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또 전화 왔네, 거절합니다” 송은이 재테크 화제

 방송인 송은이가 재테크와 콘텐츠 산업에서의 다채로운 활약으로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다. 적금으로 시작한 재테크에서 부동산까지 눈을 돌린 그는 현재 서울과 경기도에 실거주 및 투자 목적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으며, 부동산 경매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 관심을 모았다.

 

특히 송은이는 경기도 일산의 오피스텔을 시작으로 서울 서초구 반포동 소재 아파트까지 부동산 투자를 확장해왔다. 그는 단순히 부동산을 소유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장 흐름과 경매에도 깊은 관심을 보이며 재테크에 있어 남다른 감각을 자랑하고 있다. 방송 활동 외에도 경제적 안정을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이어온 송은이의 이력은 자산 관리에 관심이 높은 대중들에게 실질적인 롤모델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송은이의 행보는 콘텐츠 사업으로도 이어진다. 그는 현재 미디어 회사 ‘미디어랩 시소’와 콘텐츠 제작사 ‘콘텐츠랩 비보’를 직접 운영하며, 크리에이티브 산업 전반에 발을 들이고 있다. 콘텐츠랩 비보는 TV 예능 프로그램뿐 아니라 팟캐스트, 웹예능, 유튜브 콘텐츠 등 다양한 플랫폼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며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그의 제작사는 영화 제작까지 도전하며 콘텐츠 영역을 확장 중이다. 실제로 콘텐츠랩 비보는 2021년 기준으로 매출 100억 원, 당기순이익 10억 원을 기록하는 성과를 냈다. 이는 단순히 유명 방송인이 회사를 운영하는 것을 넘어, 실질적인 경영 수완과 기획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가능하게 했다. 송은이는 기획 단계부터 직접 참여하며 현장 중심의 운영 철학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성과 이면에는 인력 운영에 대한 어려움도 엿보인다. 최근 송은이는 자신이 운영 중인 유튜브 채널 ‘비보티비’를 통해 제작사 남성 직원들의 연이은 퇴사에 대한 솔직한 심경을 털어놨다. 영상 속에서 송은이는 충남 서천으로 봉사활동을 떠나는 길에 남성 매니저와의 대화를 통해 직원 이탈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송은이는 “왜 나랑 여행만 갔다 오면 애들이 그만두냐”며 반농담, 반진담 섞인 투덜거림을 내비쳤고, 이에 매니저는 “그러고 보니 저만 남았네요”라며 상황을 유쾌하게 받아쳐 웃음을 자아냈다. 최근 퇴사한 두 명의 남자 직원들에 대해서도 “다른 꿈이 있겠죠?”라는 매니저의 말에 송은이는 “오늘 새로운 PD님들 잘 영업해. 즐거운 여행이 되게 해줘”라고 당부하며 분위기를 전환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이내 “너까지 그만두는 거 아니냐”고 농담 섞인 불안을 드러내며 유쾌한 마무리를 더했다.

 

이 영상은 그동안 철저하고 침착한 이미지로 알려졌던 송은이의 인간적인 면모를 드러낸 동시에, 콘텐츠 제작 현장에서의 고충과 리더로서의 부담감을 보여주는 장면으로 화제를 모았다. 특히 자사 콘텐츠 속 솔직한 감정 표현과 유머는 시청자들로부터 “현실감 있는 경영자의 모습”이라는 긍정적 반응을 얻고 있다.

 

한편, 방송과 콘텐츠 제작, 부동산 투자까지 다방면에서 활약 중인 송은이는 여성 크리에이터이자 사업가로서 후배들에게 좋은 본보기를 보여주고 있다. 연예계 선배로서 후배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도 잘 알려진 그는 앞으로도 방송 안팎에서 다양한 행보를 이어갈 전망이다.

 

'위키드'·'알라딘'이 다 해먹었다…뮤지컬·대중음악만 웃은 3분기 공연계

액은 약 4615억 원에 달하며, 이는 관련 데이터 집계를 시작한 2019년 이래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3846억 원과 비교해도 20%나 증가한 놀라운 성장세다. 이처럼 공연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른 배경에는 대형 팬덤을 움직이는 대중음악 콘서트와 꾸준히 사랑받는 블록버스터 뮤지컬, 그리고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인 무용 장르의 약진이 있었다. 사실상 이 세 장르가 전체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고 봐도 무방하다.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중심에는 단연 대중음악과 뮤지컬이 자리 잡고 있다. 대중음악 장르는 3분기에만 약 2637억 원의 티켓 판매를 기록하며 작년 동기 대비 22.8%라는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뮤지컬 역시 약 1387억 원의 판매액으로 14.9% 증가하며 시장의 굳건한 한 축임을 증명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무용 장르의 비약적인 성장이다. 판매액 자체는 약 64억 원으로 다른 두 장르에 비해 작지만, 성장률은 무려 96.2%에 달하며 거의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 이는 무용 공연에 대한 관객들의 관심과 수요가 이례적으로 크게 확대되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향후 시장의 다크호스로 떠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하지만 모든 장르가 이러한 축제를 함께 즐긴 것은 아니다. 연극계는 오히려 깊은 그늘에 잠겼다. 3분기 동안 무대에 오른 연극 공연 수는 총 1124건으로 지난해보다 23.4%나 늘어났지만, 정작 티켓 판매액은 약 183억 원으로 오히려 13.5% 감소하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이는 공연의 공급은 양적으로 팽창했지만, 관객들의 발걸음이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뼈아픈 분석으로 이어진다. 수많은 작품이 관객을 만나기 위해 문을 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관객의 선택을 받지 못해 흥행으로 이어지지 못한 연극이 많았다는 의미다. 시장의 양극화가 뚜렷해진 셈이다.실제로 3분기 티켓 판매액 상위 20개 공연의 면면을 살펴보면 이러한 쏠림 현상은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상위 20개 작품 중 무려 12개가 대중음악 콘서트였고, 7개는 대형 뮤지컬이 차지했다. 특히 최상위권인 1위부터 3위까지는 뮤지컬 '위키드' 내한 공연, '알라딘' 부산 투어, '팬텀' 서울 공연이 나란히 이름을 올렸으며, 그 뒤를 이어 블랙핑크의 월드투어와 싸이의 '흠뻑쇼'가 4, 5위를 기록하며 아이돌과 대형 가수의 콘서트 파워를 입증했다. 결국 소수의 블록버스터 뮤지컬과 막강한 팬덤을 등에 업은 대중음악 공연이 전체 시장의 파이를 키우는 동안, 연극계는 그 온기를 제대로 느끼지 못한 채 힘겨운 시간을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