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최신

경제최신

난방비 절약, '수면털제품'으로!

 한파가 몰아닥치자, 난방비 절약을 위한 실내 패션 아이템 판매가 급증하며 소비자들의 '내복 패션' 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 특히 수면 잠옷과 발열내의 등 보온성 높은 제품들의 판매량이 전년 대비 최대 3배 이상 증가하며, 에너지 절약과 패션을 동시에 잡으려는 소비자들의 실속형 소비 트렌드가 두드러지고 있다.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지그재그'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6일부터 12일까지 일주일간 수면 잠옷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했다. 예년의 경우 겨울 초입인 11월과 12월에 방한용품 수요가 집중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올해는 12월의 이상 고온 현상으로 인해 구매가 지연되다가 한파와 함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내 활동에 최적화된 아이템들의 성장세가 특히 두드러진다. 수면 바지 거래액이 176% 증가했으며, 수면 양말도 46%의 성장세를 보였다. 실내 보온의 기본이 되는 내복 제품군에서는 일반 내복이 114%, 발열내의가 101%의 거래액 증가를 기록했다. 특히 집에서 캐주얼하게 걸치기 좋은 기모 후드 제품의 경우 148%라는 놀라운 성장세를 보였다.

 


발 보온용품의 판매 증가도 주목할 만하다. 털 실내화 거래액이 218% 급증했으며, 보조 난방용품인 핫팩의 경우 무려 627%라는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는 소비자들이 전체 난방 가동 시간을 줄이는 대신, 신체 말단부의 보온에 집중하는 '스마트한' 난방 전략을 채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외출 시 착용하는 방한용품도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장갑(117%), 목도리(109%), 귀도리(53%) 등 전통적인 방한용품의 수요가 고르게 증가했다. 이는 실외 활동 시에도 보온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크게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춰 지그재그는 '쇼핑몰 직진위크' 프로모션을 진행, 당일 또는 익일 배송이 가능한 겨울 패션 아이템을 할인된 가격에 제공하고 있다. 특히 직진 배송 서비스를 통해 갑작스러운 한파에 대비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즉각적인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카카오스타일 측은 추가 한파 예보에 따라 난방비 절감 관련 패션 아이템의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고물가 시대를 맞아 실용적이면서도 스타일리시한 방한용품에 대한 관심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것' 덕분에 제주 해녀·방언 인기 폭발

롭게 각인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관광공사가 올 상반기 동안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정밀 분석해 발간한 ‘데이터로 보는 제주여행-폭싹속았수다편’ 보고서에 따르면, 이 드라마는 기존의 제주 배경 드라마들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제주의 매력을 전파했다.앞서 ‘웰컴투삼달리’와 ‘우리들의 블루스’ 같은 드라마들은 오조포구, 안돌오름, 광치기해변, 가파도, 비양도, 오일장 등 특정 촬영지 중심의 연관어가 주로 나타나 제주를 ‘여행지’로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폭싹속았수다’는 ‘제주’, ‘성산일출봉’, ‘유채꽃밭’ 등 드라마 속 아름다운 자연경관뿐 아니라 ‘해녀’, ‘방언’, ‘문화’, ‘시대극’ 등 제주 고유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키워드를 다수 포함해 제주를 ‘이야기’ 중심으로 전달한 점이 특징적이다. 특히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제주 해녀에 대한 관심은 드라마 방영 시점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드라마 방영 직전인 2025년 1~2월의 해녀 언급량은 월평균 약 5천 건 수준이었으나, 3월에는 7,460건으로 약 41% 증가했다. 이후 4월과 5월에도 각각 6,791건과 7,072건으로 높은 관심이 지속되었다. 기존의 ‘음식’, ‘식당’ 중심 연관어에서 벗어나 ‘엄마’, ‘삶’, ‘이야기’ 같은 정서적이고 인간적인 키워드가 함께 등장하며 해녀가 단순한 직업이나 관광 콘텐츠를 넘어 제주의 문화적 상징으로 다시 조명받는 흐름이 뚜렷하게 드러났다.또한 드라마에서 사용된 제주 고유의 방언과 표현들이 화제를 모으면서 제주 방언에 대한 대중적 관심도 크게 확대되었다. 유튜브에서는 2025년 3월과 4월 제주 방언 관련 콘텐츠가 각각 26편과 32편 업로드됐으며, 4월 한 달 동안 이들 영상의 누적 조회수가 약 220만 회에 달하는 등 제주어에 대한 호기심이 영상 콘텐츠를 통해 폭발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드라마의 주요 촬영지였던 김녕해수욕장과 제주목관아에 대한 방문객과 관심도 크게 증가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김녕해수욕장으로의 차량 도착 수는 드라마 방영 전인 2025년 1~~2월 평균 2,442대에서 방영 후인 3~~4월 4,775대로 무려 96% 가까이 늘었으며, 온라인 언급량도 1,814건에서 2,602건으로 약 43% 증가했다. 제주목관아 역시 차량 도착 수가 198대에서 347대로 약 75% 증가했고, 온라인 언급량은 514건에서 744건으로 약 45% 상승하는 등 드라마 방영 효과가 실제 관광객 방문과 온라인 화제성에 고루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이 같은 데이터는 ‘폭싹속았수다’가 제주 관광 홍보에 있어 단순한 자연 풍광이나 관광 명소 소개를 넘어, 지역 문화와 전통,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 제주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 성공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해녀’와 ‘제주 방언’ 등 무형문화재적 가치와 지역 정체성을 드라마 콘텐츠에 녹여냄으로써 관광객들의 문화 체험 욕구를 자극하고, 이에 따라 관련 장소 방문이 증가하는 선순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분석 결과는 제주가 단순한 휴양지에서 벗어나 고유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아우르는 풍부한 이야기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전통과 문화를 소재로 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제주 관광의 질적 성장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폭싹속았수다’ 사례는 콘텐츠를 통한 지역 문화 가치 재조명과 관광 활성화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으며, 향후 지역 관광 정책과 콘텐츠 제작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