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생활문화

신라와 당나라의 은밀한 거래... 왕족 자제를 '인질'로 바친 1200년 전 외교의 실체

 중국 산시성 고고연구원이 시안시 옌타구에서 약 1200년 전 신라 왕족 출신 인물의 무덤을 발굴했다. 이는 중국 현지에서 정식 발굴 조사를 통해 신라 왕족의 무덤이 확인된 최초의 사례로, 학계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M15호'로 명명된 이 무덤은 당나라 수도였던 장안(현재의 시안)에서 북쪽으로 약 2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 과거 도굴 피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2022년 6월 진행된 조사에서 돌로 된 묘지와 80여 점의 부장품이 새롭게 발견됐다.

 

무덤의 주인공은 묘지에 새겨진 내용을 통해 신라 출신 질자(質子)로 당나라에 있던 김영(金泳)으로 확인됐다. 질자란 외교적 관계를 위해 상대국에 보내는 군주나 유력 대신의 자제를 의미한다. 김영관 충북대 사학과 교수에 따르면, 묘지 첫 줄에는 "당 신라국 고 질자 번장 조산대부 시위위 소경 김군 묘지명"이라고 새겨져 있어 무덤 주인의 출신과 관직, 성씨 등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묘지에 따르면 김영은 747년에 태어나 794년 5월 1일에 향년 48세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황궁의 무기와 의장을 담당하던 시위위에서 이주민, 상인 등을 관리하고 공물 등을 주관하던 외국인 출신 관원인 번장 직무를 맡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학계에서 주목하는 점은 김영의 가족 관계다. 묘지에 따르면 김영의 조부인 김의양은 신라에서 와서 황제를 숙위(宿衛)하던 인물로, 신라 국왕의 당형(堂兄·사촌 형)으로 기록되어 있다. 김의양은 당나라에서 세 아들을 낳았는데, 그중 장남이 김영의 아버지였다. 숙위는 우호 관계를 위해 파견된 인사로, 당나라에 상주하는 외교사절로서 양국 간 문물을 교류하는 역할을 했다.

 

안정준 서울시립대 교수는 "김영은 질자 임무를 계승한 것으로 전하는데, 신라 출신이 질자를 세습해 온 사례는 기존 기록에서는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신라 왕족 출신으로서 3대에 걸쳐 질자를 세습하며 대(對)신라 외교 임무에 참여하기도 했던 가문 사례를 뚜렷하게 제시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무덤에서는 묘지 외에도 다양한 부장품이 출토됐다. 흙으로 만든 각종 동물과 사람 형상 조각, 탑 모양을 한 항아리, 금속 화폐인 개원통보(開元通寶) 등이 발견됐다. 하일식 연세대 사학과 교수는 쥐, 토끼, 뱀 등 십이지신상이 중국식의 작은 문인·무인상과 함께 출토된 점을 언급하며 "두 문화의 조화도 주목된다"고 평가했다.

 

김영관 교수는 "김영 무덤과 묘지명은 8세기 신라와 당 사이의 외교 관계와 인적 교류를 증언해 주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일식 교수 역시 김영의 묘지가 "문헌 기록에서 찾기 어려웠던 역사의 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번 발굴 조사 내용은 중국 산시성 고고연구원이 펴내는 학술지 '고고여문물'(考古與文物) 최신 호에 상세히 실려 있다.

 

이제 '서울'까지 갈 필요 없다…전국, 심지어 '해외' 관광업 일자리까지 구해주는 곳

10월 1일까지 양일간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2025 관광 일자리페스타'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최근 국가 경제의 핵심 동력으로 급부상한 관광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안정적인 인력 수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구인난을 겪는 기업과 일자리를 찾는 구직자를 효과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대규모의 장을 마련한 것이다.'나의 관광 커리어, 지금 이륙합니다!'라는 힘찬 슬로건 아래 펼쳐지는 이번 행사는 단순한 채용 박람회를 넘어, 관광업계로의 성공적인 진입과 경력 개발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지난해 참가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던 현직자들의 생생한 직무 이야기 '잡(JOB)썰'과 심층 직무 상담(멘토링) 프로그램을 대폭 강화하여, 구직자들이 책이나 인터넷에서는 얻을 수 없는 현실적인 정보와 조언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호텔리어, 승무원, 스마트폰 사진작가 등 유망 직무를 직접 체험해보는 '관광직무 체험프로그램'과 행사 종료 후 실제 기업 현장을 방문하는 '기업탐방프로그램'을 신설하여, 막연했던 직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자신의 적성을 탐색할 기회를 제공한다.올해는 약 130개에 달하는 다양한 관광 분야 기업들이 참가하여 구직자들에게 폭넓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한다. 전통적인 강자인 여행사와 호텔·리조트는 물론, MICE(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 기업,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무장한 관광벤처, 여행플랫폼, 테마파크 등 관광산업의 모든 스펙트럼을 아우르는 기업들이 총출동한다. 또한, 수도권에 집중되었던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전국 관광일자리 네트워크관'을 신설하여 지역의 우수 관광기업들과 구직자들을 연결하고, '해외취업관' 운영을 통해 글로벌 커리어를 꿈꾸는 인재들의 도전을 적극 지원한다.현장 방문이 어려운 구직자들을 위한 온라인 행사도 공식 누리집을 통해 11월 14일까지 계속된다. 구직자들은 온라인을 통해 참여 기업의 상세한 직무 정보와 복리후생 등을 미리 확인하고, 희망하는 기업과 온·오프라인 면접 및 채용 상담을 신청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인적성검사와 모의 영상면접, 그리고 전문가의 손길이 느껴지는 AI 프로필 촬영 등 최신 기술을 접목한 취업 지원 프로그램과 국문·영문·일문·중국어 이력서 상담 서비스도 무료로 제공되어 구직자들의 든든한 조력자가 될 전망이다. 코레일 현직 기관사, 유명 여행 콘텐츠 창작자들의 특별 강연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 역시 예비 관광인들에게 새로운 영감과 동기부여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