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설탕 듬뿍 넣은 커피는 독약? 4만6천명 추적 연구로 밝혀진 충격적 진실

 미국 터프츠 대학교 연구팀이 영양학 저널(The Journal of Nutrition)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카페인이 함유된 블랙커피를 하루 1-2잔 마시는 것이 조기 사망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커피 섭취와 사망률 간의 관계를 분석하면서 특히 커피에 첨가하는 설탕과 포화지방의 영향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1999년부터 2018년까지 9회에 걸쳐 실시된 미국 전국 건강·영양 조사(NHANES) 데이터를 전국 사망 지수 데이터와 연계하여 분석했다. 연구 대상은 조사 첫날 24시간 동안 자신이 섭취한 모든 음식을 기록한 20세 이상 성인 4만 6천 명이었다. 이들을 9-11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총 7,074명이 사망했으며, 이 중 암 사망자는 1,176명, 심혈관 질환 사망자는 1,089명이었다.

 

분석 결과, 카페인이 함유된 블랙커피를 하루 1-2잔 마시는 사람들은 커피를 마시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16-17%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2-3잔을 마시면 사망 위험 감소 효과가 17%로 약간 상승했지만, 하루 3잔을 초과하면 추가적인 위험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 감소와의 연관성도 약화되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러한 건강상 이점이 블랙커피와 첨가당·포화지방 함량이 낮은 커피에서만 나타났다는 것이다. 연구에서 저첨가당은 8온스(약 237ml) 컵당 2.5g 또는 설탕 약 반 티스푼으로, 저포화지방은 컵당 2g 또는 지방 함량 2% 우유 5큰술, 라이트 크림 1큰술, 하프앤하프 1큰술에 해당하는 양으로 정의되었다.

 

블랙커피에 설탕과 포화지방을 소량만 첨가해도 사망률 감소(14%) 효과가 유지되었지만, 첨가당과 포화지방 함량이 높아지면 건강상 이점이 사라졌다. 이는 설탕과 포화지방을 많이 첨가하면 칼로리가 높아져 커피의 건강상 이점을 상쇄할 수 있다는 우려를 뒷받침한다.

 

커피의 건강상 이점은 카페인, 클로로겐산, 폴리페놀과 같은 생리활성 화합물 덕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항산화, 항염증, 항암 특성과 관련이 있어 제2형 당뇨병, 심혈관 질환, 특정 암 위험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디카페인 커피와 사망률 간에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는데, 연구자들은 이것이 연구 참가자 중 디카페인 커피 섭취자가 적었기 때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커피 섭취와 암 사망률 사이에도 유의미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커피 첨가물이 커피 섭취와 사망률 위험 간의 연관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우리의 연구는 설탕과 포화지방이 얼마나 첨가되는지를 정량화한 최초의 연구 중 하나"라며 "연구 결과는 설탕과 포화지방 섭취를 제한하라는 식이 지침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9월부터 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관광업계 ‘활기 예고’

객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면세점과 뷰티 산업 등 관련 소비 부문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6일 정부 발표에 따르면, 무비자 입국 조치는 올해 9월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약 10개월간 시행된다. 중국은 이미 지난해 11월부터 한국 국민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고 있어 상호 무비자 입국 체계가 마련되는 셈이다. 정부는 이번 조치가 단체 관광객들의 방한 수요를 크게 자극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내수 진작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현재 적용 대상은 3인 이상 단체 관광객에 한정되며 한시적으로 시행되지만, 향후 개별 관광객(FIT)이나 MICE(기업회의, 포상관광, 컨벤션, 전시회) 관광, 국제 대회 유치 등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열려 있다. 관광업계 한 관계자는 “무비자 대상 확대 시 개별 관광뿐 아니라 업무상 관광과 국제행사 유치에 대한 접근성도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한편, 최근 중국인 관광객 수는 회복세가 더딘 상태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약 253만 명으로 전체 외국인 관광객 중 가장 많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대비 회복률은 90.2%에 불과하다. 같은 기간 일본(97.9%), 대만(140.4%), 미국(143.7%) 등 주요 국가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부진한 수치다. 전체 외국인 관광객은 883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해 회복이 진행 중이다. 특히 하반기 성수기가 다가오면서 중국 최대 명절인 국경절 연휴(10월 1일~7일)를 앞두고 무비자 조치가 시행되는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중국 관영방송 CCTV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경절 기간 하루 평균 중국 내 관광객 수는 약 2억 8,000만 명에 달했다. 이 중 1%만 한국을 방문해도 약 280만 명의 관광객 증가 효과가 발생한다는 계산이다.중국인 관광객 증가에 따라 소비 규모도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큰 타격을 입었던 면세업계가 활력을 되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면세시장 규모는 14조 2,249억 원으로 2019년 24조 8,586억 원 대비 10조 원 이상 급감했다. 중국인 관광객이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무비자 정책 시행은 단체 관광객과 더불어 보따리상으로 불리는 ‘따이궁’ 등의 방문 증가를 불러와 면세점 매출 회복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하지만 이러한 기대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도 지적된다. 대표적으로 중국인 관광객들의 숙박시설 만족도가 낮은 점이 문제로 꼽힌다. 야놀자리서치가 지난 2월 발표한 ‘중국인 관광객의 서울·도쿄 숙박 경험 차이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숙박시설 평점은 4.31점으로 도쿄의 평점보다 0.17점 낮았으며, 서울 5성급 숙소의 평점은 도쿄 4성급 숙소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숙박시설 품질 개선이 시급함을 보여준다.관광 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무비자 정책 시행은 중국 관광객의 입국 장벽을 낮춰 여행 수요를 크게 증대시키고 관광 기업 및 플랫폼의 매출 증대로 이어질 것”이라면서도 “한시적 정책인 만큼 체계적인 준비와 대응이 필요하며, 정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이번 무비자 입국 조치 시행을 통해 중국인 관광객의 한국 방문이 활성화되고, 관련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경제적 파급 효과가 기대되는 가운데, 정부와 관광업계가 협력해 인프라 개선 및 체계적 관리를 함께 추진하는 것이 성공적 정책 이행의 관건으로 꼽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