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생활문화

"죽은 후에도 내 이름 남길 것"... 63세 조수미의 놀라운 유산 계획 전격 공개

 세계적인 소프라노 조수미(63)가 프랑스 정부로부터 문화예술 공로훈장 최고 등급인 '코망되르'를 수여받은 소감을 전했다. 16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조수미는 어깨를 드러낸 검은색 드레스에 목에 금빛 훈장을 걸고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개인의 영광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영광이기에 함께하기 위해 목에 걸고 나왔다"며 감격스러운 마음을 표현했다.

 

프랑스 문화예술 공로훈장 '코망되르'는 1957년부터 문화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루고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명예로운 상이다. 한국인 중에서는 2002년 김정옥 당시 한국문화예술진흥원장과 2011년 지휘자 정명훈에 이어 조수미가 세 번째로 최고 등급 훈장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조수미는 "지난 40년간 해외에 머물며 세계의 오페라하우스에 서 왔지만 제 뿌리는 잊어버린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한국 사람을 위해 뭔가를 해야겠다는 투철한 정신이 강했고, 그것 때문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고 자신의 음악 여정을 돌아봤다.

 

그는 최근 자신의 이름을 내건 '조수미 국제 성악 콩쿠르'의 첫 회 입상자들과 함께하는 전국투어 '위너스 더 매직 콘서트'를 개최한다. 이 공연은 19일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을 시작으로 21일 성남아트센터, 22일 서울 롯데콘서트홀, 24일 춘천문화예술회관 등에서 순차적으로 열린다. 콩쿠르 우승자인 중국 바리톤 지하오 리를 비롯해 테너 조르주 비르반(루마니아), 이기업(한국), 소프라노 줄리엣 타키노(프랑스) 등이 베르디, 푸치니, 비제 등 정통 오페라 아리아를 선보일 예정이다.

 


조수미는 콩쿠르 심사 기준에 대해 "그냥 노래만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노래를 통해 세상을 아름답게 바꾼다는 책임의식이 중요하다"며 "콩쿠르 전 인터뷰를 통해 그런 목적이 뚜렷한 아티스트에게 점수를 많이 줬다"고 설명했다. 이 콩쿠르는 2024년 첫 회를 시작으로 2년마다 개최되며, 조수미는 "내가 세상을 떠나도 대회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내년이면 국제 무대 데뷔 40주년을 맞는 조수미는 특별한 음반과 페스티벌도 준비 중이다. 그는 "내년 음반에도 여러분이 좋아하실 만한 노래를 준비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또한 자신의 이름을 딴 '수미 조 페스티벌'(가칭)에 대해 "제가 받은 사랑을 대한민국에 돌려드리고 싶다"며 "기악이 아닌 목소리로만 창, 가요, 클래식, 뮤지컬 등 장르를 넘나드는 페스티벌을 구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적인 소프라노로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 후배 양성과 문화 발전에 기여하려는 조수미의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이것' 덕분에 제주 해녀·방언 인기 폭발

롭게 각인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관광공사가 올 상반기 동안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정밀 분석해 발간한 ‘데이터로 보는 제주여행-폭싹속았수다편’ 보고서에 따르면, 이 드라마는 기존의 제주 배경 드라마들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제주의 매력을 전파했다.앞서 ‘웰컴투삼달리’와 ‘우리들의 블루스’ 같은 드라마들은 오조포구, 안돌오름, 광치기해변, 가파도, 비양도, 오일장 등 특정 촬영지 중심의 연관어가 주로 나타나 제주를 ‘여행지’로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폭싹속았수다’는 ‘제주’, ‘성산일출봉’, ‘유채꽃밭’ 등 드라마 속 아름다운 자연경관뿐 아니라 ‘해녀’, ‘방언’, ‘문화’, ‘시대극’ 등 제주 고유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키워드를 다수 포함해 제주를 ‘이야기’ 중심으로 전달한 점이 특징적이다. 특히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제주 해녀에 대한 관심은 드라마 방영 시점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드라마 방영 직전인 2025년 1~2월의 해녀 언급량은 월평균 약 5천 건 수준이었으나, 3월에는 7,460건으로 약 41% 증가했다. 이후 4월과 5월에도 각각 6,791건과 7,072건으로 높은 관심이 지속되었다. 기존의 ‘음식’, ‘식당’ 중심 연관어에서 벗어나 ‘엄마’, ‘삶’, ‘이야기’ 같은 정서적이고 인간적인 키워드가 함께 등장하며 해녀가 단순한 직업이나 관광 콘텐츠를 넘어 제주의 문화적 상징으로 다시 조명받는 흐름이 뚜렷하게 드러났다.또한 드라마에서 사용된 제주 고유의 방언과 표현들이 화제를 모으면서 제주 방언에 대한 대중적 관심도 크게 확대되었다. 유튜브에서는 2025년 3월과 4월 제주 방언 관련 콘텐츠가 각각 26편과 32편 업로드됐으며, 4월 한 달 동안 이들 영상의 누적 조회수가 약 220만 회에 달하는 등 제주어에 대한 호기심이 영상 콘텐츠를 통해 폭발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드라마의 주요 촬영지였던 김녕해수욕장과 제주목관아에 대한 방문객과 관심도 크게 증가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김녕해수욕장으로의 차량 도착 수는 드라마 방영 전인 2025년 1~~2월 평균 2,442대에서 방영 후인 3~~4월 4,775대로 무려 96% 가까이 늘었으며, 온라인 언급량도 1,814건에서 2,602건으로 약 43% 증가했다. 제주목관아 역시 차량 도착 수가 198대에서 347대로 약 75% 증가했고, 온라인 언급량은 514건에서 744건으로 약 45% 상승하는 등 드라마 방영 효과가 실제 관광객 방문과 온라인 화제성에 고루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이 같은 데이터는 ‘폭싹속았수다’가 제주 관광 홍보에 있어 단순한 자연 풍광이나 관광 명소 소개를 넘어, 지역 문화와 전통,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 제주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 성공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해녀’와 ‘제주 방언’ 등 무형문화재적 가치와 지역 정체성을 드라마 콘텐츠에 녹여냄으로써 관광객들의 문화 체험 욕구를 자극하고, 이에 따라 관련 장소 방문이 증가하는 선순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분석 결과는 제주가 단순한 휴양지에서 벗어나 고유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아우르는 풍부한 이야기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전통과 문화를 소재로 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제주 관광의 질적 성장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폭싹속았수다’ 사례는 콘텐츠를 통한 지역 문화 가치 재조명과 관광 활성화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으며, 향후 지역 관광 정책과 콘텐츠 제작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