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사회/복지

국민 90.6% '우리 역사 자랑스럽다'... 광복 80주년 의미 있다는 응답 81.2%

 국민 10명 중 9명은 우리나라 역사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으며, 10명 중 8명은 올해 광복 80주년이 의미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무조정실 광복 80년 기념사업추진기획단이 전국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민의 광복에 대한 인식과 기념사업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3.7%가 올해가 광복 80년임을 알고 있었다. 광복 80년의 의미에 대해서는 81.2%가 '의미 있다'고 답했는데, 이 중 42.6%는 '매우 큰 의미가 있다', 38.6%는 '어느 정도 의미가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별로 의미가 없다'는 응답은 14.4%, '전혀 의미가 없다'는 응답은 2.4%로, 전체 응답자의 16.8%는 광복 80년에 특별한 의미를 두지 않았다.

 

광복 이후 80년이 지난 현재 대한민국의 국제적 지위에 대해서는 67.1%가 중상위권 이상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우리나라를 선진국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27.8%로, 광복 60년 당시 조사된 1.9%, 광복 70년의 8.2%와 비교해 크게 증가한 수치다. 이는 지난 수십 년간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꾸준히 상승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우리 역사에 대한 자부심을 묻는 질문에는 90.6%가 '자랑스럽다'고 응답했다. 이 수치 역시 광복 60년(69.1%)과 광복 70년(83.3%) 조사 결과와 비교해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의 역사적 자긍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대한민국의 미래상으로는 '민주주의가 성숙한 나라'를 선택한 응답자가 24.8%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나라'와 '사회질서가 안정된 나라'가 각각 19.1%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국민들이 경제적 풍요나 사회 안정 못지않게 민주주의의 성숙을 중요한 국가 발전 방향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광복 80년을 맞아 국가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변화 대응'이 32.4%로 가장 많이 지목됐으며, '사회통합 및 세대·계층 간 갈등 해소'가 31.5%로 그 뒤를 이었다. 두 항목이 비슷한 응답률을 보인 것은 인구 문제와 사회 갈등 해소가 현재 한국 사회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광복 80년 기념사업 중 가장 상징적 의미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사업으로는 '독립운동가 선양사업'이 35.2%로 1위를 차지했고, '국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22.2%로 2위를 차지했다. 이는 국민들이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기리는 동시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념사업을 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박상철 국조실 기획단장은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국민의 인식과 기대를 적극 반영해 국민과 함께하는 성공적인 기념사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여름 끝자락, 보령 섬 여행 필수 코스 공개

지 못한 이들에게는 보령의 섬들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보령은 100여 개의 섬을 품고 있는 해양도시로, 이 중 15개의 유인도서와 90여 개의 무인도서가 다양한 이야기와 문화를 간직하며 방문객들을 맞이한다.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삶과 문화, 치유의 공간으로 각광받으며 특별한 여행 경험을 제공한다.올해는 특히 행정안전부가 선정한 ‘찾아가고 싶은 섬’ 88개 가운데 보령의 원산도, 삽시도, 장고도, 고대도, 녹도, 외연도가 이름을 올려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들 섬은 뛰어난 자연경관과 함께 고유의 역사·문화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방문객들에게 다채로운 체험을 선사한다.원산도는 보령 지역 내 최대 규모의 섬으로, 최근 국도 77호선 개통으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됐다. 약 2.5km에 달하는 천연 패류 백사장과 송림, 해당화 군락이 어우러져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원산도 인근의 효자도 역시 역사적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옛부터 효자가 많이 나왔다고 전해진다. 효자도를 비롯해 추도, 육도, 소도, 월도, 허육도 등이 함께 독특한 섬 문화권을 형성하며, 방문객들에게 문화 체험의 즐거움을 선사한다.장고도는 장구 모양의 지형과 ‘장고8경’으로 유명하다. 풍부한 전복과 해삼이 나는 공동 어장과 마을 주도의 체험 프로그램은 방문객들의 입맛과 체험 욕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요소다. 고대도는 국내 최초 개신교 선교활동의 역사를 간직한 의미 깊은 섬이다. 교회와 기념공원을 통해 그 역사를 되새기면서 멸치와 실치가 풍부한 어장 체험도 함께 즐길 수 있어 교육과 관광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삽시도는 활에 꽂힌 화살 모양의 독특한 지형을 자랑하며, 2km에 이르는 규사 해수욕장과 바닷속 샘물 ‘물망터’가 유명하다. 울창한 송림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뤄 사진 애호가들과 자연 애호가들에게 인기다. 외연도는 충남 최서단에 위치한 신비로운 섬으로, 천연기념물인 상록수림과 풍어당제 등 전통을 보존하고 있다. 또한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어 어업과 관광이 균형을 이루는 곳이다.호도와 녹도는 각각 여우와 사슴을 닮은 지형으로 눈길을 끈다. 이 두 섬은 전복어장과 침식굴, 초분 유적 등 독특한 자연과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어 가족 단위 관광객이 많이 찾는 명소로 자리잡았다.보령 섬 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체험형 관광으로 진화하고 있다. 패각분모래, 굴패각, 천일염, 함초 등 해양 치유 자원이 풍부하며, 청정 자연 속 어촌체험과 생태관광이 어우러져 진정한 힐링 여행지로 부상 중이다.보령시 관계자는 “각 섬마다 고유한 전통문화와 역사적 스토리텔링이 살아 있어, 단순한 휴식 이상의 의미 있는 문화 체험과 자연 치유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며 “삶의 속도를 잠시 내려놓고 쉼을 찾는 공간으로서 보령지역 섬이 최적의 장소”라고 밝혔다.다가오는 가을, 바다와 자연, 그리고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보령의 섬들은 현대인의 일상에 여유와 힐링을 선사하는 특별한 여행지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