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천국보다 아름다운’, 충격 전개에 시청률 ‘뚝’

 JTBC 토일드라마 ‘천국보다 아름다운’이 종영을 단 2회 남겨둔 가운데, 시청자들의 이탈이 뚜렷해지고 있다. 처음에는 신선한 설정과 명품 배우들의 연기력이 어우러져 주목을 받았지만, 중반 이후 급격한 개연성 부족과 억지스러운 전개로 인해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시청률도 초반 5%대를 유지하며 기대감을 키웠으나, 10회에서는 4.9%까지 하락하며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천국보다 아름다운’은 죽음 이후의 세계를 배경으로, 천국에 도착한 80세 이해숙(김혜자 분)이 젊어진 모습의 남편 고낙준(손석구 분)과 다시 만나며 시작되는 로맨스 드라마다. 사후세계라는 설정 아래 전생, 현생, 그리고 인연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인물 간 얽히고설킨 관계를 풀어가는 방식이 독특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여기에 김혜자와 손석구의 나이 차를 뛰어넘는 로맨스, 한지민과 이정은 등 신뢰도 높은 배우들의 활약이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는 곧 실망으로 이어졌다. 10회 방송에서 드러난 결정적 반전, 솜이(한지민)의 정체가 이해숙의 젊은 시절이라는 사실은 시청자들에게 설득력을 주지 못했다. 고낙준이 솜이를 자신의 아내와 닮았음에도 전혀 알아보지 못하는 설정이 논리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시청자들은 “도대체 이 전개를 누가 납득할 수 있느냐”, “결국 또 주인공이 전생의 자신이었다는 설정”이라며 피로감을 드러냈다.

 

 

 

특히 시청자들의 분노를 자아낸 것은 드라마가 각 인물의 상처와 문제를 ‘전생의 업보’로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9회에서는 이영애(이정은 분)를 학대하던 친부가 전생에서 이영애와 불륜 관계였으며, 이해숙은 전생에 이영애의 친딸이었다는 설정이 등장했다. 이 모든 고통과 상처가 결국 전생의 잘못에서 비롯된 것이며, 천국이라는 공간에서 그것을 정리하고 용서하는 것이 인물들의 과제라는 식의 전개다. 이에 대해 “아동학대까지 전생 탓으로 돌리는 것은 너무 무책임하다”, “가해자의 부성애 회복을 형벌로 표현하는 설정이 도대체 무슨 의미냐”는 비판이 쏟아졌다.

 

또한, 드라마가 방영 초기부터 미국 NBC의 인기 드라마 ‘굿플레이스’와 지나치게 유사하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사후세계라는 설정, 천국과 지옥을 오가는 기차, 현대적인 관리 시스템 등 ‘굿플레이스’에서 사용된 요소들이 ‘천국보다 아름다운’에서도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독창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굿플레이스’는 넷플릭스를 통해 국내에도 소개되며 인지도가 높은 작품이기에, 유사성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제작진은 이와 관련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지만, 사후세계를 주요 배경으로 설정한 만큼 더 조심스러웠어야 했다는 목소리가 높다.

 

‘천국보다 아름다운’은 초반 신선함과 감성적인 연출로 관심을 끌었으나, 중반을 지나면서 서사 구조의 허점과 억지 반전에 대한 비판이 커지며 시청자 이탈이라는 현실에 직면했다. 특히 한지민의 정체가 밝혀지는 과정, 이영애와 친부의 얽힌 전생 관계 등은 오히려 감동보다 혼란을 자아냈다는 평가다. 방송 초반 기대했던 인생 드라마로의 안착은커녕, 용두사미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오는 25일, 단 두 회차를 남겨둔 ‘천국보다 아름다운’이 과연 이 같은 논란과 실망을 딛고 남은 시청자들의 마음을 되돌릴 반전과 감동을 선사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연기력으로만 버티고 있다는 시청자들의 비판 속에서, 마지막 결말이 드라마 전체의 평가를 바꿀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이것' 덕분에 제주 해녀·방언 인기 폭발

롭게 각인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관광공사가 올 상반기 동안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정밀 분석해 발간한 ‘데이터로 보는 제주여행-폭싹속았수다편’ 보고서에 따르면, 이 드라마는 기존의 제주 배경 드라마들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제주의 매력을 전파했다.앞서 ‘웰컴투삼달리’와 ‘우리들의 블루스’ 같은 드라마들은 오조포구, 안돌오름, 광치기해변, 가파도, 비양도, 오일장 등 특정 촬영지 중심의 연관어가 주로 나타나 제주를 ‘여행지’로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폭싹속았수다’는 ‘제주’, ‘성산일출봉’, ‘유채꽃밭’ 등 드라마 속 아름다운 자연경관뿐 아니라 ‘해녀’, ‘방언’, ‘문화’, ‘시대극’ 등 제주 고유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키워드를 다수 포함해 제주를 ‘이야기’ 중심으로 전달한 점이 특징적이다. 특히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제주 해녀에 대한 관심은 드라마 방영 시점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드라마 방영 직전인 2025년 1~2월의 해녀 언급량은 월평균 약 5천 건 수준이었으나, 3월에는 7,460건으로 약 41% 증가했다. 이후 4월과 5월에도 각각 6,791건과 7,072건으로 높은 관심이 지속되었다. 기존의 ‘음식’, ‘식당’ 중심 연관어에서 벗어나 ‘엄마’, ‘삶’, ‘이야기’ 같은 정서적이고 인간적인 키워드가 함께 등장하며 해녀가 단순한 직업이나 관광 콘텐츠를 넘어 제주의 문화적 상징으로 다시 조명받는 흐름이 뚜렷하게 드러났다.또한 드라마에서 사용된 제주 고유의 방언과 표현들이 화제를 모으면서 제주 방언에 대한 대중적 관심도 크게 확대되었다. 유튜브에서는 2025년 3월과 4월 제주 방언 관련 콘텐츠가 각각 26편과 32편 업로드됐으며, 4월 한 달 동안 이들 영상의 누적 조회수가 약 220만 회에 달하는 등 제주어에 대한 호기심이 영상 콘텐츠를 통해 폭발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드라마의 주요 촬영지였던 김녕해수욕장과 제주목관아에 대한 방문객과 관심도 크게 증가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김녕해수욕장으로의 차량 도착 수는 드라마 방영 전인 2025년 1~~2월 평균 2,442대에서 방영 후인 3~~4월 4,775대로 무려 96% 가까이 늘었으며, 온라인 언급량도 1,814건에서 2,602건으로 약 43% 증가했다. 제주목관아 역시 차량 도착 수가 198대에서 347대로 약 75% 증가했고, 온라인 언급량은 514건에서 744건으로 약 45% 상승하는 등 드라마 방영 효과가 실제 관광객 방문과 온라인 화제성에 고루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이 같은 데이터는 ‘폭싹속았수다’가 제주 관광 홍보에 있어 단순한 자연 풍광이나 관광 명소 소개를 넘어, 지역 문화와 전통,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 제주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 성공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해녀’와 ‘제주 방언’ 등 무형문화재적 가치와 지역 정체성을 드라마 콘텐츠에 녹여냄으로써 관광객들의 문화 체험 욕구를 자극하고, 이에 따라 관련 장소 방문이 증가하는 선순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분석 결과는 제주가 단순한 휴양지에서 벗어나 고유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아우르는 풍부한 이야기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전통과 문화를 소재로 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제주 관광의 질적 성장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폭싹속았수다’ 사례는 콘텐츠를 통한 지역 문화 가치 재조명과 관광 활성화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으며, 향후 지역 관광 정책과 콘텐츠 제작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