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드디어 돌아온 이도현! 임지연 '곰신' 생활 끝! 이제 꽃길만 걷자

 배우 이도현이 13일부로 국방의 의무를 마치고 만기 전역하며 뜨거운 관심 속에 팬들 곁으로 돌아왔다. 2023년 8월 공군 군악대에 입대하여 약 2년간 성실하게 복무를 마친 이도현의 전역 소식은 그의 연인인 배우 임지연의 '곰신' 생활 마무리와 함께 더욱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도현은 입대 당시 많은 이들의 아쉬움을 샀지만, 군 복무 기간이 무색할 만큼 활발한 활동과 성과를 보여주며 '군백기'라는 단어를 무색하게 만들었다. 군 복무 중 개봉한 영화 '파묘'가 천만 관객을 돌파하며 흥행에 성공했고, 넷플릭스 시리즈 '스위트홈' 시즌 2와 3에도 출연하며 대중과의 접점을 꾸준히 이어갔다. 

 

특히 '파묘'에서의 인상 깊은 연기로 지난해 제60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영화 부문 남자 신인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군인 신분으로 권위 있는 시상식에서 트로피를 거머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그의 연기력과 스타성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처럼 군 복무 중에도 식지 않는 존재감을 보여준 이도현이기에, 전역 후 그의 행보에 더욱 큰 기대가 쏠리고 있다. '믿고 보는 배우'로 자리매김한 그가 어떤 작품으로 복귀할지 초미의 관심사다. 현재 홍자매 작가의 신작 출연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그의 복귀작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배우로서의 행보만큼이나 대중의 관심을 받는 것은 바로 연인 임지연과의 관계다. 두 사람은 이도현의 군 복무 기간에도 변함없는 애정을 과시하며 서로에게 힘이 되어왔다. 

 

2022년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를 통해 만나 연인으로 발전한 두 사람은 지난해 4월 1일 열애 사실을 쿨하게 인정하며 공개 연애를 시작했다. 이후 시상식에서 서로를 향한 애정을 표현하거나 공개 데이트를 즐기는 모습이 포착되며 많은 이들의 부러움을 샀다. 특히 이도현은 백상예술대상 수상 당시 "사랑하는 우리 지연아 너무 고맙다"고 공개적으로 마음을 전해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도현의 전역으로 두 사람은 이전보다 훨씬 자유롭게 데이트를 즐기며 사랑을 이어갈 수 있게 되었다.

 

군 복무 기간에도 뜨거운 존재감을 입증하며 성공적인 '군백기'를 보낸 배우 이도현. 이제 군복을 벗고 본격적인 활동 재개를 알린 그가 연기자로서 어떤 새로운 모습을 보여줄지, 그리고 사랑과 일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며 '인생 2막'을 어떻게 펼쳐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세종대왕이 가장 아꼈던 아들, 광평대군의 비밀 600년 만에 공개

광평대군 탄신일을 기념해 오는 26일부터 다음 달 22일까지 밀알미술관에서 문화유산 특별전 '필경재가 간직한 600년,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을 개최한다고 밝혔다.광평대군은 세종대왕의 아들 중 특별한 존재였다. 그는 1425년 태어나 1436년 신씨와 혼인했으나, 불과 19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세종실록에는 광평대군의 죽음에 세종대왕이 깊이 슬퍼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광평대군은 죽기 전 1444년 아들 영순군을 얻었지만, 그해 세상을 떠나면서 부인 신씨는 이후 비구니가 되어 불교에 귀의한 것으로 전해진다.이번 전시의 가장 큰 의미는 강남구 수서동 궁마을에 위치한 고택 '필경재'에서 600여 년간 간직해온 문중의 유물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다는 점이다. 조선 성종 때 건립된 필경재는 강남구에 위치한 유일한 종가 고택으로, 광평대군의 후손들이 대대로 가문의 유산을 보존하며 살아온 역사적 공간이다.전시는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의 삶과 정신을 총 6부로 나누어 구성했다. '기억의 공간, 필경재', '광평대군과 신씨', '17세기 이후원과 후손', '17~18세기 초 이유와 후손', '18세기 이최중과 후손', '19세기 초~20세기 초 후손, 가문의 행적' 등 시대별 인물과 그 활동을 중심으로 조선왕실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이번에 공개되는 전시유물은 고문서, 교지, 초상화, 병풍, 도자기, 고가구 등 100여 점에 이른다. 모두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진귀한 문화유산으로, 조선왕실 연구에도 높은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특히 주목할 만한 유물로는 광평대군의 부인 신씨가 발원한 '묘법연화경'이 있다. 이는 남편을 일찍 잃고 비구니가 된 신씨의 슬픔과 신앙심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또한 지역 빈민 구휼기구에 대한 기록을 담은 '사창의', 사대부의 재산 상속 문제를 기록한 '화회문기', 과거 시험 급제자의 답안지 등도 함께 전시된다. 이들 유물은 조선시대 왕실 및 양반 가문의 생활과 문화, 사회제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필경재를 세운 정안부정공 이천수의 후손인 이병무 대표는 "선조들의 흔적을 한 점도 놓치지 않겠다는 사명감으로 사료를 수집하고 보존해왔다"고 밝혔다. 이는 한 가문이 60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조상의 유산을 지켜온 노력과 정성을 보여주는 증언이다.조성명 강남구청장은 "한 가문이 지켜온 기록유산은 국가의 역사이자 지역의 자산"이라며 "뜻깊은 유산을 공개해준 필경재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조선왕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회가 될 뿐만 아니라, 강남구의 숨겨진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특별전은 단순한 유물 전시를 넘어, 600년 전 세종대왕의 아들과 그 후손들이 이어온 삶의 궤적을 따라가는 시간 여행이자, 우리 역사의 소중한 한 페이지를 복원하는 의미 있는 행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