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사회/복지

토끼섬 앞 어선 좌초, 밤샘 수색에도 흔적 無

제주 토끼섬 인근 해상에서 어선 두 척이 좌초되면서 실종된 외국인 선원 2명을 찾기 위한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상 악화로 인해 밤샘 수색에도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제주해양경찰청에 따르면 해경은 경비함정 7척과 해경 인력 12명을 투입해 사고 해역과 해안가를 수색했으나 실종자를 발견하지 못했다. 사고 해역은 바람이 강하고 물살이 거세 수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경은 2일 차 수색에 함선 14척과 항공기 7대를 투입하고, 해안가에도 가용 인력을 배치해 실종자 수색을 이어갈 계획이다.

 

사고는 지난 1일 오전 9시 24분경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토끼섬 인근 해상에서 발생했다. 애월선적 삼광호(32t)와 33만선호(29t)가 갯바위에 충돌하며 좌초됐고, 총 승선원 15명 중 13명이 구조됐다. 그러나 삼광호 선장(50대 한국인)과 33만선호 인도네시아 선원(40대)이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끝내 숨졌다. 삼광호에 탑승했던 인도네시아 국적 선원 2명은 아직 실종 상태다.

 

해경은 자동위치발신장치(V-PASS) 알람이 발생한 직후 선장과 통화해 좌초 사실을 확인하고 즉시 구조에 나섰다. 하지만 두 어선은 육상에서 500m 떨어진 해상에서 좌초 후 반파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수습을 위해 제주도는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구좌읍사무소에 현장통합지원본부를 설치했다. 피해자 가족 지원, 의료기관 및 대사관과의 연락 등도 병행하고 있다.

 

한편,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해경에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인명 구조에 최선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한편, 사고 발생 이틀째인 2일, 제주 하도리 어촌계 소속 해녀들이 실종자 수색에 자발적으로 나섰다. 평소 물질하던 해역을 잘 아는 해녀들은 입수 30분 만에 실종자 한 명을 발견했다. 실종자를 발견한 이추봉 해녀(64)는 “해경이 수색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나섰다”며 “나머지 실종자도 빨리 찾길 바란다”고 전했다.

 

해경은 3일에도 함선 6척과 항공기 7대, 해안가·수중 순찰 인력 400여 명을 동원해 실종자 수색을 계속할 계획이다.

 

한라산 별빛 아래서 낭만 한 스푼! 제주, '세계유산축전'으로 밤까지 즐긴다

약 3주간 개최하며 세계자연유산 제주의 진면목을 국내외에 알린다. 이번 축전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제주의 독특하고 아름다운 자연유산을 직접 체험하고 깊이 이해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축전의 서막은 개막 하루 전인 7월 3일, 한라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세계유산 글로벌 포럼'이 장식한다. 이 포럼에는 7개국 이상의 세계유산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제주의 자연유산 보존과 활용 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펼치며, 세계유산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미래 방향성을 모색하는 지식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대망의 개막식과 실경 공연은 7월 4일 오후 7시 30분, 제주의 상징이자 세계자연유산인 성산일출봉에서 웅장하게 펼쳐진다. 기념식은 전통 마당극 형식으로 문을 열어 관객들에게 흥미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며, 이어지는 미디어아트 공연은 성산일출봉의 거대한 자연 경관을 배경 삼아 제주의 탄생 신화와 자연유산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이야기를 환상적인 빛과 영상으로 풀어낼 예정이다. 이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제주의 역사와 자연이 빚어낸 감동적인 서사를 온몸으로 느끼는 몰입형 경험이 될 것이다.이번 축전은 일반인의 접근이 제한되었던 제주의 신비로운 자연유산을 직접 탐험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들을 대거 선보인다. 이미 공개된 한라산 구상나무 대표목 공개와 더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샘인 '백록샘' 탐방객 모집은 그 자체로 큰 화제를 모았다. 특히 평소에는 허용되지 않는 야간 시간에 한라산의 장엄한 풍경과 밤하늘의 별들을 감상할 수 있는 '별빛산행'은 참가자들에게 잊을 수 없는 추억을 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더욱이, 평소 일반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는 김녕굴, 벵뒤굴 등 미지의 용암동굴을 전문가의 안내를 받아 탐험하는 '세계자연유산 특별탐험대' 프로그램은 이번 축전의 백미로 꼽힌다. 지구의 신비로운 생성 과정을 고스란히 간직한 용암동굴 속으로 들어가 보는 경험은 참가자들에게 제주의 지질학적 가치를 생생하게 전달하며, 자연유산 보존의 중요성을 일깨워 줄 것이다.제주도 관계자는 "이번 세계유산축전은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유산을 전 세계에 알리고, 방문객들에게는 평생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자연유산의 가치를 오감으로 느끼고 공감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제주의 위상을 더욱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번 축전은 제주의 자연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모범적인 사례가 될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관광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축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