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vel

Travel

와, 콜로세움이 이렇게 예뻤나? 한국 기술력으로 빛나는 로마의 밤!

 고대 로마의 숨결이 살아 숨 쉬는 유서 깊은 콜로세움 외벽에 한국의 첨단 미디어아트가 화려하게 수놓아졌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주이탈리아한국문화원,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로마시, 콜로세움 고고학공원과의 긴밀한 협력 아래, 지난 26일 오후 9시(현지시간) 콜로세움에서 특별한 '미디어파사드 상영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는 양국 수교 140주년을 기념하고 '한-이탈리아 상호문화교류의 해'를 더욱 뜻깊게 장식하는 행사로, 특히 6월 26일이 1884년 조선과 이탈리아 왕국이 수교를 맺은 역사적인 날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더했다.

 

'시간의 울림'이라는 주제로 기획된 이번 상영회는 한국의 이이남 작가와 이탈리아의 안드레아 부치, 빈센조 마르실리아 작가, 그리고 양국 청년 3인으로 구성된 '코리아라운드팀'이 참여하여 총 4편의 작품을 선보였다. 

 

프로젝션 매핑 기술을 활용해 콜로세움의 웅장한 외벽에 투사된 작품들은 십장생도, 양국의 전통 건축 패턴 등을 소재로 인공지능(AI) 기술이 접목되어 더욱 정교하고 환상적인 시각적 경험을 선사했다. 고대 유적과 현대 기술, 동서양 예술의 조화가 관람객들의 찬사를 이끌어냈다.

 

이날 축하 행사에는 김건화 주이탈리아 한국공사와 알폰시나 루소 콜로세움 고고학공원관장 등 주요 인사 7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양국은 이번 미디어파사드 상영회를 시작으로 올해 내내 다채로운 문화 교류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5월부터 7월까지 진행되는 베니스건축비엔날레 특별전시를 비롯해 한식과 발효 명인강좌(5월), 청년 디자이너 협업 프로그램(연중), 오페라 교류 및 공동 공연(11월), '로마 아트 인 누볼라' 주빈국 전시(11월), 국립로마미술대 협력 양국 청년 패션 교류 사업(12월) 등 폭넓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한다.

 

문화체육관광부 윤양수 국제문화홍보정책실장은 이번 콜로세움 미디어파사드 상영회에 대해 "세계적인 유산인 콜로세움에서 한국과 이탈리아의 최첨단 예술이 조화를 이룬 것은 양국 문화 교류의 새로운 지평을 연 뜻깊은 성과"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상호문화교류의 해를 발판 삼아 양국의 젊은 예술가들이 더욱 활발히 교류하고, 지속적인 문화 협력 관계가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번 행사는 양국 간 문화적 이해를 증진하고 미래 지향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것' 덕분에 제주 해녀·방언 인기 폭발

롭게 각인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관광공사가 올 상반기 동안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정밀 분석해 발간한 ‘데이터로 보는 제주여행-폭싹속았수다편’ 보고서에 따르면, 이 드라마는 기존의 제주 배경 드라마들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제주의 매력을 전파했다.앞서 ‘웰컴투삼달리’와 ‘우리들의 블루스’ 같은 드라마들은 오조포구, 안돌오름, 광치기해변, 가파도, 비양도, 오일장 등 특정 촬영지 중심의 연관어가 주로 나타나 제주를 ‘여행지’로 소비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폭싹속았수다’는 ‘제주’, ‘성산일출봉’, ‘유채꽃밭’ 등 드라마 속 아름다운 자연경관뿐 아니라 ‘해녀’, ‘방언’, ‘문화’, ‘시대극’ 등 제주 고유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키워드를 다수 포함해 제주를 ‘이야기’ 중심으로 전달한 점이 특징적이다. 특히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제주 해녀에 대한 관심은 드라마 방영 시점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드라마 방영 직전인 2025년 1~2월의 해녀 언급량은 월평균 약 5천 건 수준이었으나, 3월에는 7,460건으로 약 41% 증가했다. 이후 4월과 5월에도 각각 6,791건과 7,072건으로 높은 관심이 지속되었다. 기존의 ‘음식’, ‘식당’ 중심 연관어에서 벗어나 ‘엄마’, ‘삶’, ‘이야기’ 같은 정서적이고 인간적인 키워드가 함께 등장하며 해녀가 단순한 직업이나 관광 콘텐츠를 넘어 제주의 문화적 상징으로 다시 조명받는 흐름이 뚜렷하게 드러났다.또한 드라마에서 사용된 제주 고유의 방언과 표현들이 화제를 모으면서 제주 방언에 대한 대중적 관심도 크게 확대되었다. 유튜브에서는 2025년 3월과 4월 제주 방언 관련 콘텐츠가 각각 26편과 32편 업로드됐으며, 4월 한 달 동안 이들 영상의 누적 조회수가 약 220만 회에 달하는 등 제주어에 대한 호기심이 영상 콘텐츠를 통해 폭발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드라마의 주요 촬영지였던 김녕해수욕장과 제주목관아에 대한 방문객과 관심도 크게 증가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김녕해수욕장으로의 차량 도착 수는 드라마 방영 전인 2025년 1~~2월 평균 2,442대에서 방영 후인 3~~4월 4,775대로 무려 96% 가까이 늘었으며, 온라인 언급량도 1,814건에서 2,602건으로 약 43% 증가했다. 제주목관아 역시 차량 도착 수가 198대에서 347대로 약 75% 증가했고, 온라인 언급량은 514건에서 744건으로 약 45% 상승하는 등 드라마 방영 효과가 실제 관광객 방문과 온라인 화제성에 고루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이 같은 데이터는 ‘폭싹속았수다’가 제주 관광 홍보에 있어 단순한 자연 풍광이나 관광 명소 소개를 넘어, 지역 문화와 전통,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 제주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 성공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해녀’와 ‘제주 방언’ 등 무형문화재적 가치와 지역 정체성을 드라마 콘텐츠에 녹여냄으로써 관광객들의 문화 체험 욕구를 자극하고, 이에 따라 관련 장소 방문이 증가하는 선순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분석 결과는 제주가 단순한 휴양지에서 벗어나 고유의 역사와 문화, 자연을 아우르는 풍부한 이야기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전통과 문화를 소재로 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제주 관광의 질적 성장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폭싹속았수다’ 사례는 콘텐츠를 통한 지역 문화 가치 재조명과 관광 활성화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으며, 향후 지역 관광 정책과 콘텐츠 제작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