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생활문화

"죽은 후에도 내 이름 남길 것"... 63세 조수미의 놀라운 유산 계획 전격 공개

 세계적인 소프라노 조수미(63)가 프랑스 정부로부터 문화예술 공로훈장 최고 등급인 '코망되르'를 수여받은 소감을 전했다. 16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조수미는 어깨를 드러낸 검은색 드레스에 목에 금빛 훈장을 걸고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개인의 영광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영광이기에 함께하기 위해 목에 걸고 나왔다"며 감격스러운 마음을 표현했다.

 

프랑스 문화예술 공로훈장 '코망되르'는 1957년부터 문화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루고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명예로운 상이다. 한국인 중에서는 2002년 김정옥 당시 한국문화예술진흥원장과 2011년 지휘자 정명훈에 이어 조수미가 세 번째로 최고 등급 훈장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조수미는 "지난 40년간 해외에 머물며 세계의 오페라하우스에 서 왔지만 제 뿌리는 잊어버린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한국 사람을 위해 뭔가를 해야겠다는 투철한 정신이 강했고, 그것 때문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고 자신의 음악 여정을 돌아봤다.

 

그는 최근 자신의 이름을 내건 '조수미 국제 성악 콩쿠르'의 첫 회 입상자들과 함께하는 전국투어 '위너스 더 매직 콘서트'를 개최한다. 이 공연은 19일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을 시작으로 21일 성남아트센터, 22일 서울 롯데콘서트홀, 24일 춘천문화예술회관 등에서 순차적으로 열린다. 콩쿠르 우승자인 중국 바리톤 지하오 리를 비롯해 테너 조르주 비르반(루마니아), 이기업(한국), 소프라노 줄리엣 타키노(프랑스) 등이 베르디, 푸치니, 비제 등 정통 오페라 아리아를 선보일 예정이다.

 


조수미는 콩쿠르 심사 기준에 대해 "그냥 노래만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노래를 통해 세상을 아름답게 바꾼다는 책임의식이 중요하다"며 "콩쿠르 전 인터뷰를 통해 그런 목적이 뚜렷한 아티스트에게 점수를 많이 줬다"고 설명했다. 이 콩쿠르는 2024년 첫 회를 시작으로 2년마다 개최되며, 조수미는 "내가 세상을 떠나도 대회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내년이면 국제 무대 데뷔 40주년을 맞는 조수미는 특별한 음반과 페스티벌도 준비 중이다. 그는 "내년 음반에도 여러분이 좋아하실 만한 노래를 준비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또한 자신의 이름을 딴 '수미 조 페스티벌'(가칭)에 대해 "제가 받은 사랑을 대한민국에 돌려드리고 싶다"며 "기악이 아닌 목소리로만 창, 가요, 클래식, 뮤지컬 등 장르를 넘나드는 페스티벌을 구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적인 소프라노로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 후배 양성과 문화 발전에 기여하려는 조수미의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여름 끝자락, 보령 섬 여행 필수 코스 공개

지 못한 이들에게는 보령의 섬들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보령은 100여 개의 섬을 품고 있는 해양도시로, 이 중 15개의 유인도서와 90여 개의 무인도서가 다양한 이야기와 문화를 간직하며 방문객들을 맞이한다.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삶과 문화, 치유의 공간으로 각광받으며 특별한 여행 경험을 제공한다.올해는 특히 행정안전부가 선정한 ‘찾아가고 싶은 섬’ 88개 가운데 보령의 원산도, 삽시도, 장고도, 고대도, 녹도, 외연도가 이름을 올려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들 섬은 뛰어난 자연경관과 함께 고유의 역사·문화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방문객들에게 다채로운 체험을 선사한다.원산도는 보령 지역 내 최대 규모의 섬으로, 최근 국도 77호선 개통으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됐다. 약 2.5km에 달하는 천연 패류 백사장과 송림, 해당화 군락이 어우러져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원산도 인근의 효자도 역시 역사적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옛부터 효자가 많이 나왔다고 전해진다. 효자도를 비롯해 추도, 육도, 소도, 월도, 허육도 등이 함께 독특한 섬 문화권을 형성하며, 방문객들에게 문화 체험의 즐거움을 선사한다.장고도는 장구 모양의 지형과 ‘장고8경’으로 유명하다. 풍부한 전복과 해삼이 나는 공동 어장과 마을 주도의 체험 프로그램은 방문객들의 입맛과 체험 욕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요소다. 고대도는 국내 최초 개신교 선교활동의 역사를 간직한 의미 깊은 섬이다. 교회와 기념공원을 통해 그 역사를 되새기면서 멸치와 실치가 풍부한 어장 체험도 함께 즐길 수 있어 교육과 관광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삽시도는 활에 꽂힌 화살 모양의 독특한 지형을 자랑하며, 2km에 이르는 규사 해수욕장과 바닷속 샘물 ‘물망터’가 유명하다. 울창한 송림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뤄 사진 애호가들과 자연 애호가들에게 인기다. 외연도는 충남 최서단에 위치한 신비로운 섬으로, 천연기념물인 상록수림과 풍어당제 등 전통을 보존하고 있다. 또한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어 어업과 관광이 균형을 이루는 곳이다.호도와 녹도는 각각 여우와 사슴을 닮은 지형으로 눈길을 끈다. 이 두 섬은 전복어장과 침식굴, 초분 유적 등 독특한 자연과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어 가족 단위 관광객이 많이 찾는 명소로 자리잡았다.보령 섬 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체험형 관광으로 진화하고 있다. 패각분모래, 굴패각, 천일염, 함초 등 해양 치유 자원이 풍부하며, 청정 자연 속 어촌체험과 생태관광이 어우러져 진정한 힐링 여행지로 부상 중이다.보령시 관계자는 “각 섬마다 고유한 전통문화와 역사적 스토리텔링이 살아 있어, 단순한 휴식 이상의 의미 있는 문화 체험과 자연 치유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며 “삶의 속도를 잠시 내려놓고 쉼을 찾는 공간으로서 보령지역 섬이 최적의 장소”라고 밝혔다.다가오는 가을, 바다와 자연, 그리고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보령의 섬들은 현대인의 일상에 여유와 힐링을 선사하는 특별한 여행지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