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타임

스포츠타임

세계 최고도 무릎 꿇어...US오픈 역대급 난코스 등장

 미국골프협회(USGA)가 주관하는 남녀 골프 메이저 대회 중 하나인 US오픈과 US 여자오픈은 선수들의 기량과 인내심을 극한으로 시험하는 대회로 유명하다. 특히 올해 제125회 US오픈이 열린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오크몬트의 오크몬트 컨트리클럽은 ‘역대 가장 어려운 코스’ 중 하나로 꼽히며 골퍼들에게 큰 도전이 됐다. 2016년 이 코스에서 열린 US오픈에서는 단 4명만이 파 이하의 성적을 기록했으며, 2007년에는 우승자가 5오버파라는 이례적인 결과를 낳을 정도로 난도가 높다.

 

이번 대회 역시 선수들의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13일(한국시간) 치러진 1라운드에서는 코스의 극악한 난도가 여실히 드러났다. 7320야드에 달하는 긴 전장과 함께 러프는 선수들의 신발 윗부분까지 덮을 만큼 길고 두껍게 세팅됐으며, 그린은 4.4미터의 빠른 스피드로 플레이어들의 정교한 퍼팅을 가로막았다. 여기에 까다로운 벙커까지 더해져 선수들은 ‘잔인한 테스트’라는 표현으로 이번 코스의 난이도를 입을 모았다.

 

1라운드에서 언더파를 기록한 선수는 고작 10명에 불과했고, 80타 이상을 친 선수는 16명이나 됐다. 평균 타수는 74.633타로, 이는 2018년 US오픈 1라운드 평균 타수 76.47타보다 낮은 수치지만 여전히 매우 높은 난이도를 나타낸다. 선수들은 이 코스의 까다로움에 당황하면서도 집중력을 잃지 않으려 애썼다.

 

세계 랭킹 1위 스코티 셰플러와 2위 로리 매킬로이는 이번 대회에서 주목받는 강력한 우승 후보였다. 셰플러는 최근 4개 대회 중 3차례 우승을 차지하며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해왔다. 매킬로이는 올해 시즌 첫 메이저인 마스터스 토너먼트 우승으로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달성하며 화려한 이력을 쌓았다.

 

 

 

그러나 1라운드 결과는 두 선수 모두에게 험난했다. 셰플러는 버디 3개를 기록했지만 보기 6개를 쏟아내며 3오버파 73타, 공동 49위에 그쳤다. 선두인 J.J. 스폰과는 무려 7타 차다. 셰플러는 13번 홀에서 1.8미터 파 퍼트를 놓친 후 당황한 듯 캐디에게 “방금 무슨 일이야?”라고 물었으며, 14번 홀의 웨지 샷이 핀을 12미터나 지나가자 불만을 드러냈다. 17번 홀의 버디 퍼트가 홀을 훑고 나왔을 때도 짜증스러운 표정을 숨기지 못했다.

 

셰플러는 경기 후 “어리석은 실수를 했다”며 “더 날카로워져야 한다”고 자책했다. 또한 “이런 어려운 코스에서는 실수와 퍼트 관리가 중요하다. 2라운드에서는 더 나아질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그의 경우, 통상 1라운드에서 눈에 띄지 않아도 중반 이후 경기를 본격적으로 풀어가는 스타일이기에 아직 희망은 남아있다.

 

매킬로이는 12번 홀에서 392야드의 강력한 드라이버 샷으로 장타력을 과시했으나 전반에 2개의 버디를 기록한 것과 달리 후반 9개 홀에서 6타를 잃으며 4오버파 74타, 공동 62위에 머물렀다. 러프에서 잦은 실수가 발목을 잡았다. 4번 홀에서 세 번째 샷이 러프를 벗어나지 못해 보기를 기록했고, 8번 홀에서는 그린 주변에서 더블보기를 범했다.

 

최근 매킬로이는 동기부여가 떨어진 모습이다. 지난달 PGA 챔피언십 직전 드라이버가 정기 테스트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는 사실이 알려져 심기 불편한 상태였으며, 그 여파로 최근 출전한 RBC 캐나다 오픈에서는 컷 탈락하기도 했다. 1라운드가 끝난 후 매킬로이는 별다른 인터뷰 없이 조용히 대회장을 떠나며 침묵을 지켰다.

 

이번 US오픈은 이처럼 코스 자체가 선수들을 극한 상황으로 몰아넣으며 극도의 집중력과 인내를 요구하고 있다. 오크몬트 컨트리클럽의 까다로운 러프, 빠른 그린, 긴 전장은 경기 내내 선수들의 전략과 실력을 시험하며, 이번 대회 우승자는 엄청난 난관을 극복한 진정한 챔피언으로 기억될 전망이다. 선수들은 남은 라운드에서 실수를 줄이고 적절한 타수를 기록하기 위해 더욱 집중해야 하는 상황이다.

 

한라산 별빛 아래서 낭만 한 스푼! 제주, '세계유산축전'으로 밤까지 즐긴다

약 3주간 개최하며 세계자연유산 제주의 진면목을 국내외에 알린다. 이번 축전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제주의 독특하고 아름다운 자연유산을 직접 체험하고 깊이 이해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축전의 서막은 개막 하루 전인 7월 3일, 한라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세계유산 글로벌 포럼'이 장식한다. 이 포럼에는 7개국 이상의 세계유산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제주의 자연유산 보존과 활용 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펼치며, 세계유산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미래 방향성을 모색하는 지식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대망의 개막식과 실경 공연은 7월 4일 오후 7시 30분, 제주의 상징이자 세계자연유산인 성산일출봉에서 웅장하게 펼쳐진다. 기념식은 전통 마당극 형식으로 문을 열어 관객들에게 흥미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며, 이어지는 미디어아트 공연은 성산일출봉의 거대한 자연 경관을 배경 삼아 제주의 탄생 신화와 자연유산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이야기를 환상적인 빛과 영상으로 풀어낼 예정이다. 이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제주의 역사와 자연이 빚어낸 감동적인 서사를 온몸으로 느끼는 몰입형 경험이 될 것이다.이번 축전은 일반인의 접근이 제한되었던 제주의 신비로운 자연유산을 직접 탐험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들을 대거 선보인다. 이미 공개된 한라산 구상나무 대표목 공개와 더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샘인 '백록샘' 탐방객 모집은 그 자체로 큰 화제를 모았다. 특히 평소에는 허용되지 않는 야간 시간에 한라산의 장엄한 풍경과 밤하늘의 별들을 감상할 수 있는 '별빛산행'은 참가자들에게 잊을 수 없는 추억을 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더욱이, 평소 일반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는 김녕굴, 벵뒤굴 등 미지의 용암동굴을 전문가의 안내를 받아 탐험하는 '세계자연유산 특별탐험대' 프로그램은 이번 축전의 백미로 꼽힌다. 지구의 신비로운 생성 과정을 고스란히 간직한 용암동굴 속으로 들어가 보는 경험은 참가자들에게 제주의 지질학적 가치를 생생하게 전달하며, 자연유산 보존의 중요성을 일깨워 줄 것이다.제주도 관계자는 "이번 세계유산축전은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유산을 전 세계에 알리고, 방문객들에게는 평생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자연유산의 가치를 오감으로 느끼고 공감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제주의 위상을 더욱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번 축전은 제주의 자연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모범적인 사례가 될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관광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축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