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타임

스포츠타임

세계 최고도 무릎 꿇어...US오픈 역대급 난코스 등장

 미국골프협회(USGA)가 주관하는 남녀 골프 메이저 대회 중 하나인 US오픈과 US 여자오픈은 선수들의 기량과 인내심을 극한으로 시험하는 대회로 유명하다. 특히 올해 제125회 US오픈이 열린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오크몬트의 오크몬트 컨트리클럽은 ‘역대 가장 어려운 코스’ 중 하나로 꼽히며 골퍼들에게 큰 도전이 됐다. 2016년 이 코스에서 열린 US오픈에서는 단 4명만이 파 이하의 성적을 기록했으며, 2007년에는 우승자가 5오버파라는 이례적인 결과를 낳을 정도로 난도가 높다.

 

이번 대회 역시 선수들의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13일(한국시간) 치러진 1라운드에서는 코스의 극악한 난도가 여실히 드러났다. 7320야드에 달하는 긴 전장과 함께 러프는 선수들의 신발 윗부분까지 덮을 만큼 길고 두껍게 세팅됐으며, 그린은 4.4미터의 빠른 스피드로 플레이어들의 정교한 퍼팅을 가로막았다. 여기에 까다로운 벙커까지 더해져 선수들은 ‘잔인한 테스트’라는 표현으로 이번 코스의 난이도를 입을 모았다.

 

1라운드에서 언더파를 기록한 선수는 고작 10명에 불과했고, 80타 이상을 친 선수는 16명이나 됐다. 평균 타수는 74.633타로, 이는 2018년 US오픈 1라운드 평균 타수 76.47타보다 낮은 수치지만 여전히 매우 높은 난이도를 나타낸다. 선수들은 이 코스의 까다로움에 당황하면서도 집중력을 잃지 않으려 애썼다.

 

세계 랭킹 1위 스코티 셰플러와 2위 로리 매킬로이는 이번 대회에서 주목받는 강력한 우승 후보였다. 셰플러는 최근 4개 대회 중 3차례 우승을 차지하며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해왔다. 매킬로이는 올해 시즌 첫 메이저인 마스터스 토너먼트 우승으로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달성하며 화려한 이력을 쌓았다.

 

 

 

그러나 1라운드 결과는 두 선수 모두에게 험난했다. 셰플러는 버디 3개를 기록했지만 보기 6개를 쏟아내며 3오버파 73타, 공동 49위에 그쳤다. 선두인 J.J. 스폰과는 무려 7타 차다. 셰플러는 13번 홀에서 1.8미터 파 퍼트를 놓친 후 당황한 듯 캐디에게 “방금 무슨 일이야?”라고 물었으며, 14번 홀의 웨지 샷이 핀을 12미터나 지나가자 불만을 드러냈다. 17번 홀의 버디 퍼트가 홀을 훑고 나왔을 때도 짜증스러운 표정을 숨기지 못했다.

 

셰플러는 경기 후 “어리석은 실수를 했다”며 “더 날카로워져야 한다”고 자책했다. 또한 “이런 어려운 코스에서는 실수와 퍼트 관리가 중요하다. 2라운드에서는 더 나아질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그의 경우, 통상 1라운드에서 눈에 띄지 않아도 중반 이후 경기를 본격적으로 풀어가는 스타일이기에 아직 희망은 남아있다.

 

매킬로이는 12번 홀에서 392야드의 강력한 드라이버 샷으로 장타력을 과시했으나 전반에 2개의 버디를 기록한 것과 달리 후반 9개 홀에서 6타를 잃으며 4오버파 74타, 공동 62위에 머물렀다. 러프에서 잦은 실수가 발목을 잡았다. 4번 홀에서 세 번째 샷이 러프를 벗어나지 못해 보기를 기록했고, 8번 홀에서는 그린 주변에서 더블보기를 범했다.

 

최근 매킬로이는 동기부여가 떨어진 모습이다. 지난달 PGA 챔피언십 직전 드라이버가 정기 테스트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는 사실이 알려져 심기 불편한 상태였으며, 그 여파로 최근 출전한 RBC 캐나다 오픈에서는 컷 탈락하기도 했다. 1라운드가 끝난 후 매킬로이는 별다른 인터뷰 없이 조용히 대회장을 떠나며 침묵을 지켰다.

 

이번 US오픈은 이처럼 코스 자체가 선수들을 극한 상황으로 몰아넣으며 극도의 집중력과 인내를 요구하고 있다. 오크몬트 컨트리클럽의 까다로운 러프, 빠른 그린, 긴 전장은 경기 내내 선수들의 전략과 실력을 시험하며, 이번 대회 우승자는 엄청난 난관을 극복한 진정한 챔피언으로 기억될 전망이다. 선수들은 남은 라운드에서 실수를 줄이고 적절한 타수를 기록하기 위해 더욱 집중해야 하는 상황이다.

 

박물관은 낮에 가세요! 강릉 야행은 '골목길 인생샷'과 '할머니표 썰'이 메인

일까지 강릉대도호부관아, 서부시장, 명주동 일원에서 성대한 막을 올린다. 2016년 첫선을 보인 이래 1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야행은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과 지역 연계 콘텐츠를 대폭 강화하며, 더욱 풍성하고 다채로운 야간 문화축제를 선보일 예정이다.이번 야행은 밤에 즐길 수 있는 '야경(夜景)', '야설(夜設)', '야로(夜路)', '야사(夜史)', '야화(夜話)' 등 8가지 테마 아래 총 42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역사 문화시설을 야간 개방하는 것은 물론, 다채로운 전시, 체험, 공연 프로그램들이 강릉의 밤을 수놓을 계획이다.축제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강릉대도호부사 부임행차 퍼레이드'다. 강릉의 역사적 상징성을 담은 이 퍼레이드는 관람객들에게 생생한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선사할 것이다. 또한, 강릉시민 모델이 직접 참여하는 '오색달빛 한복 패션쇼'는 전통의 아름다움과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진 특별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밤하늘을 수놓을 '드론, 강릉 국가유산 그리다'는 지난해보다 300대 늘어난 1천 대의 드론이 강릉의 국가유산과 지역 정체성을 표현하는 문구 퍼포먼스를 펼치며 환상적인 장관을 연출할 예정이다. 강릉의 대표 무형문화유산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향연' 역시 놓칠 수 없는 프로그램이다.특히 올해 야행은 기존 국가유산 중심의 프로그램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행사 권역을 명주동 일원까지 확대하며 더욱 풍성한 콘텐츠로 시민과 관광객을 맞이한다. 명주동 골목골목에서는 '할머니가 들려주는 이야기보따리', '명주동 가맥 프로그램' 등 강릉의 정겨운 이야기를 담은 골목 프로그램들이 펼쳐져, 방문객들에게 지역의 정취와 먹거리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먹거리 콘텐츠 또한 대폭 강화되었다. 강릉의 신선한 1차 농·축산물을 활용한 로컬푸드 간식 포장마차, 지역 양조장과 연계한 전통주·수제 맥주 체험존은 물론, 강릉성남시장 상인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프리마켓까지 운영되어 지역 상권과의 상생 모델을 실현한다. 이는 단순한 축제를 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김홍규 강릉시장은 이번 야행이 "국가유산을 단순히 즐기는 것을 넘어, 지역 골목의 일상까지 함께 경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야간 행사"가 될 것이라 강조하며, "시민과 방문객 모두에게 잊지 못할 특별한 추억을 선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강릉의 깊은 역사와 풍부한 문화, 그리고 생동하는 현재가 한데 어우러질 '2025 강릉국가유산야행'은 올여름, 강릉을 대표하는 문화 축제로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