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흡연자라면 '이것' 반드시 먹어라! 담배로 망가진 폐 살리는 충격적 식품 공개

 더위와 미세 먼지가 함께하는 계절, 호흡기 건강이 더욱 위협받고 있다. 일반 먼지는 코털이나 기관지에서 걸러지지만, 미세 먼지는 폐 깊숙이 침투해 허파꽈리에 심각한 손상을 입힌다. 호흡기 건강을 지키려면 야외 활동을 줄이고 마스크 착용이 필수적이다.

 

폐 건강을 위해서는 금연과 함께 공기 좋은 날 30분 정도의 유산소 운동이 효과적이다. 여기에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폐 기능 향상과 호흡기 질환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미국 건강 매체 '헬스라인'의 자료를 바탕으로 폐 건강에 좋은 식품들을 살펴보자.

 

물은 폐 건강의 기본이다. 깨끗한 물은 폐를 오가는 혈액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폐의 적절한 수분을 유지시켜 점액이 잘 흐르도록 한다. 이 점액은 섬모의 적정 농도를 유지해 독소와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킨다.

 

사과는 식이섬유인 펙틴과 베타카로틴이 풍부해 항산화 작용을 한다. 영국 연구에 따르면 주 5개 이상 사과를 섭취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1초간 강제 호기량(FEV1) 수치가 높았다. 호기량은 폐에서 내뱉는 공기의 양으로, 폐 기능을 확인하는 중요한 지표다. 사과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 E 등은 폐 기능을 최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고추에 풍부한 캡사이신은 혈류를 개선하고 점막을 활성화시켜 감염을 퇴치한다. 카레의 노란 색소인 강황은 만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염증을 막고 암 예방 효과가 있다. 아시아 남성 247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강황 가루는 폐활량 개선에 도움이 되었으며, 흡연 경험자 중 카레를 자주 먹는 사람들의 폐 건강 지표가 더 좋게 나타났다.

 


생강 역시 항염증 성분이 풍부해 폐의 오염 물질 제거 기능을 향상시킨다. 브라질너트는 셀레늄이 풍부한데, 이 항산화 영양소는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 염증을 억제하고 폐암 예방과 천식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다. 단, 셀레늄 과다 섭취는 소화 장애를 일으킬 수 있어 하루 1-2개 섭취가 적당하다.

 

마늘과 양파의 독특한 성분은 염증을 감소시키고 나쁜 콜레스테롤을 낮추며 감염을 막아 폐 건강에 이롭다. 비트, 근대, 시금치 등에 풍부한 질산염은 혈관을 이완시켜 혈류를 개선한다. 스웨덴 웁살라대 연구에 따르면 폐동맥 고혈압 환자가 7일간 비트주스를 마셨을 때 폐활량이 개선되고 산소 소비량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호두에 풍부한 오메가-3 지방산은 항염증 효과가 있어 천식과 호흡기 질환 퇴치에 도움이 된다. 브로콜리, 양배추, 콜리플라워, 케일 같은 십자화과 채소는 폐암 진행을 억제하고 발병 위험을 감소시킨다. 이들 채소에는 혈액을 정화하는 엽록소와 다양한 항산화제가 풍부하다.

 

블루베리와 아사이베리는 폐 건강에 가장 효과적인 베리류로, 세포 손상을 유발하는 유해 산소를 중화시키는 비타민 C 등의 항산화제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이처럼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식품들이 폐 건강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미세 먼지와 더위로 호흡기가 위협받는 요즘, 이러한 식품들을 적극적으로 섭취하여 폐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9월부터 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관광업계 ‘활기 예고’

객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면세점과 뷰티 산업 등 관련 소비 부문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6일 정부 발표에 따르면, 무비자 입국 조치는 올해 9월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약 10개월간 시행된다. 중국은 이미 지난해 11월부터 한국 국민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고 있어 상호 무비자 입국 체계가 마련되는 셈이다. 정부는 이번 조치가 단체 관광객들의 방한 수요를 크게 자극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내수 진작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현재 적용 대상은 3인 이상 단체 관광객에 한정되며 한시적으로 시행되지만, 향후 개별 관광객(FIT)이나 MICE(기업회의, 포상관광, 컨벤션, 전시회) 관광, 국제 대회 유치 등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열려 있다. 관광업계 한 관계자는 “무비자 대상 확대 시 개별 관광뿐 아니라 업무상 관광과 국제행사 유치에 대한 접근성도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한편, 최근 중국인 관광객 수는 회복세가 더딘 상태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약 253만 명으로 전체 외국인 관광객 중 가장 많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대비 회복률은 90.2%에 불과하다. 같은 기간 일본(97.9%), 대만(140.4%), 미국(143.7%) 등 주요 국가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부진한 수치다. 전체 외국인 관광객은 883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해 회복이 진행 중이다. 특히 하반기 성수기가 다가오면서 중국 최대 명절인 국경절 연휴(10월 1일~7일)를 앞두고 무비자 조치가 시행되는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중국 관영방송 CCTV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경절 기간 하루 평균 중국 내 관광객 수는 약 2억 8,000만 명에 달했다. 이 중 1%만 한국을 방문해도 약 280만 명의 관광객 증가 효과가 발생한다는 계산이다.중국인 관광객 증가에 따라 소비 규모도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큰 타격을 입었던 면세업계가 활력을 되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면세시장 규모는 14조 2,249억 원으로 2019년 24조 8,586억 원 대비 10조 원 이상 급감했다. 중국인 관광객이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무비자 정책 시행은 단체 관광객과 더불어 보따리상으로 불리는 ‘따이궁’ 등의 방문 증가를 불러와 면세점 매출 회복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하지만 이러한 기대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도 지적된다. 대표적으로 중국인 관광객들의 숙박시설 만족도가 낮은 점이 문제로 꼽힌다. 야놀자리서치가 지난 2월 발표한 ‘중국인 관광객의 서울·도쿄 숙박 경험 차이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숙박시설 평점은 4.31점으로 도쿄의 평점보다 0.17점 낮았으며, 서울 5성급 숙소의 평점은 도쿄 4성급 숙소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숙박시설 품질 개선이 시급함을 보여준다.관광 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무비자 정책 시행은 중국 관광객의 입국 장벽을 낮춰 여행 수요를 크게 증대시키고 관광 기업 및 플랫폼의 매출 증대로 이어질 것”이라면서도 “한시적 정책인 만큼 체계적인 준비와 대응이 필요하며, 정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이번 무비자 입국 조치 시행을 통해 중국인 관광객의 한국 방문이 활성화되고, 관련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경제적 파급 효과가 기대되는 가운데, 정부와 관광업계가 협력해 인프라 개선 및 체계적 관리를 함께 추진하는 것이 성공적 정책 이행의 관건으로 꼽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