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사회/복지

혼자 있던 집 화재로 숨진 12살 하은이..4명에게 새 생명 선물하고 떠나

 민트초코와 떡볶이를 좋아하고, 수의사를 꿈꾸던 12살 소녀 하은이가 화재로 세상을 떠나며 장기기증으로 4명에게 새 생명을 선물했다. 갑작스러운 비극 속에서도 빛나는 하은이의 마지막 나눔은 많은 이들에게 깊은 슬픔과 감동을 안겨주고 있다.

 

지난달 26일 방학을 맞아 집에 혼자 있던 문하은 양은 예기치 못한 화재로 중태에 빠졌다. 지난해부터 지병을 앓던 아버지는 병원에, 생계를 책임지던 어머니는 일터에 있던 시간이었다. 하은 양은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지만, 끝내 닷새 만에 짧은 생을 마감했다.

 

영상 속 하은 양은 해맑은 미소로 노래를 부른다. "붉은색, 푸른색, 그 사이 3초 그 짧은 시간~ 노란색 빛을 내는~"이라는 가사처럼, 하은이의 삶은 너무나 짧고 안타까웠다. 키우던 고양이 '비누'를 사랑하고, 동물들을 치료해주는 수의사가 되고 싶어 했던 하은이의 꿈은 이제 이룰 수 없게 되었다.

 

하은 양의 가정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었다. 아버지의 병세가 악화되면서 어머니는 세 식구의 생계를 위해 하루 12시간, 주 6일 일해야 했다. 하은 양은 아버지의 투병으로 인해 정부의 '위기 아동' 관리 대상에 여러 차례 포함되었지만, 가정 소득이 기준을 초과하여 실질적인 지원을 받지 못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하은 양은 밝고 사랑스러운 아이였다. 가족들은 하은이를 기억하며, 심장과 췌장 등 4개 부위의 장기 기증을 결정했다. 하은이의 숭고한 나눔은 4명의 환자에게 새로운 삶의 희망을 선물할 것이다.

 


하은 양의 빈소는 부검이 끝나는 대로 5일 차려질 예정이다. 짧은 생을 살다 간 하은이의 마지막 선물은 우리 사회에 깊은 울림을 주고 있다. 

 

하은이의 비극적인 죽음은 우리 사회의 취약 계층 아동 보호 시스템에 대한 점검과 개선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위기 아동' 관리 대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득 기준 초과로 지원을 받지 못한 하은이의 사례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아이들이 여전히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부와 관련 기관은 위기 아동 지원 기준을 현실에 맞게 개선하고,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에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화재 예방 교육 및 안전 점검 강화 등 재발 방지 노력을 통해 다시는 이와 같은 안타까운 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위키드'·'알라딘'이 다 해먹었다…뮤지컬·대중음악만 웃은 3분기 공연계

액은 약 4615억 원에 달하며, 이는 관련 데이터 집계를 시작한 2019년 이래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3846억 원과 비교해도 20%나 증가한 놀라운 성장세다. 이처럼 공연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른 배경에는 대형 팬덤을 움직이는 대중음악 콘서트와 꾸준히 사랑받는 블록버스터 뮤지컬, 그리고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인 무용 장르의 약진이 있었다. 사실상 이 세 장르가 전체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고 봐도 무방하다.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중심에는 단연 대중음악과 뮤지컬이 자리 잡고 있다. 대중음악 장르는 3분기에만 약 2637억 원의 티켓 판매를 기록하며 작년 동기 대비 22.8%라는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뮤지컬 역시 약 1387억 원의 판매액으로 14.9% 증가하며 시장의 굳건한 한 축임을 증명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무용 장르의 비약적인 성장이다. 판매액 자체는 약 64억 원으로 다른 두 장르에 비해 작지만, 성장률은 무려 96.2%에 달하며 거의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는 무용 공연에 대한 관객들의 관심과 수요가 이례적으로 크게 확대되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향후 시장의 다크호스로 떠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하지만 모든 장르가 이러한 축제를 함께 즐긴 것은 아니다. 연극계는 오히려 깊은 그늘에 잠겼다. 3분기 동안 무대에 오른 연극 공연 수는 총 1124건으로 지난해보다 23.4%나 늘어났지만, 정작 티켓 판매액은 약 183억 원으로 오히려 13.5% 감소하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이는 공연의 공급은 양적으로 팽창했지만, 관객들의 발걸음이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뼈아픈 분석으로 이어진다. 수많은 작품이 관객을 만나기 위해 문을 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관객의 선택을 받지 못해 흥행으로 이어지지 못한 연극이 많았다는 의미다. 시장의 양극화가 뚜렷해진 셈이다.실제로 3분기 티켓 판매액 상위 20개 공연의 면면을 살펴보면 이러한 쏠림 현상은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상위 20개 작품 중 무려 12개가 대중음악 콘서트였고, 7개는 대형 뮤지컬이 차지했다. 특히 최상위권인 1위부터 3위까지는 뮤지컬 '위키드' 내한 공연, '알라딘' 부산 투어, '팬텀' 서울 공연이 나란히 이름을 올렸으며, 그 뒤를 이어 블랙핑크의 월드투어와 싸이의 '흠뻑쇼'가 4, 5위를 기록하며 아이돌과 대형 가수의 콘서트 파워를 입증했다. 결국 소수의 블록버스터 뮤지컬과 막강한 팬덤을 등에 업은 대중음악 공연이 전체 시장의 파이를 키우는 동안, 연극계는 그 온기를 제대로 느끼지 못한 채 힘겨운 시간을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