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조정석, 드디어 백상의 남자로.."첫 최우수 연기상 수상"

 배우 조정석이 '제61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을 수상하며 주목을 받았다. 이번 시상식은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D홀에서 열렸으며, 대중문화 종합 예술 시상식으로 TV, 영화,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이룬 인물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조정석은 영화 '파일럿'에서의 뛰어난 연기로 이번 백상예술대상에서 처음으로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조정석은 수상자로 무대에 오르며 "너무 감사합니다. 상을 받으면 감사한 분들이 머릿속에 맴돕니다. 함께 즐겁게 영화 '파일럿'을 만든 감독, 배우, 스태프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그는 "개인적으로 이 작품이 도전이었습니다. '잘할 수 있을까', '무모한 도전은 아닐까' 하는 걱정도 있었습니다. 믿음을 가지고 동료 선후배들과 작업했는데, 그게 무모한 도전이 아니라 인정받는 기분이 들어 감사합니다"라며 이번 작품에 대한 애정과 함께 그 동안의 노력을 회상했다.

 

조정석은 "그 도전이 무모하지 않고 성공했구나 인정받게끔 영화 '파일럿'을 사랑해주신 많은 관객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라고 덧붙이며 관객들에 대한 감사 인사도 잊지 않았다. 이어 그는 "우리 가족 너무 사랑합니다. 앞으로도 계속 열심히 도전하는 배우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라고 벅찬 소감을 마무리 지었다. 그의 소감에서 느껴지는 진심과 겸손함은 많은 이들의 감동을 자아냈다.

 

 

 

조정석이 출연한 영화 '파일럿'은 지난해 개봉해 약 47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큰 흥행을 기록했다. 그는 영화에서 스타 파일럿 한정우와 재취업에 성공한 한정미 역을 맡아 1인 2역을 완벽하게 소화했다. 특히 진퇴양난에 빠진 한정우의 복잡한 내면을 밀도 높은 연기력으로 그려내며 관객들의 호평을 받았다. 그의 연기는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고, 이를 통해 그는 이번 백상예술대상에서 큰 영예를 안았다.

 

조정석은 그동안 꾸준히 연기력을 인정받아 왔다. 그는 '15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에서 대통령 표창을 비롯해 '제11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다수의 상을 휩쓸었다. 이번 백상예술대상 남자 최우수 연기상 수상 역시 그의 연기 인생에서 또 다른 이정표를 세운 순간이었다.

 

조정석의 개인적인 삶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는 2015년 2월부터 가수 거미와 공개연애를 시작한 뒤, 2018년 10월 부부의 연을 맺었다. 두 사람은 슬하에 딸 하나를 두고 있으며, 화목한 가정을 이루고 있다. 그의 가정적인 모습과 연기 활동에서의 성취는 팬들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남기고 있다.

 

앞으로도 조정석은 다채로운 활동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오는 7월 개봉 예정인 영화 '좀비딸'(좀비가 되어버린 나의 딸)에서 새로운 도전에 나선다. 이번 작품에서도 그는 어떤 연기를 펼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그의 차기작에 대한 기대가 더욱 커지고 있다.

 

조정석은 이번 백상예술대상 수상으로 다시 한 번 자신의 연기력을 입증했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도전하는 배우로서의 길을 걸어갈 것을 다짐했다. 그의 열정과 진지한 자세는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으며, 그의 연기 경로에 큰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세종대왕이 가장 아꼈던 아들, 광평대군의 비밀 600년 만에 공개

광평대군 탄신일을 기념해 오는 26일부터 다음 달 22일까지 밀알미술관에서 문화유산 특별전 '필경재가 간직한 600년,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을 개최한다고 밝혔다.광평대군은 세종대왕의 아들 중 특별한 존재였다. 그는 1425년 태어나 1436년 신씨와 혼인했으나, 불과 19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세종실록에는 광평대군의 죽음에 세종대왕이 깊이 슬퍼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광평대군은 죽기 전 1444년 아들 영순군을 얻었지만, 그해 세상을 떠나면서 부인 신씨는 이후 비구니가 되어 불교에 귀의한 것으로 전해진다.이번 전시의 가장 큰 의미는 강남구 수서동 궁마을에 위치한 고택 '필경재'에서 600여 년간 간직해온 문중의 유물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된다는 점이다. 조선 성종 때 건립된 필경재는 강남구에 위치한 유일한 종가 고택으로, 광평대군의 후손들이 대대로 가문의 유산을 보존하며 살아온 역사적 공간이다.전시는 광평대군과 그 후손들의 삶과 정신을 총 6부로 나누어 구성했다. '기억의 공간, 필경재', '광평대군과 신씨', '17세기 이후원과 후손', '17~18세기 초 이유와 후손', '18세기 이최중과 후손', '19세기 초~20세기 초 후손, 가문의 행적' 등 시대별 인물과 그 활동을 중심으로 조선왕실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이번에 공개되는 전시유물은 고문서, 교지, 초상화, 병풍, 도자기, 고가구 등 100여 점에 이른다. 모두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진귀한 문화유산으로, 조선왕실 연구에도 높은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특히 주목할 만한 유물로는 광평대군의 부인 신씨가 발원한 '묘법연화경'이 있다. 이는 남편을 일찍 잃고 비구니가 된 신씨의 슬픔과 신앙심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또한 지역 빈민 구휼기구에 대한 기록을 담은 '사창의', 사대부의 재산 상속 문제를 기록한 '화회문기', 과거 시험 급제자의 답안지 등도 함께 전시된다. 이들 유물은 조선시대 왕실 및 양반 가문의 생활과 문화, 사회제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필경재를 세운 정안부정공 이천수의 후손인 이병무 대표는 "선조들의 흔적을 한 점도 놓치지 않겠다는 사명감으로 사료를 수집하고 보존해왔다"고 밝혔다. 이는 한 가문이 60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조상의 유산을 지켜온 노력과 정성을 보여주는 증언이다.조성명 강남구청장은 "한 가문이 지켜온 기록유산은 국가의 역사이자 지역의 자산"이라며 "뜻깊은 유산을 공개해준 필경재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조선왕실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회가 될 뿐만 아니라, 강남구의 숨겨진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특별전은 단순한 유물 전시를 넘어, 600년 전 세종대왕의 아들과 그 후손들이 이어온 삶의 궤적을 따라가는 시간 여행이자, 우리 역사의 소중한 한 페이지를 복원하는 의미 있는 행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