, 과거와 현재의 ‘번지드롭’과 ‘회전그네’와 함께 찍은 추억 인증샷을 SNS에 업로드한 참여자 중 20명을 선정해 소정의 선물을 증정한다. 또한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실내 어드벤처에 위치했던 ‘번지드롭’의 추억 인증샷을 업로드한 참가자 중 5명에게는 특별한 경품이 제공된다.롯데월드 어드벤처의 권오상 대표는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롯데월드 어드벤처를 대표하는 어트랙션으로서, 수많은 손님들에게 짜릿한 경험을 선사하며 롯데월드의 위상을 높여왔다”며 “이제는 새로운 어트랙션들이 손님들에게 더욱 특별한 경험과 추억을 선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렇게 20여 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온 번지드롭과 회전그네는, 2월 2일을 끝으로 롯데월드의 역사 속으로 사라지지만, 그 추억은 영원히 많은 이들의 마음 속에 남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