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생활문화

'백남준이 거실에?' 취향 폭발 ‘취향가옥 2’ 개막

 서울 성수동 디뮤지엄이 6월 28일부터 2026년 2월 22일까지 ‘취향가옥 2: Art in Life, Life in Art 2’ 전시를 연다. 지난해 관람객의 큰 호응을 얻었던 ‘취향가옥’의 확장판인 이번 전시는 총 800여 점의 작품과 오브제를 통해 예술이 개인의 삶과 어떻게 맞닿아 있는지를 보여준다. 백남준, 이우환, 로이 리히텐슈타인 등 세계적 거장들의 대표작부터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개인 컬렉터들의 프라이빗 컬렉션까지, 예술의 다양성과 생활 속 융합을 주제로 구성된다.

 

이번 전시는 ‘집’을 모티브로 한 3개 층, 세 가지 라이프스타일 공간으로 나뉜다. 관람객은 각기 다른 스타일의 가상의 하우스를 방문하는 듯한 경험을 통해, 예술과 삶의 경계를 허무는 큐레이션을 마주하게 된다.

 

2층 ‘스플릿 하우스(SPLIT HOUSE)’는 클래식한 분위기의 마스터피스가 중심이다. 김창열의 ‘물방울 ENS 204’, 이우환의 ‘바람과 함께’, ‘조응’ 등 한국 현대미술사의 굵직한 작품들이 베이지와 브라운 톤의 공간에서 절제된 아름다움을 드러낸다. 여기에 피카소, 권영우, 이정진, 최선희 등의 작품도 더해져 깊이 있는 감성을 형성한다.

 

 

 

3층 ‘테라스 하우스(TERRACE HOUSE)’는 흑백의 미학이 주인공이다. 김영택의 펜화, 하종현의 ‘접합’ 시리즈, 그리고 주명덕, 올라퍼 엘리아슨, 요아킴 슈미트 등의 사진작품들이 정제된 감각을 전달한다. 현대 조형 작가들의 절제된 조각 작품들 역시 모노톤 공간에 조화를 이루며 차분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4층 ‘듀플렉스 하우스(DUPLEX HOUSE)’는 과감한 색채와 위트 넘치는 오브제로 꾸며졌다. 백남준의 미디어아트 대표작 ‘사과나무’와 ‘즐거운 인디언’이 중심을 잡고, 로이 리히텐슈타인, 사라 모리스, 김기린, 박미나, 김보현, 파스칼 몽테이, 홍승혜, 이미혜 등의 작품이 활기를 불어넣는다. 또한 유르겐 텔러, 파올로 라엘리, 더그 드부아 등의 사진작가들도 다시금 조명된다.

 

이번 전시는 작품 수가 시즌 1보다 약 두 배 늘어났으며, 외부 컬렉터의 참여로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된 오브제 컬렉션도 선보인다. 카우스, 무라카미 다카시 등 팝아트 아이콘 관련 수집품부터 희소한 빈티지 미니카, 레트로 서핑보드, 넥타이 등 개인 취향이 담긴 오브제가 600여 점 전시되어 ‘타인의 취향’을 엿보는 색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양승진, 김현희, 이재하 등 국내 신진 작가들의 디자인 가구, 전통 공예품도 함께 전시되며, 모든 공간이 하나의 종합적 라이프스타일 제안으로 꾸며졌다. 가구, 조명, 공예, 회화, 사진이 경계를 허물고 조화를 이루며, 관람객은 예술을 ‘보는’ 데 그치지 않고 ‘사는’ 방식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됐다.

 

디뮤지엄 측은 “이번 전시는 예술이 어떻게 일상과 공존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새로운 형식”이라며, “관람객들이 전시를 통해 자신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통찰을 얻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람료는 6000원에서 1만2000원 사이이며, 전시는 내년 2월까지 계속된다.

 

여름 끝자락, 보령 섬 여행 필수 코스 공개

지 못한 이들에게는 보령의 섬들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보령은 100여 개의 섬을 품고 있는 해양도시로, 이 중 15개의 유인도서와 90여 개의 무인도서가 다양한 이야기와 문화를 간직하며 방문객들을 맞이한다.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삶과 문화, 치유의 공간으로 각광받으며 특별한 여행 경험을 제공한다.올해는 특히 행정안전부가 선정한 ‘찾아가고 싶은 섬’ 88개 가운데 보령의 원산도, 삽시도, 장고도, 고대도, 녹도, 외연도가 이름을 올려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들 섬은 뛰어난 자연경관과 함께 고유의 역사·문화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방문객들에게 다채로운 체험을 선사한다.원산도는 보령 지역 내 최대 규모의 섬으로, 최근 국도 77호선 개통으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됐다. 약 2.5km에 달하는 천연 패류 백사장과 송림, 해당화 군락이 어우러져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원산도 인근의 효자도 역시 역사적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옛부터 효자가 많이 나왔다고 전해진다. 효자도를 비롯해 추도, 육도, 소도, 월도, 허육도 등이 함께 독특한 섬 문화권을 형성하며, 방문객들에게 문화 체험의 즐거움을 선사한다.장고도는 장구 모양의 지형과 ‘장고8경’으로 유명하다. 풍부한 전복과 해삼이 나는 공동 어장과 마을 주도의 체험 프로그램은 방문객들의 입맛과 체험 욕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요소다. 고대도는 국내 최초 개신교 선교활동의 역사를 간직한 의미 깊은 섬이다. 교회와 기념공원을 통해 그 역사를 되새기면서 멸치와 실치가 풍부한 어장 체험도 함께 즐길 수 있어 교육과 관광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삽시도는 활에 꽂힌 화살 모양의 독특한 지형을 자랑하며, 2km에 이르는 규사 해수욕장과 바닷속 샘물 ‘물망터’가 유명하다. 울창한 송림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뤄 사진 애호가들과 자연 애호가들에게 인기다. 외연도는 충남 최서단에 위치한 신비로운 섬으로, 천연기념물인 상록수림과 풍어당제 등 전통을 보존하고 있다. 또한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어 어업과 관광이 균형을 이루는 곳이다.호도와 녹도는 각각 여우와 사슴을 닮은 지형으로 눈길을 끈다. 이 두 섬은 전복어장과 침식굴, 초분 유적 등 독특한 자연과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어 가족 단위 관광객이 많이 찾는 명소로 자리잡았다.보령 섬 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체험형 관광으로 진화하고 있다. 패각분모래, 굴패각, 천일염, 함초 등 해양 치유 자원이 풍부하며, 청정 자연 속 어촌체험과 생태관광이 어우러져 진정한 힐링 여행지로 부상 중이다.보령시 관계자는 “각 섬마다 고유한 전통문화와 역사적 스토리텔링이 살아 있어, 단순한 휴식 이상의 의미 있는 문화 체험과 자연 치유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며 “삶의 속도를 잠시 내려놓고 쉼을 찾는 공간으로서 보령지역 섬이 최적의 장소”라고 밝혔다.다가오는 가을, 바다와 자연, 그리고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보령의 섬들은 현대인의 일상에 여유와 힐링을 선사하는 특별한 여행지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