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생활문화

'N차 관람' 열풍 일으킨 '베르테르'..여전히 뜨거운 이유!?

뮤지컬 '베르테르'의 25주년 공연이 오는 16일 서울 디큐브 링크아트센터에서 막을 내린다. 2000년 초연 이후 한국 창작 뮤지컬의 대표작으로 자리잡은 '베르테르'는 25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꾸준히 사랑받아왔다. 초연부터 지금까지 변함없이 감동을 전해온 이 작품은 왜 여전히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는지, 그리고 25주년 공연의 의미는 무엇인지 되돌아보자.

 

'베르테르'는 독일 문학의 거장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원작으로 한다. 이 작품은 2000년에 극단 갖가지가 기획하고 제작하며 초연을 올린 뒤, 그 후에도 계속해서 재공연되어 왔다. 그간 총 12번의 시즌이 진행되었으며, 이 모든 공연에서 '베르테르'는 관객들에게 강렬한 인상과 감동을 남겼다. 특히 2000년 초연 당시, 이 작품은 그 자체로도 큰 화제를 모았지만, 마니아층의 형성도 중요한 특징으로 꼽힌다. 이 팬덤은 ‘베사모(베르테르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라는 커뮤니티를 자발적으로 만들어, 작품에 대한 뜨거운 애정을 표현하며 작품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었다.

 

'베르테르'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바로 그 팬덤의 힘이다. 팬들은 자발적으로 모금 활동을 벌여 재공연을 성사시키기도 했다. 이는 국내 창작 뮤지컬 역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사례로, '베르테르'가 관객과 작품 사이에 깊은 유대감을 형성했음을 보여준다. 그 결과, ‘베르테르’는 한국 창작 뮤지컬의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오랜 세월 동안 재공연되었지만, 작품이 변하지 않고 여전히 사랑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이런 팬들의 끊임없는 지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베르테르'는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고전적인 매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고전의 틀에 머무르지 않고, 매 시즌마다 음악, 연출, 무대미술 등에서 변화를 거듭하며 작품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다. 예를 들어, 2013년에는 연출을 맡은 조광화 연출가가 '화훼산업도시'라는 배경을 설정하면서 작품의 정서를 한층 더 극대화시켰다. 인위적인 아름다움과 베르테르의 격렬한 감정을 대비시키는 연출을 통해, 작품은 한층 더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이때, 해바라기라는 상징적인 꽃을 등장시킨 것도 큰 변화를 일으켰다. 기존의 장미 대신 해바라기를 사용한 것은 베르테르의 순애보와 그 고통을 더욱 잘 표현할 수 있는 상징으로,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음악은 '베르테르'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로, 초연 당시 5인조 편성으로 시작된 음악은 점차 더 풍성한 선율로 변해갔다. 특히, 현재는 챔버 오케스트라라는 11인조 편성으로 구성되어 웅장하면서도 섬세한 음악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렇게 음악과 연출이 점점 더 정교해져 가면서, '베르테르'는 고전적인 정서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더한 작품으로 자리잡았다. 관객들은 변화와 성장을 거듭한 '베르테르'를 통해 여전히 강렬한 감동을 느낄 수 있다.

 

 

 

'베르테르'가 25주년 공연을 통해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이유는 바로 그 명장면과 가슴을 울리는 넘버 덕분이다. 이 뮤지컬은 단순한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에 그치지 않고, 사람의 내면을 섬세하게 그려내며 깊은 감동을 선사한다. 그 중에서도 2막의 클라이맥스에 등장하는 해바라기가 쓰러지는 장면은 관객들 사이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 이 장면은 해바라기의 밝고 따뜻한 색감과 베르테르의 비극적인 선택이 극명하게 대비되며, 감정의 깊이를 극대화시킨다. 해바라기들이 쓰러지는 순간의 소리까지 더해져, 공연이 끝난 후에도 그 장면이 머릿속을 맴돌며 강렬한 여운을 남긴다.

 

뿐만 아니라, '베르테르'에는 '발길을 뗄 수 없으면' 같은 감동적인 넘버들이 있다. 이 곡은 베르테르가 롯데를 향한 사랑을 갈망하며 느끼는 고통과 절망을 담고 있다. 1막과 2막의 엔딩을 장식하며, 작품의 감정선을 극적으로 끌어올린다. 또한 '우리는', '하룻밤이 천년'과 같은 넘버들은 롯데와 베르테르의 감정선을 섬세하게 풀어내며, 관객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긴다.

 

이번 25주년 공연은 그동안 N차 관람을 한 많은 팬들이 다시 한 번 작품을 보기 위해 찾아오며, 여전히 강력한 팬덤을 자랑한다. 베르테르 역에는 엄기준, 양요섭, 김민석이, 롯데 역에는 전미도, 이지혜, 류인아가, 알베르트 역에는 박재윤, 임정모가 출연하며, 펍 여주인 오르카 역에는 류수화, 이영미, 카인즈 역에는 김이담, 이봉준이 출연한다. 이처럼 강력한 출연진이 모여, 작품은 더욱 완성도 높은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베르테르'는 단순한 뮤지컬 이상의 의미를 가진 작품이다.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이지만, 그 안에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고 사랑을 통해 자신을 발견하는 여정을 그린 작품이다. 25주년 공연을 통해 '베르테르'는 여전히 유효한 작품의 힘을 증명하며, 앞으로도 한국 뮤지컬 역사에 길이 남을 명작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박물관은 낮에 가세요! 강릉 야행은 '골목길 인생샷'과 '할머니표 썰'이 메인

일까지 강릉대도호부관아, 서부시장, 명주동 일원에서 성대한 막을 올린다. 2016년 첫선을 보인 이래 1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야행은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과 지역 연계 콘텐츠를 대폭 강화하며, 더욱 풍성하고 다채로운 야간 문화축제를 선보일 예정이다.이번 야행은 밤에 즐길 수 있는 '야경(夜景)', '야설(夜設)', '야로(夜路)', '야사(夜史)', '야화(夜話)' 등 8가지 테마 아래 총 42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역사 문화시설을 야간 개방하는 것은 물론, 다채로운 전시, 체험, 공연 프로그램들이 강릉의 밤을 수놓을 계획이다.축제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강릉대도호부사 부임행차 퍼레이드'다. 강릉의 역사적 상징성을 담은 이 퍼레이드는 관람객들에게 생생한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선사할 것이다. 또한, 강릉시민 모델이 직접 참여하는 '오색달빛 한복 패션쇼'는 전통의 아름다움과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진 특별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밤하늘을 수놓을 '드론, 강릉 국가유산 그리다'는 지난해보다 300대 늘어난 1천 대의 드론이 강릉의 국가유산과 지역 정체성을 표현하는 문구 퍼포먼스를 펼치며 환상적인 장관을 연출할 예정이다. 강릉의 대표 무형문화유산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향연' 역시 놓칠 수 없는 프로그램이다.특히 올해 야행은 기존 국가유산 중심의 프로그램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행사 권역을 명주동 일원까지 확대하며 더욱 풍성한 콘텐츠로 시민과 관광객을 맞이한다. 명주동 골목골목에서는 '할머니가 들려주는 이야기보따리', '명주동 가맥 프로그램' 등 강릉의 정겨운 이야기를 담은 골목 프로그램들이 펼쳐져, 방문객들에게 지역의 정취와 먹거리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먹거리 콘텐츠 또한 대폭 강화되었다. 강릉의 신선한 1차 농·축산물을 활용한 로컬푸드 간식 포장마차, 지역 양조장과 연계한 전통주·수제 맥주 체험존은 물론, 강릉성남시장 상인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프리마켓까지 운영되어 지역 상권과의 상생 모델을 실현한다. 이는 단순한 축제를 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김홍규 강릉시장은 이번 야행이 "국가유산을 단순히 즐기는 것을 넘어, 지역 골목의 일상까지 함께 경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야간 행사"가 될 것이라 강조하며, "시민과 방문객 모두에게 잊지 못할 특별한 추억을 선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강릉의 깊은 역사와 풍부한 문화, 그리고 생동하는 현재가 한데 어우러질 '2025 강릉국가유산야행'은 올여름, 강릉을 대표하는 문화 축제로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