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생활문화

올여름, 대학로가 '프리다'로 뜨거워진다!

 뜨거운 여름과 함께 뮤지컬 '프리다'가 소극장 뮤지컬의 본고장인 대학로로 돌아와 관객들에게 더욱 밀접하고 강렬한 무대를 선사할 예정이다. '프리다'는 오는 6월 17일 서울 NOL 유니플렉스 1관에서 개막하여 9월 7일까지 공연을 이어간다.

 

멕시코의 위대한 화가 프리다 칼로의 드라마틱한 삶을 조명하며 2022년 초연과 2023년 재연에서 이미 관객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았던 '프리다'는 이번 대학로 진출을 통해 소극장 특유의 몰입도 높은 분위기 속에서 관객들과 더욱 깊이 호흡할 것으로 기대된다. 에너제틱한 음악과 드라마틱한 감정선이 소극장의 밀도 높은 공간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될 전망이며, 배우들의 열연을 가까이에서 마주하며 작품의 서사에 더욱 깊이 공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공간에 활력을 불어넣을 새로운 캐스트들의 합류도 주목할 만하다. 이번 시즌 '프리다' 역에는 김지우, 정유지가 새롭게 이름을 올렸으며, 레플레하 역에는 장은아, 아이키, 데스티노 역에는 이지연, 메모리아 역에는 유연정이 합류한다. 이들은 이미 다양한 작품에서 뛰어난 역량을 입증한 만큼, '프리다'에서 선보일 새로운 에너지에 기대가 모인다. 지난 시즌부터 함께해 온 김소향, 김히어라, 전수미, 이아름솔, 박선영, 박시인, 허윤슬 배우 역시 더욱 깊어진 캐릭터 해석과 연기력으로 다시 한번 열정적인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뮤지컬 '프리다'는 불의의 사고 속에서도 삶의 의지를 잃지 않았던 프리다 칼로의 마지막 생애를 '라스트 나이트 쇼'라는 독창적인 컨셉으로 풀어낸 쇼 뮤지컬이다. 반복되는 고난에도 좌절하지 않았던 열정적인 예술가 프리다 칼로의 마지막 순간들을 통해 그녀가 남긴 "비바 라 비다(VIVA LA VIDA!)"라는 메시지, 즉 삶을 향한 열정과 치유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웃는 남자', '베토벤; Beethoven Secret' 등 대형 흥행작을 제작한 EMK의 첫 번째 소극장 창작 뮤지컬인 '프리다'는 추정화 연출가(작/연출), 허수현 작곡가 겸 음악감독(작/편곡), 김병진 안무가 등 창작 뮤지컬계의 황금 콤비가 의기투합하여 매 시즌 큰 사랑을 받으며 소극장 창작 뮤지컬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해왔다.

 

'프리다'는 2022년 초연 당시 객석 점유율 94%를 기록하며 작품성과 흥행성을 동시에 입증했으며, 지난해 9월에는 미국 USC(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의 초청을 받아 성공적으로 해외 공연을 마치기도 했다.

 

더욱 가까워진 무대, 새로운 얼굴들과 깊어진 기존 캐스트들의 시너지로 올여름 대학로를 뜨겁게 달굴 뮤지컬 '프리다'에 귀추가 주목된다.

 

세종대왕이 가장 아꼈던 아들, 광평대군의 비밀 600년 만에 공개

광평대군 탄신일을 기념해 오는 26일부터 다음 달 22일까지 밀알미술관에서 문화유산 특별전 '필경재가 간직한 600년,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을 개최한다고 밝혔다.광평대군은 세종대왕의 아들 중 특별한 존재였다. 그는 1425년 태어나 1436년 신씨와 혼인했으나, 불과 19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세종실록에는 광평대군의 죽음에 세종대왕이 깊이 슬퍼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광평대군은 죽기 전 1444년 아들 영순군을 얻었지만, 그해 세상을 떠나면서 부인 신씨는 이후 비구니가 되어 불교에 귀의한 것으로 전해진다.이번 전시의 가장 큰 의미는 강남구 수서동 궁마을에 위치한 고택 '필경재'에서 600여 년간 간직해온 문중의 유물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다는 점이다. 조선 성종 때 건립된 필경재는 강남구에 위치한 유일한 종가 고택으로, 광평대군의 후손들이 대대로 가문의 유산을 보존하며 살아온 역사적 공간이다.전시는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의 삶과 정신을 총 6부로 나누어 구성했다. '기억의 공간, 필경재', '광평대군과 신씨', '17세기 이후원과 후손', '17~18세기 초 이유와 후손', '18세기 이최중과 후손', '19세기 초~20세기 초 후손, 가문의 행적' 등 시대별 인물과 그 활동을 중심으로 조선왕실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이번에 공개되는 전시유물은 고문서, 교지, 초상화, 병풍, 도자기, 고가구 등 100여 점에 이른다. 모두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진귀한 문화유산으로, 조선왕실 연구에도 높은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특히 주목할 만한 유물로는 광평대군의 부인 신씨가 발원한 '묘법연화경'이 있다. 이는 남편을 일찍 잃고 비구니가 된 신씨의 슬픔과 신앙심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또한 지역 빈민 구휼기구에 대한 기록을 담은 '사창의', 사대부의 재산 상속 문제를 기록한 '화회문기', 과거 시험 급제자의 답안지 등도 함께 전시된다. 이들 유물은 조선시대 왕실 및 양반 가문의 생활과 문화, 사회제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필경재를 세운 정안부정공 이천수의 후손인 이병무 대표는 "선조들의 흔적을 한 점도 놓치지 않겠다는 사명감으로 사료를 수집하고 보존해왔다"고 밝혔다. 이는 한 가문이 60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조상의 유산을 지켜온 노력과 정성을 보여주는 증언이다.조성명 강남구청장은 "한 가문이 지켜온 기록유산은 국가의 역사이자 지역의 자산"이라며 "뜻깊은 유산을 공개해준 필경재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조선왕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회가 될 뿐만 아니라, 강남구의 숨겨진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특별전은 단순한 유물 전시를 넘어, 600년 전 세종대왕의 아들과 그 후손들이 이어온 삶의 궤적을 따라가는 시간 여행이자, 우리 역사의 소중한 한 페이지를 복원하는 의미 있는 행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