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사회/복지

제주항공 참사, 끝없는 "폭발, 협박, 조롱" 악성글

지난해 12월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국내 항공사고 역사상 최악의 비극 중 하나로 기록됐다. 방콕발 여객기가 비상착륙을 시도하다 활주로 외곽 장비와 충돌, 폭발하면서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숨지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사고 직후부터 경찰과 관계기관은 종합적인 사고 수습과 수사에 나섰다.  

 

사고 대응 과정에서 경찰은 대규모 과학수사 인력을 투입했다. 824명의 과학수사관과 신속 DNA 분석기 39대, CSI버스 17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법의관 228명이 현장에 동원됐다. 경찰청 과학수사심의관실은 현장으로 사무실을 옮겨 직접 대응했으며, 사고 발생 12시간 만에 희생자 전원을 수습하고 68시간 만에 신원 확인을 완료했다. 이후 시신 검안과 인도 절차까지 신속히 진행하며 유가족 지원에 집중했다.  

 

참사 이후 유가족을 조롱하거나 모욕하는 악성 게시물이 온라인에서 확산됐다. 경찰은 126건의 관련 사건을 수사 중이며, 피의자 1명을 검거했다. 해당 피의자는 혐의를 인정하고 유가족에게 사과의 뜻을 밝혔으나, 추가 범죄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나머지 사건들에 대해서도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하며 적극적인 추적을 이어가고 있다.

 

 

 

사고 직후 일본발 IP를 통해 "제주항공 참사는 우리의 소행"이라며 국내 주요 도시에 폭탄 테러를 예고하는 협박 이메일이 법무부로 발송됐다. 경찰은 이 이메일이 2023년 8월부터 이어진 유사 협박 사건의 동일범 소행으로 보고 있으며, 인터폴과 일본 경찰에 공조를 요청해 수사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국제 공조 수사는 초기 단계로, 아직 실질적인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경찰은 사고 원인을 규명하는 동시에 유사 사고 방지를 위한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사고 당시 동체 파손과 폭발로 인해 유해가 넓게 퍼졌다"며 재난희생자신원확인체계(DVI)를 3단계로 가동해 신속히 대응했다고 설명했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이번 사고 사례를 기반으로 재난 안전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참사와 관련된 악성 게시물과 협박 사건은 피해자와 유가족에게 2차 피해를 유발하며 국민적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경찰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수사와 대응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악성 게시물 근절과 국제 공조 강화, 재난 대응 체계 개선은 여전히 남은 과제다.  

 

제주항공 참사는 대규모 인명 피해와 사회적 파장을 남겼다. 이번 사건을 통해 재난 대응에서 과학적이고 신속한 수사의 중요성이 다시금 강조되었으며, 정부와 경찰은 유사 비극을 예방하기 위해 보다 철저한 제도적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1만 1172개 글자의 비밀, 드디어 풀렸다…'말랑통통 마을'에 숨겨진 한글 창제 원리

람객을 위해 한글 창제 원리를 기반으로 한 신규 캐릭터 '말랑통통 마을의 비밀'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캐릭터는 단순한 그림을 넘어, 훈민정음 해례본에 담긴 한글의 탄생 원리와 오행(五行) 사상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흥미롭게 풀어내기 위해 탄생했다.한글은 세계적으로도 그 과학성을 인정받는 문자로, 기본 자음 다섯 글자(ㄱ, ㄴ, ㅁ, ㅅ, ㅇ)와 천(●), 지(ㅡ), 인(ㅣ)을 형상화한 기본 모음 세 글자를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여기에 획을 더하거나 글자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소리의 글자를 무한히 확장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자음 14자와 모음 10자를 조합하면 약 1만 1172가지에 달하는 글자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한글이 지닌 엄청난 확장성과 체계성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국립한글박물관은 바로 이 원리를 캐릭터 세계관에 그대로 녹여냈다. 한글의 무한한 확장성이 마치 어린이들의 무한한 성장 가능성과 닮았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본 자음과 모음을 귀여운 '말랑요정'으로 형상화한 것이다.이번 캐릭터 개발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과 '반다비'를 탄생시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매스씨앤지가 맡아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한층 끌어올렸다. 이들의 손에서 태어난 '말랑요정'들은 이름처럼 말랑하고 친근한 이미지로 디자인되어, 아이들이 보자마자 호기심을 느끼고 다가갈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아이들은 이 자음, 모음 요정들이 서로 모여 'ㅋ'이나 'ㅏ'와 같은 새로운 글자로 변신하고, 나아가 '나무', '하늘' 같은 단어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놀이처럼 체험하게 된다. 이를 통해 딱딱한 이론 학습이 아닌, 즐거운 놀이 과정 속에서 한글의 구조와 과학적 원리를 자연스럽게 체득하고 그 가치를 깨닫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국립한글박물관은 '말랑통통' 캐릭터를 일회성으로 선보이는 데 그치지 않고, 앞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계획을 밝혔다. 캐릭터를 활용한 귀여운 기념품을 제작하여 박물관을 찾는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선사하는 한편, 증강현실(AR)과 같은 첨단 기술과 접목하여 더욱 실감 나고 상호작용이 가능한 체험형 교육 콘텐츠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이 새로운 캐릭터들은 박물관 내 '한글놀이터 세종관' 전시에서 가장 먼저 어린이 관람객들을 만날 준비를 하고 있다.강정원 국립한글박물관장은 "이번 캐릭터 개발을 통해 어린이와 가족 단위 방문객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이고, 한글의 과학적 원리와 철학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