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고수 빼주세요"는 사실 '슈퍼 미각' 유전자 보유자?

 식당에서 종종 볼 수 있는 광경이다. "오이 빼주세요", "고수는 넣지 말아주세요"라고 요청하는 손님들. 단순한 취향의 문제로 여겨졌던 이러한 식재료에 대한 호불호가 사실은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1일 카드뉴스를 통해 미국 유타대학교 연구진의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오이와 고수에 대한 사람들의 극명한 호불호는 개인의 유전자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오이의 경우, '쿠쿠르비타신'이라는 쓴맛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 성분에 대한 민감도를 결정하는 것이 바로 'TAS2R38 유전자'다. 이 유전자는 크게 쓴맛 민감형과 둔감형으로 구분되는데, 민감형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은 둔감형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보다 오이의 쓴맛을 100배에서 심지어 1000배까지 더 강하게 느낄 수 있다고 한다. 이처럼 같은 오이를 먹어도 어떤 사람에게는 상쾌한 맛으로, 또 다른 사람에게는 견디기 힘든 쓴맛으로 느껴질 수 있는 것이다.

 


고수의 경우는 또 다른 유전자가 관여한다. 고수 특유의 향을 내는 성분은 '알데하이드'인데, 이 성분은 비누나 로션에도 포함되어 있다. 일부 사람들이 "고수에서 비누 맛이 난다"고 표현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고수의 맛을 감지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는 'OR6A2 유전자'로, 이 유전자가 변형된 사람들은 알데하이드 성분을 더 예민하게 감지한다.

 

흥미로운 점은 지역별로 이 유전자의 분포가 다르다는 것이다. 고수를 즐겨 먹는 중동이나 남아시아 지역에서는 OR6A2 유전자 변형 비율이 낮게 나타나는 반면, 고수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이 유전자 변형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이는 식문화와 유전적 특성 간의 흥미로운 연관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식재료에 대한 개인의 호불호가 단순히 심리적인 요인이나 습관의 문제가 아니라, 생물학적으로 타고난 유전적 차이에서 비롯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오이나 고수를 극도로 싫어하는 사람들을 단순히 '까다로운 사람'으로 치부하기보다는, 그들의 유전적 특성을 이해하는 태도가 필요할 것이다.

 

장애인도 섬으로 바다로... 기아가 무료로 제공하는 특별한 여행

,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 이재강 사단법인 그린라이트 회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동약자 섬·바다 여행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을 통해 기아는 기존의 '초록여행' 프로그램에 섬·바다 여행을 추가하여 장애인들의 여행 경험 지원 범위를 확대한다. 새롭게 추가된 섬·바다 여행 프로그램은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변산반도 국립공원 체험과 한려해상 국립공원 체험 두 가지 코스로 운영되며, 2027년 10월까지 3년간 총 150팀이 이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기아는 협약 발표 당일부터 8월 섬·바다 여행 프로그램에 참여할 8팀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사람들은 장애인 1명을 필수로 포함해 최대 4인 1팀을 구성하여 '초록여행' 홈페이지를 통해 변산반도와 한려해상 중 한 곳을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이 프로그램에 선정된 참가자들에게는 장애인 편의장치가 장착된 카니발 1대를 최대 3박 4일 동안 무료로 제공하며, 유류비와 여행경비도 지원된다. 필요한 경우 운전기사와 수어 통역사도 함께 지원받을 수 있어 이동약자들의 여행 편의성을 크게 높였다. 국립공원공단은 1박 2일 숙박과 함께 섬 트레킹, 요트 투어와 같은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의 운영을 담당한다.기아의 초록여행은 이동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해 특수 제작한 차량을 무료로 대여해주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2012년 첫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약 10만 명이 이용했다. 기아 관계자는 "장애인들에게 보다 다채로운 여행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이번 업무협약을 추진했다"며 "앞으로도 PBV 기반 이동약자 전용 차량인 PV5 WAV를 초록여행에 투입하는 등 장애인의 이동권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기아는 '인류의 안전하고, 자유롭고, 지속가능한 삶에 기여한다'는 사회공헌 미션 아래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다문화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하모니움', 갯벌 생태보호를 위한 '갯벌식생복원', 지역사회 가축분뇨 문제 해결을 위한 '가축분뇨 친환경처리' 등을 추진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아프리카 등지의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그린라이트 프로젝트'와 해양 폐플라스틱 수거 및 재자원화를 위한 '오션클린업' 등의 프로젝트를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