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카이 '솔로 무대' 깜짝 등장한 수호.."엑소 형제 케미 폭발"

 그룹 엑소(EXO)의 리더 수호가 같은 그룹 멤버인 카이의 솔로 앨범 쇼케이스 MC로 나서며 두 사람의 끈끈한 우정을 다시금 입증했다. 21일 오후 서울 광진구 예스24라이브홀에서는 카이의 네 번째 미니앨범 ‘Wait On Me’ 발매 기념 미디어 쇼케이스가 개최됐다. 이날 쇼케이스의 진행은 수호가 맡아 현장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었다.

 

수호는 무대에 올라 자신을 "엑소의 리더 수호"라고 소개한 뒤 "오늘은 정말 대세 쇼케이스다. 이분이 유튜브와 예능, 음악을 포함해 모든 분야를 섭렵하고 계시다"며 카이를 유쾌하게 소개했다. 이어 “진행을 맡은 것이 가볍게 생각했던 일은 아니었고, 오히려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슈퍼주니어 선배님들처럼 쇼케이스 MC를 능숙하게 해내는 분들을 참고했어야 했는데, 지금이라도 후회된다”고 농담을 던져 현장에 웃음을 안겼다.

 

이에 카이는 “형이 진행을 맡아줘서 정말 감사하다. 컴백 무대를 준비하며 긴장되고 부담됐는데 수호 형이 함께해줘 감동적”이라며 진심 어린 고마움을 전했다. 두 사람은 과거 수호가 군 복무 후 첫 앨범을 냈을 당시 카이가 MC를 맡았던 일을 언급하며, 서로의 활동을 응원하고 돕는 관계임을 강조했다. 수호는 “당시 카이가 나의 쇼케이스 MC를 자청해서 도와줬는데, 이번에 그 빚을 갚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또한 수호는 “오늘 쇼케이스 현장에는 SM 대표님도 와 계신다”며 “이 자리를 마지막으로 MC는 그만두겠다. 후배들 데뷔 쇼케이스에 부를 일도 없을 것 같아 마음이 편하다”며 웃음을 자아냈다. 이어 “MC로서는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 부족한 점이 많았지만 진심을 담아 진행했다”고 말하며 겸손한 태도를 보였다.

 

 

 

이번 쇼케이스의 주인공인 카이는 지난 2023년 발표한 세 번째 미니앨범 ‘Rover’ 이후 약 2년 만에 발표하는 신보로 돌아왔다. 새 앨범의 타이틀곡 ‘Wait On Me’는 아프로비츠 리듬을 기반으로 한 팝 장르의 곡으로, 절제된 타악기 리듬과 신스 스트링 사운드가 어우러져 긴장감과 몰입감을 유도한다. 감정을 서서히 드러내는 ‘기다림’의 아름다움을 음악적으로 표현했으며, 가사 속 ‘Wait’라는 메시지를 직관적으로 담아낸 포인트 안무와 파워풀한 댄스 브레이크도 인상적이다.

 

이날 오후 6시에 정식 발매되는 앨범 ‘Wait On Me’에는 타이틀곡을 포함해 총 7곡이 수록됐다. 선공개곡 ‘Adult Swim’은 이미 팬들 사이에서 카이 특유의 나른하고 청량한 분위기를 담아낸 곡으로 주목받았으며, ‘Walls Don't Talk’, ‘Pressure’, ‘Ridin'’, ‘Off and Away’, ‘Flight to Paris’까지 다채로운 분위기의 곡들이 포함돼 기다림의 시간 끝에 한층 성숙해진 카이의 음악 세계를 선보인다.

 

이번 앨범을 통해 카이는 음악성과 퍼포먼스를 동시에 인정받는 솔로 아티스트로서 입지를 다시금 확고히 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또한 쇼케이스 현장에서 그동안의 공백기 동안 준비한 음악과 무대에 대한 기대감을 전하며 팬들과 음악 관계자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엑소 멤버 간의 끈끈한 우정과 팀워크를 엿볼 수 있었던 이번 쇼케이스는, 카이의 음악적 귀환뿐 아니라 오랜만에 무대 밖에서 만난 수호의 입담과 존재감까지 더해져 훈훈한 분위기 속에서 마무리됐다.

 

'이것' 덕분에 제주 해녀·방언 인기 폭발

롭게 각인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관광공사가 올 상반기 동안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정밀 분석해 발간한 ‘데이터로 보는 제주여행-폭싹속았수다편’ 보고서에 따르면, 이 드라마는 기존의 제주 배경 드라마들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제주의 매력을 전파했다.앞서 ‘웰컴투삼달리’와 ‘우리들의 블루스’ 같은 드라마들은 오조포구, 안돌오름, 광치기해변, 가파도, 비양도, 오일장 등 특정 촬영지 중심의 연관어가 주로 나타나 제주를 ‘여행지’로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폭싹속았수다’는 ‘제주’, ‘성산일출봉’, ‘유채꽃밭’ 등 드라마 속 아름다운 자연경관뿐 아니라 ‘해녀’, ‘방언’, ‘문화’, ‘시대극’ 등 제주 고유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키워드를 다수 포함해 제주를 ‘이야기’ 중심으로 전달한 점이 특징적이다. 특히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제주 해녀에 대한 관심은 드라마 방영 시점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드라마 방영 직전인 2025년 1~2월의 해녀 언급량은 월평균 약 5천 건 수준이었으나, 3월에는 7,460건으로 약 41% 증가했다. 이후 4월과 5월에도 각각 6,791건과 7,072건으로 높은 관심이 지속되었다. 기존의 ‘음식’, ‘식당’ 중심 연관어에서 벗어나 ‘엄마’, ‘삶’, ‘이야기’ 같은 정서적이고 인간적인 키워드가 함께 등장하며 해녀가 단순한 직업이나 관광 콘텐츠를 넘어 제주의 문화적 상징으로 다시 조명받는 흐름이 뚜렷하게 드러났다.또한 드라마에서 사용된 제주 고유의 방언과 표현들이 화제를 모으면서 제주 방언에 대한 대중적 관심도 크게 확대되었다. 유튜브에서는 2025년 3월과 4월 제주 방언 관련 콘텐츠가 각각 26편과 32편 업로드됐으며, 4월 한 달 동안 이들 영상의 누적 조회수가 약 220만 회에 달하는 등 제주어에 대한 호기심이 영상 콘텐츠를 통해 폭발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드라마의 주요 촬영지였던 김녕해수욕장과 제주목관아에 대한 방문객과 관심도 크게 증가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김녕해수욕장으로의 차량 도착 수는 드라마 방영 전인 2025년 1~~2월 평균 2,442대에서 방영 후인 3~~4월 4,775대로 무려 96% 가까이 늘었으며, 온라인 언급량도 1,814건에서 2,602건으로 약 43% 증가했다. 제주목관아 역시 차량 도착 수가 198대에서 347대로 약 75% 증가했고, 온라인 언급량은 514건에서 744건으로 약 45% 상승하는 등 드라마 방영 효과가 실제 관광객 방문과 온라인 화제성에 고루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이 같은 데이터는 ‘폭싹속았수다’가 제주 관광 홍보에 있어 단순한 자연 풍광이나 관광 명소 소개를 넘어, 지역 문화와 전통,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 제주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 성공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해녀’와 ‘제주 방언’ 등 무형문화재적 가치와 지역 정체성을 드라마 콘텐츠에 녹여냄으로써 관광객들의 문화 체험 욕구를 자극하고, 이에 따라 관련 장소 방문이 증가하는 선순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분석 결과는 제주가 단순한 휴양지에서 벗어나 고유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아우르는 풍부한 이야기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전통과 문화를 소재로 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제주 관광의 질적 성장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폭싹속았수다’ 사례는 콘텐츠를 통한 지역 문화 가치 재조명과 관광 활성화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으며, 향후 지역 관광 정책과 콘텐츠 제작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