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타임

스포츠타임

'인종차별' 의혹까지... 트랜스퍼마크트의 손흥민 '지우기' 파문

 축구 통계 매체 '트랜스퍼마크트'가 최근 SNS에 공개한 지난 20시즌 프리미어리그 득점왕 목록에서 손흥민의 이름이 누락되어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매체는 2005-06시즌 티에리 앙리(27골)부터 2024-25시즌 모하메드 살라(29골)까지의 득점왕들을 소개했지만, 2021-22시즌에는 손흥민을 제외하고 살라만 언급했다.

 

당시 손흥민과 살라는 나란히 23골을 기록하며 공동 득점왕에 올랐다. 특히 주목할 점은 손흥민이 페널티킥 없이 순수 필드골로만 23골을 기록한 반면, 살라는 9골을 페널티킥으로 득점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트랜스퍼마크트가 손흥민을 목록에서 제외한 것에 대해 전 세계 축구 팬들은 강한 의문을 제기했다.

 

팬들은 "손흥민은 어딨어?", "왜 살라와 공동 득점왕 손흥민은 추가하지 않았어?", "살라는 페널티킥 9골, 손흥민은 0골인데", "인종차별이네" 등의 댓글을 남기며 불만을 표출했다.

 

이번 누락은 손흥민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해당 그래픽에서는 다른 공동 득점왕들도 일부 제외되었다. 2010-11시즌 카를로스 테베스와 디미타르 베르바토프가 20골로 공동 득점왕에 올랐지만 테베스만 언급되었고, 2018-19시즌에는 피에르-에메릭 오바메양, 사디오 마네, 모하메드 살라 세 명이 22골로 동률을 이뤘음에도 살라만 목록에 포함됐다. 다만 트랜스퍼마크트가 어떤 기준으로 이러한 선택을 했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손흥민의 2021-22시즌 득점왕 등극은 아시아 축구 역사에 큰 의미를 지닌 순간이었다. 시즌 마지막 라운드를 앞두고 손흥민은 21골로 살라(22골)에 한 골 뒤진 상황이었다. 토트넘 선수들은 손흥민의 득점왕 수상을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노리치 시티와의 경기에서 토트넘이 2-0으로 앞선 상황에서도 동료들은 손흥민에게 골 기회를 만들어주기 위해 노력했다. 데얀 쿨루셉스키는 골키퍼가 골문을 비운 상황에서도 손흥민에게 패스하려다 넘어지기도 했고, 에릭 다이어는 골키퍼에게 "살라가 뭐 해주기로 했냐?"며 농담 섞인 항의를 하기도 했다.

 

결국 손흥민은 그 경기에서 멀티골을 기록하며 시즌 23골을 채웠고, 같은 시간 한 골을 추가한 살라와 함께 골든 부츠를 수상했다. 이로써 손흥민은 아시아인 최초로 프리미어리그 득점왕이라는 역사적인 기록을 세웠다. 더욱 놀라운 점은 당시 해리 케인이 팀의 페널티킥 키커였기 때문에, 손흥민의 23골은 모두 필드골로만 이루어진 위업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랜스퍼마크트는 이번 목록에서 손흥민 대신 살라만을 대표로 내세워 많은 축구 팬들의 비난을 받고 있다.

 

장애인도 섬으로 바다로... 기아가 무료로 제공하는 특별한 여행

,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 이재강 사단법인 그린라이트 회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동약자 섬·바다 여행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을 통해 기아는 기존의 '초록여행' 프로그램에 섬·바다 여행을 추가하여 장애인들의 여행 경험 지원 범위를 확대한다. 새롭게 추가된 섬·바다 여행 프로그램은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변산반도 국립공원 체험과 한려해상 국립공원 체험 두 가지 코스로 운영되며, 2027년 10월까지 3년간 총 150팀이 이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기아는 협약 발표 당일부터 8월 섬·바다 여행 프로그램에 참여할 8팀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사람들은 장애인 1명을 필수로 포함해 최대 4인 1팀을 구성하여 '초록여행' 홈페이지를 통해 변산반도와 한려해상 중 한 곳을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이 프로그램에 선정된 참가자들에게는 장애인 편의장치가 장착된 카니발 1대를 최대 3박 4일 동안 무료로 제공하며, 유류비와 여행경비도 지원된다. 필요한 경우 운전기사와 수어 통역사도 함께 지원받을 수 있어 이동약자들의 여행 편의성을 크게 높였다. 국립공원공단은 1박 2일 숙박과 함께 섬 트레킹, 요트 투어와 같은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의 운영을 담당한다.기아의 초록여행은 이동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해 특수 제작한 차량을 무료로 대여해주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2012년 첫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약 10만 명이 이용했다. 기아 관계자는 "장애인들에게 보다 다채로운 여행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이번 업무협약을 추진했다"며 "앞으로도 PBV 기반 이동약자 전용 차량인 PV5 WAV를 초록여행에 투입하는 등 장애인의 이동권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기아는 '인류의 안전하고, 자유롭고, 지속가능한 삶에 기여한다'는 사회공헌 미션 아래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다문화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하모니움', 갯벌 생태보호를 위한 '갯벌식생복원', 지역사회 가축분뇨 문제 해결을 위한 '가축분뇨 친환경처리' 등을 추진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아프리카 등지의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그린라이트 프로젝트'와 해양 폐플라스틱 수거 및 재자원화를 위한 '오션클린업' 등의 프로젝트를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