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국민여동생' 아이유 SNS에 댓글 전쟁 발발

 '국민 여동생' 아이유(IU·본명 이지은)가 예상치 못한 정치적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수괴)' 혐의로 전격 체포된 가운데, 지난달 탄핵 집회 참가자들을 위해 선결제를 했던 아이유를 향한 비난이 거세지고 있다.

 

16일 아이유의 SNS 계정에는 "좌이유", "국민 여동생이 완전 뒤통수를 쳤다", "속이 좀 시원하냐, 마음에 드냐" 등 격한 비난성 댓글이 쏟아졌다. 일부 누리꾼들은 "아이유 팬이었는데 많이 실망했다"며 팬심 철회를 선언하기도 했다.

 

논란의 시작은 지난달 14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이유 소속사는 탄핵 집회가 열린 서울 여의도 일대 음식점과 카페에서 대규모 선결제를 진행했다. 빵 100개, 음료 100잔, 국밥과 곰탕 100그릇, 따로국밥 100그릇, 떡 100개 등을 미리 결제해 집회 참가자들을 위한 따뜻한 응원을 보냈다. 특히 소속사는 "공식 팬클럽 '유애나' 회원이 아니더라도 집회에 참여하는 분이라면 누구나 선착순으로 이용 가능하다"고 밝혀 화제가 됐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혐의로 체포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극우 성향의 누리꾼들이 아이유의 SNS를 찾아가 조직적인 비난 댓글을 남기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아이유의 팬들은 "악플 신경 쓰지 마세요", "아이유는 건들지 마라", "여기에 금융 치료 받을 사람 많네"라며 적극적으로 방어에 나섰다. 한 팬은 "제발 아이유한테 뭐라 하지 마세요. 도저히 마음 아파서 못 보겠네요. 하실 거면 저한테 하세요"라며 절절한 호소문을 올리기도 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는 헌정 사상 초유의 사태로 기록됐다. 12·3 내란 사태 발생 이후 43일 만에 이뤄진 체포였다. 윤 대통령은 공수처 조사에서 진술거부권을 행사했으며, 대통령 측은 '내란죄 수사권이 없는 공수처의 수사는 불법'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공수처는 이날 오후 2시 재조사를 예정했으나, 윤 대통령 측이 건강상의 이유로 조사 연기를 요청한 상태다.

 

세종대왕이 가장 아꼈던 아들, 광평대군의 비밀 600년 만에 공개

광평대군 탄신일을 기념해 오는 26일부터 다음 달 22일까지 밀알미술관에서 문화유산 특별전 '필경재가 간직한 600년,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을 개최한다고 밝혔다.광평대군은 세종대왕의 아들 중 특별한 존재였다. 그는 1425년 태어나 1436년 신씨와 혼인했으나, 불과 19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세종실록에는 광평대군의 죽음에 세종대왕이 깊이 슬퍼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광평대군은 죽기 전 1444년 아들 영순군을 얻었지만, 그해 세상을 떠나면서 부인 신씨는 이후 비구니가 되어 불교에 귀의한 것으로 전해진다.이번 전시의 가장 큰 의미는 강남구 수서동 궁마을에 위치한 고택 '필경재'에서 600여 년간 간직해온 문중의 유물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다는 점이다. 조선 성종 때 건립된 필경재는 강남구에 위치한 유일한 종가 고택으로, 광평대군의 후손들이 대대로 가문의 유산을 보존하며 살아온 역사적 공간이다.전시는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의 삶과 정신을 총 6부로 나누어 구성했다. '기억의 공간, 필경재', '광평대군과 신씨', '17세기 이후원과 후손', '17~18세기 초 이유와 후손', '18세기 이최중과 후손', '19세기 초~20세기 초 후손, 가문의 행적' 등 시대별 인물과 그 활동을 중심으로 조선왕실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이번에 공개되는 전시유물은 고문서, 교지, 초상화, 병풍, 도자기, 고가구 등 100여 점에 이른다. 모두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진귀한 문화유산으로, 조선왕실 연구에도 높은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특히 주목할 만한 유물로는 광평대군의 부인 신씨가 발원한 '묘법연화경'이 있다. 이는 남편을 일찍 잃고 비구니가 된 신씨의 슬픔과 신앙심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또한 지역 빈민 구휼기구에 대한 기록을 담은 '사창의', 사대부의 재산 상속 문제를 기록한 '화회문기', 과거 시험 급제자의 답안지 등도 함께 전시된다. 이들 유물은 조선시대 왕실 및 양반 가문의 생활과 문화, 사회제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필경재를 세운 정안부정공 이천수의 후손인 이병무 대표는 "선조들의 흔적을 한 점도 놓치지 않겠다는 사명감으로 사료를 수집하고 보존해왔다"고 밝혔다. 이는 한 가문이 60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조상의 유산을 지켜온 노력과 정성을 보여주는 증언이다.조성명 강남구청장은 "한 가문이 지켜온 기록유산은 국가의 역사이자 지역의 자산"이라며 "뜻깊은 유산을 공개해준 필경재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조선왕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회가 될 뿐만 아니라, 강남구의 숨겨진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특별전은 단순한 유물 전시를 넘어, 600년 전 세종대왕의 아들과 그 후손들이 이어온 삶의 궤적을 따라가는 시간 여행이자, 우리 역사의 소중한 한 페이지를 복원하는 의미 있는 행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