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최신

경제최신

3만9900원의 마법! 스파오 청바지 대한민국 옷장 점령

 이랜드월드의 SPA 브랜드 스파오가 '3만9900원'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의 청바지로 100만 장 판매라는 놀라운 기록을 세웠다. 고물가 시대에 합리적인 가격과 높은 품질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지난해 매출 6000억 원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뤘다.

 

25일 이랜드월드는 스파오의 대표 상품인 3만9900원 청바지가 지난 한 해 동안 100만 장 판매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패션업계 불황 속에서도 스파오는 저렴한 가격과 뛰어난 품질을 앞세워 '가성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스파오의 성공 비결은 '현장 중심 제품 개발'에 있다. 디자이너, 생산 담당자, 상품 기획자로 구성된 '데님 원팀'은 튀르키예부터 동남아시아까지 전 세계를 누비며 청바지 상품군을 확대했다. 이들은 직접 원단 생산 공장을 방문하고, 현지 노동자들과 소통하며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스파오는 5년 만에 청바지 매출을 2배로 성장시키는 놀라운 성과를 거뒀다.

 

특히, 대규모 물량을 통해 동남아 공장의 연중 가동을 보장함으로써 공임을 절감하고, 노동자들의 숙련도 향상을 통해 생산성을 5배 이상 끌어올리는 '상생 전략'을 펼쳤다. 이는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져왔다.

 


스파오는 한국인 체형에 최적화된 청바지 제품군을 구축하며 시장 경쟁력을 강화했다. 2020년 출시한 '안줄진'을 시작으로, '앵클 테이퍼드 밴딩 진', '앵클 스트레이트 밴딩 진' 등 다양한 핏과 디자인의 청바지를 선보였다. 특히, 키 140~150cm대 중장년층 여성들을 위한 제품들은 평소 기성복 사이즈가 맞지 않아 불편함을 겪었던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이들은 "수선 없이 바로 입을 수 있어서 너무 좋다"며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으로 선택의 폭을 넓힌 것도 주효했다. 스파오는 기본적인 데님 색상 외에도 트렌디한 컬러와 워싱 기법을 적용한 청바지를 출시하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켰다. 또한, 계절별 특화 제품을 선보이며 차별화를 꾀했다. 봄가을용 '데일리지 진', 여름용 '쿨 진', 겨울용 '웜 진' 등 계절에 맞는 최적의 착용감을 제공하며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특히, '쿨 진'에는 땀 흡수 특수소재와 항균·소취 기능을 더해 기능성을 강화했다.

 

최근 스파오는 '올어바웃데님' 컬렉션을 통해 데님 제품군을 강화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청바지뿐만 아니라 스커트, 재킷, 집업 등 다양한 데님 아이템을 출시하며 폭넓은 고객층을 공략하고 있다.

 

2024년 스파오의 매출액은 6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으며, 온라인 매출은 40% 확대된 1700억 원을 차지했다. 이는 국내 SPA 브랜드 중 유니클로, 탑텐에 이어 3위에 해당하는 성적이다. 이랜드월드는 스파오의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 올해 해외 진출보다 국내 시장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현재 132개인 매장을 연내 200개까지 대폭 확대하여 더 많은 고객들에게 스파오의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스파오의 성공은 단순한 '저가 전략'이 아닌, '현장 중심의 제품 개발'과 '한국인 체형에 맞는 맞춤형 전략'이 결합된 결과다. 고물가 시대, 스파오의 '가성비' 전략이 앞으로도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위키드'·'알라딘'이 다 해먹었다…뮤지컬·대중음악만 웃은 3분기 공연계

액은 약 4615억 원에 달하며, 이는 관련 데이터 집계를 시작한 2019년 이래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3846억 원과 비교해도 20%나 증가한 놀라운 성장세다. 이처럼 공연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른 배경에는 대형 팬덤을 움직이는 대중음악 콘서트와 꾸준히 사랑받는 블록버스터 뮤지컬, 그리고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인 무용 장르의 약진이 있었다. 사실상 이 세 장르가 전체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고 봐도 무방하다.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중심에는 단연 대중음악과 뮤지컬이 자리 잡고 있다. 대중음악 장르는 3분기에만 약 2637억 원의 티켓 판매를 기록하며 작년 동기 대비 22.8%라는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뮤지컬 역시 약 1387억 원의 판매액으로 14.9% 증가하며 시장의 굳건한 한 축임을 증명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무용 장르의 비약적인 성장이다. 판매액 자체는 약 64억 원으로 다른 두 장르에 비해 작지만, 성장률은 무려 96.2%에 달하며 거의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는 무용 공연에 대한 관객들의 관심과 수요가 이례적으로 크게 확대되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향후 시장의 다크호스로 떠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하지만 모든 장르가 이러한 축제를 함께 즐긴 것은 아니다. 연극계는 오히려 깊은 그늘에 잠겼다. 3분기 동안 무대에 오른 연극 공연 수는 총 1124건으로 지난해보다 23.4%나 늘어났지만, 정작 티켓 판매액은 약 183억 원으로 오히려 13.5% 감소하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이는 공연의 공급은 양적으로 팽창했지만, 관객들의 발걸음이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뼈아픈 분석으로 이어진다. 수많은 작품이 관객을 만나기 위해 문을 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관객의 선택을 받지 못해 흥행으로 이어지지 못한 연극이 많았다는 의미다. 시장의 양극화가 뚜렷해진 셈이다.실제로 3분기 티켓 판매액 상위 20개 공연의 면면을 살펴보면 이러한 쏠림 현상은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상위 20개 작품 중 무려 12개가 대중음악 콘서트였고, 7개는 대형 뮤지컬이 차지했다. 특히 최상위권인 1위부터 3위까지는 뮤지컬 '위키드' 내한 공연, '알라딘' 부산 투어, '팬텀' 서울 공연이 나란히 이름을 올렸으며, 그 뒤를 이어 블랙핑크의 월드투어와 싸이의 '흠뻑쇼'가 4, 5위를 기록하며 아이돌과 대형 가수의 콘서트 파워를 입증했다. 결국 소수의 블록버스터 뮤지컬과 막강한 팬덤을 등에 업은 대중음악 공연이 전체 시장의 파이를 키우는 동안, 연극계는 그 온기를 제대로 느끼지 못한 채 힘겨운 시간을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