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vel

Travel

혼자 떠나도 완벽한 서울, 세계 1위 혼행 도시 등극

 혼자 떠나는 여행, '혼행'의 성지가 한국에 있다? 

 

세계 최대 여행 플랫폼 트립어드바이저가 발표한 '2025년 나 홀로 여행하기 좋은 도시' 순위에서 서울이 당당히 1위를 차지했다. 전 세계 여행자들의 리뷰와 평점을 기반으로 선정되는 만큼, 그 의미가 더욱 남다르다.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매력적인 도시, 서울. 혼행객들을 사로잡은 서울만의 매력은 무엇일까?

 

낮에는 활기 넘치는 도시, 밤에는 화려한 야경 속으로

 

서울은 고궁의 고즈넉함과 초고층 빌딩의 화려함, 전통시장의 정겨움과 쇼핑센터의 세련됨이 공존하는 도시다. 혼행객들은 낮에는 경복궁, 북촌 한옥마을 등에서 한국의 전통을 느끼고, 저녁에는 N서울타워, 롯데월드타워 등에서 화려한 야경을 감상하며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 수 있다.

 

24시간 멈추지 않는 도시, 편리하고 안전한 대중교통

 

트립어드바이저는 서울의 가장 큰 장점으로 편리하고 안전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꼽았다.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지하철은 혼행객들이 서울 곳곳을 누비며 자유롭게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심야 시간대에도 운행하는 '올빼미 버스'는 늦은 시간까지 안심하고 도시를 탐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서울시의 숨은 노력 '혼행' 맞춤형 관광 인프라 구축

 

서울시는 '2023 오세훈표 서울관광 미래비전 3·3·7·7 관광시대'를 통해 '혼자 방문해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관광 인프라' 구축에 힘써왔다. 대표적인 예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카드인 '기후동행카드'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호텔, 호스텔뿐만 아니라 도시민박, 공유숙박, 한옥스테이 등 다양한 형태의 숙박 시설을 확대하여 혼행객들의 선택 폭을 넓혔다.

 

365일 축제가 펼쳐지는 도시, 서울!

 

서울은 계절마다 다채로운 축제와 이벤트가 펼쳐져 혼행객들에게 다양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봄에는 벚꽃 축제, 가을에는 불꽃 축제, 겨울에는 서울윈터페스타 등이 열리며, 매년 500만 명 이상의 관광객들이 서울을 찾는다. 혼행객들은 축제에 참여하여 현지 문화를 더욱 가까이에서 경험하고 다른 여행객들과 교류할 수 있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외국인 관광객들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더욱 노력하고, 서울만의 매력적인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여 '고품격 관광 매력 도시 서울'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혼행의 성지로 떠오른 서울, 앞으로 더욱 많은 혼행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종대왕이 가장 아꼈던 아들, 광평대군의 비밀 600년 만에 공개

광평대군 탄신일을 기념해 오는 26일부터 다음 달 22일까지 밀알미술관에서 문화유산 특별전 '필경재가 간직한 600년,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을 개최한다고 밝혔다.광평대군은 세종대왕의 아들 중 특별한 존재였다. 그는 1425년 태어나 1436년 신씨와 혼인했으나, 불과 19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세종실록에는 광평대군의 죽음에 세종대왕이 깊이 슬퍼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광평대군은 죽기 전 1444년 아들 영순군을 얻었지만, 그해 세상을 떠나면서 부인 신씨는 이후 비구니가 되어 불교에 귀의한 것으로 전해진다.이번 전시의 가장 큰 의미는 강남구 수서동 궁마을에 위치한 고택 '필경재'에서 600여 년간 간직해온 문중의 유물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다는 점이다. 조선 성종 때 건립된 필경재는 강남구에 위치한 유일한 종가 고택으로, 광평대군의 후손들이 대대로 가문의 유산을 보존하며 살아온 역사적 공간이다.전시는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의 삶과 정신을 총 6부로 나누어 구성했다. '기억의 공간, 필경재', '광평대군과 신씨', '17세기 이후원과 후손', '17~18세기 초 이유와 후손', '18세기 이최중과 후손', '19세기 초~20세기 초 후손, 가문의 행적' 등 시대별 인물과 그 활동을 중심으로 조선왕실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이번에 공개되는 전시유물은 고문서, 교지, 초상화, 병풍, 도자기, 고가구 등 100여 점에 이른다. 모두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진귀한 문화유산으로, 조선왕실 연구에도 높은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특히 주목할 만한 유물로는 광평대군의 부인 신씨가 발원한 '묘법연화경'이 있다. 이는 남편을 일찍 잃고 비구니가 된 신씨의 슬픔과 신앙심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또한 지역 빈민 구휼기구에 대한 기록을 담은 '사창의', 사대부의 재산 상속 문제를 기록한 '화회문기', 과거 시험 급제자의 답안지 등도 함께 전시된다. 이들 유물은 조선시대 왕실 및 양반 가문의 생활과 문화, 사회제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필경재를 세운 정안부정공 이천수의 후손인 이병무 대표는 "선조들의 흔적을 한 점도 놓치지 않겠다는 사명감으로 사료를 수집하고 보존해왔다"고 밝혔다. 이는 한 가문이 60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조상의 유산을 지켜온 노력과 정성을 보여주는 증언이다.조성명 강남구청장은 "한 가문이 지켜온 기록유산은 국가의 역사이자 지역의 자산"이라며 "뜻깊은 유산을 공개해준 필경재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조선왕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회가 될 뿐만 아니라, 강남구의 숨겨진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특별전은 단순한 유물 전시를 넘어, 600년 전 세종대왕의 아들과 그 후손들이 이어온 삶의 궤적을 따라가는 시간 여행이자, 우리 역사의 소중한 한 페이지를 복원하는 의미 있는 행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