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타임

스포츠타임

세계 최고도 무릎 꿇어...US오픈 역대급 난코스 등장

 미국골프협회(USGA)가 주관하는 남녀 골프 메이저 대회 중 하나인 US오픈과 US 여자오픈은 선수들의 기량과 인내심을 극한으로 시험하는 대회로 유명하다. 특히 올해 제125회 US오픈이 열린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오크몬트의 오크몬트 컨트리클럽은 ‘역대 가장 어려운 코스’ 중 하나로 꼽히며 골퍼들에게 큰 도전이 됐다. 2016년 이 코스에서 열린 US오픈에서는 단 4명만이 파 이하의 성적을 기록했으며, 2007년에는 우승자가 5오버파라는 이례적인 결과를 낳을 정도로 난도가 높다.

 

이번 대회 역시 선수들의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13일(한국시간) 치러진 1라운드에서는 코스의 극악한 난도가 여실히 드러났다. 7320야드에 달하는 긴 전장과 함께 러프는 선수들의 신발 윗부분까지 덮을 만큼 길고 두껍게 세팅됐으며, 그린은 4.4미터의 빠른 스피드로 플레이어들의 정교한 퍼팅을 가로막았다. 여기에 까다로운 벙커까지 더해져 선수들은 ‘잔인한 테스트’라는 표현으로 이번 코스의 난이도를 입을 모았다.

 

1라운드에서 언더파를 기록한 선수는 고작 10명에 불과했고, 80타 이상을 친 선수는 16명이나 됐다. 평균 타수는 74.633타로, 이는 2018년 US오픈 1라운드 평균 타수 76.47타보다 낮은 수치지만 여전히 매우 높은 난이도를 나타낸다. 선수들은 이 코스의 까다로움에 당황하면서도 집중력을 잃지 않으려 애썼다.

 

세계 랭킹 1위 스코티 셰플러와 2위 로리 매킬로이는 이번 대회에서 주목받는 강력한 우승 후보였다. 셰플러는 최근 4개 대회 중 3차례 우승을 차지하며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해왔다. 매킬로이는 올해 시즌 첫 메이저인 마스터스 토너먼트 우승으로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달성하며 화려한 이력을 쌓았다.

 

 

 

그러나 1라운드 결과는 두 선수 모두에게 험난했다. 셰플러는 버디 3개를 기록했지만 보기 6개를 쏟아내며 3오버파 73타, 공동 49위에 그쳤다. 선두인 J.J. 스폰과는 무려 7타 차다. 셰플러는 13번 홀에서 1.8미터 파 퍼트를 놓친 후 당황한 듯 캐디에게 “방금 무슨 일이야?”라고 물었으며, 14번 홀의 웨지 샷이 핀을 12미터나 지나가자 불만을 드러냈다. 17번 홀의 버디 퍼트가 홀을 훑고 나왔을 때도 짜증스러운 표정을 숨기지 못했다.

 

셰플러는 경기 후 “어리석은 실수를 했다”며 “더 날카로워져야 한다”고 자책했다. 또한 “이런 어려운 코스에서는 실수와 퍼트 관리가 중요하다. 2라운드에서는 더 나아질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그의 경우, 통상 1라운드에서 눈에 띄지 않아도 중반 이후 경기를 본격적으로 풀어가는 스타일이기에 아직 희망은 남아있다.

 

매킬로이는 12번 홀에서 392야드의 강력한 드라이버 샷으로 장타력을 과시했으나 전반에 2개의 버디를 기록한 것과 달리 후반 9개 홀에서 6타를 잃으며 4오버파 74타, 공동 62위에 머물렀다. 러프에서 잦은 실수가 발목을 잡았다. 4번 홀에서 세 번째 샷이 러프를 벗어나지 못해 보기를 기록했고, 8번 홀에서는 그린 주변에서 더블보기를 범했다.

 

최근 매킬로이는 동기부여가 떨어진 모습이다. 지난달 PGA 챔피언십 직전 드라이버가 정기 테스트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는 사실이 알려져 심기 불편한 상태였으며, 그 여파로 최근 출전한 RBC 캐나다 오픈에서는 컷 탈락하기도 했다. 1라운드가 끝난 후 매킬로이는 별다른 인터뷰 없이 조용히 대회장을 떠나며 침묵을 지켰다.

 

이번 US오픈은 이처럼 코스 자체가 선수들을 극한 상황으로 몰아넣으며 극도의 집중력과 인내를 요구하고 있다. 오크몬트 컨트리클럽의 까다로운 러프, 빠른 그린, 긴 전장은 경기 내내 선수들의 전략과 실력을 시험하며, 이번 대회 우승자는 엄청난 난관을 극복한 진정한 챔피언으로 기억될 전망이다. 선수들은 남은 라운드에서 실수를 줄이고 적절한 타수를 기록하기 위해 더욱 집중해야 하는 상황이다.

 

여름 끝자락, 보령 섬 여행 필수 코스 공개

지 못한 이들에게는 보령의 섬들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보령은 100여 개의 섬을 품고 있는 해양도시로, 이 중 15개의 유인도서와 90여 개의 무인도서가 다양한 이야기와 문화를 간직하며 방문객들을 맞이한다.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삶과 문화, 치유의 공간으로 각광받으며 특별한 여행 경험을 제공한다.올해는 특히 행정안전부가 선정한 ‘찾아가고 싶은 섬’ 88개 가운데 보령의 원산도, 삽시도, 장고도, 고대도, 녹도, 외연도가 이름을 올려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들 섬은 뛰어난 자연경관과 함께 고유의 역사·문화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방문객들에게 다채로운 체험을 선사한다.원산도는 보령 지역 내 최대 규모의 섬으로, 최근 국도 77호선 개통으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됐다. 약 2.5km에 달하는 천연 패류 백사장과 송림, 해당화 군락이 어우러져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원산도 인근의 효자도 역시 역사적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옛부터 효자가 많이 나왔다고 전해진다. 효자도를 비롯해 추도, 육도, 소도, 월도, 허육도 등이 함께 독특한 섬 문화권을 형성하며, 방문객들에게 문화 체험의 즐거움을 선사한다.장고도는 장구 모양의 지형과 ‘장고8경’으로 유명하다. 풍부한 전복과 해삼이 나는 공동 어장과 마을 주도의 체험 프로그램은 방문객들의 입맛과 체험 욕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요소다. 고대도는 국내 최초 개신교 선교활동의 역사를 간직한 의미 깊은 섬이다. 교회와 기념공원을 통해 그 역사를 되새기면서 멸치와 실치가 풍부한 어장 체험도 함께 즐길 수 있어 교육과 관광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삽시도는 활에 꽂힌 화살 모양의 독특한 지형을 자랑하며, 2km에 이르는 규사 해수욕장과 바닷속 샘물 ‘물망터’가 유명하다. 울창한 송림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뤄 사진 애호가들과 자연 애호가들에게 인기다. 외연도는 충남 최서단에 위치한 신비로운 섬으로, 천연기념물인 상록수림과 풍어당제 등 전통을 보존하고 있다. 또한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어 어업과 관광이 균형을 이루는 곳이다.호도와 녹도는 각각 여우와 사슴을 닮은 지형으로 눈길을 끈다. 이 두 섬은 전복어장과 침식굴, 초분 유적 등 독특한 자연과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어 가족 단위 관광객이 많이 찾는 명소로 자리잡았다.보령 섬 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체험형 관광으로 진화하고 있다. 패각분모래, 굴패각, 천일염, 함초 등 해양 치유 자원이 풍부하며, 청정 자연 속 어촌체험과 생태관광이 어우러져 진정한 힐링 여행지로 부상 중이다.보령시 관계자는 “각 섬마다 고유한 전통문화와 역사적 스토리텔링이 살아 있어, 단순한 휴식 이상의 의미 있는 문화 체험과 자연 치유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며 “삶의 속도를 잠시 내려놓고 쉼을 찾는 공간으로서 보령지역 섬이 최적의 장소”라고 밝혔다.다가오는 가을, 바다와 자연, 그리고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보령의 섬들은 현대인의 일상에 여유와 힐링을 선사하는 특별한 여행지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