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생활문화

'소소 음악회'·'장단의 재발견', 놓치면 후회하는 국악여행

 우리 전통음악, 국악을 새롭고 친숙하게 만나는 특별한 공연들이 잇따라 관객을 찾고 있다. 청소년을 비롯한 다양한 연령층이 국악을 보다 가깝게 느끼고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된 이번 공연들은 전통음악의 현대적 재해석과 창의적 시도를 통해 국악의 매력을 한층 확장하고 있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은 오는 30일부터 31일까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소소 음악회’를 개최한다. ‘소소 음악회’는 청소년들이 국악을 친근하게 접하고 재미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된 공연으로, 2021년 초연 이래 매년 새로운 구성과 주제로 관객들과 만나왔다. 올해 공연은 청소년기의 복합적 정서를 주제로, 청소년들의 하루를 따라가며 그들의 내면을 국악관현악 작품으로 생생히 표현한다.

 

이번 음악회는 지각하는 아침의 분주함을 이고운 작곡가의 ‘마지막 3분, 무당의 춤’으로 시작한다. 이어 청소년들의 사랑의 설렘을 국악관현악으로 편곡한 걸그룹 QWER의 ‘고민중독’이 신선한 감각으로 무대에 올려진다. 또한 이번 공연을 위해 위촉된 김대성 작곡가의 ‘청산(靑山)’과 국립국악관현악단 상주 작곡가 손다혜의 ‘버럭(怒)’도 관객을 찾아간다. 이 곡들은 청소년의 다양한 감정을 국악을 통해 깊이 있게 담아내며, 전통음악과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진 무대를 완성한다.

 

특히 올해 ‘소소 음악회’는 카카오와의 공동 프로젝트로 진행되며, 인기 캐릭터 춘식이가 공연 안내자 역할을 맡아 친근하고 재미있는 공연 분위기를 조성한다. 춘식이의 등장으로 청소년 관객들의 흥미를 더욱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은 다음 달 26일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장단의 재발견’ 공연을 선보인다. 이 공연은 ‘리(Re)-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국악관현악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 전통 장단의 반복과 흐름을 기반으로 국악관현악을 재조명하는 의미 있는 무대다.

 

공연은 서울시국악관현악단장을 역임한 고(故) 김희조 작곡가의 ‘합주곡 3번’으로 시작된다. 이 작품은 굿거리, 타령, 자진모리 등 전통 장단들이 유기적으로 흐르며 국악관현악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김희조 작곡가가 남긴 이 곡은 국악의 전통성과 현대적 재해석을 조화롭게 담아내어 깊은 울림을 전한다.

 

이어 차세대 음악가 이하느리 작곡가의 신작 ‘언셀렉티드 앰비언트 루프스 25-25(Unselected Ambient Loops 25-25)’가 초연된다. 이하느리는 버르토크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주목받은 젊은 작곡가로, 피아니스트 임윤찬이 위촉한 작품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번 신작은 이하느리의 첫 국악관현악곡으로, 전통 악기의 물성과 음향적 잠재력을 실험적으로 탐구하는 혁신적인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

 

이하느리는 공연 당일 지휘자 최수열과의 대화 시간도 마련해 관객들과 직접 만나 자신의 창작 의도와 곡의 리듬 구조를 상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이러한 소통의 자리는 관객들이 공연을 더 깊이 이해하고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음악의 세계에 한층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두 공연은 국악이 단순한 전통음악을 넘어 현대 사회의 다양한 감정과 문화를 표현하는 예술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청소년들의 일상을 소재로 한 ‘소소 음악회’는 국악을 보다 쉽고 친근하게 다가가게 하며, ‘장단의 재발견’은 국악관현악의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탐구한다.

 

국악의 전통과 현대가 만나 새로운 소통의 장을 열고 있는 이들 공연은 우리 음악이 가진 무한한 잠재력을 다시 한 번 확인시키며, 관객들에게 신선한 감동과 깊은 울림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양한 세대가 국악을 경험하며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세종대왕이 가장 아꼈던 아들, 광평대군의 비밀 600년 만에 공개

광평대군 탄신일을 기념해 오는 26일부터 다음 달 22일까지 밀알미술관에서 문화유산 특별전 '필경재가 간직한 600년,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을 개최한다고 밝혔다.광평대군은 세종대왕의 아들 중 특별한 존재였다. 그는 1425년 태어나 1436년 신씨와 혼인했으나, 불과 19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세종실록에는 광평대군의 죽음에 세종대왕이 깊이 슬퍼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광평대군은 죽기 전 1444년 아들 영순군을 얻었지만, 그해 세상을 떠나면서 부인 신씨는 이후 비구니가 되어 불교에 귀의한 것으로 전해진다.이번 전시의 가장 큰 의미는 강남구 수서동 궁마을에 위치한 고택 '필경재'에서 600여 년간 간직해온 문중의 유물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다는 점이다. 조선 성종 때 건립된 필경재는 강남구에 위치한 유일한 종가 고택으로, 광평대군의 후손들이 대대로 가문의 유산을 보존하며 살아온 역사적 공간이다.전시는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의 삶과 정신을 총 6부로 나누어 구성했다. '기억의 공간, 필경재', '광평대군과 신씨', '17세기 이후원과 후손', '17~18세기 초 이유와 후손', '18세기 이최중과 후손', '19세기 초~20세기 초 후손, 가문의 행적' 등 시대별 인물과 그 활동을 중심으로 조선왕실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이번에 공개되는 전시유물은 고문서, 교지, 초상화, 병풍, 도자기, 고가구 등 100여 점에 이른다. 모두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진귀한 문화유산으로, 조선왕실 연구에도 높은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특히 주목할 만한 유물로는 광평대군의 부인 신씨가 발원한 '묘법연화경'이 있다. 이는 남편을 일찍 잃고 비구니가 된 신씨의 슬픔과 신앙심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또한 지역 빈민 구휼기구에 대한 기록을 담은 '사창의', 사대부의 재산 상속 문제를 기록한 '화회문기', 과거 시험 급제자의 답안지 등도 함께 전시된다. 이들 유물은 조선시대 왕실 및 양반 가문의 생활과 문화, 사회제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필경재를 세운 정안부정공 이천수의 후손인 이병무 대표는 "선조들의 흔적을 한 점도 놓치지 않겠다는 사명감으로 사료를 수집하고 보존해왔다"고 밝혔다. 이는 한 가문이 60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조상의 유산을 지켜온 노력과 정성을 보여주는 증언이다.조성명 강남구청장은 "한 가문이 지켜온 기록유산은 국가의 역사이자 지역의 자산"이라며 "뜻깊은 유산을 공개해준 필경재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조선왕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회가 될 뿐만 아니라, 강남구의 숨겨진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특별전은 단순한 유물 전시를 넘어, 600년 전 세종대왕의 아들과 그 후손들이 이어온 삶의 궤적을 따라가는 시간 여행이자, 우리 역사의 소중한 한 페이지를 복원하는 의미 있는 행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