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방탄소년단 후계자 맞네! 7년차 투바투, 전작 초동 가볍게 갈아치운 '괴물 성장세'

 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빈, 연준, 범규, 태현, 휴닝카이)가 정규 4집 '별의 장: TOGETHER'로 또 한 번 자체 기록을 경신하며 성장세를 입증했다. 2019년 데뷔해 올해 7년 차를 맞은 이들은 현재 빅히트 뮤직과 재계약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음반 판매량 집계 사이트 한터차트에 따르면,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정규 4집 '별의 장: TOGETHER'는 7월 21일부터 27일까지 일주일 동안 총 176만 867장이 판매되며 주간 음반 차트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직전 발매했던 미니 7집 '별의 장: SANCTUARY'의 초동 판매량 157만 9339장을 뛰어넘는 수치로, 그룹의 지속적인 인기 상승을 보여주는 지표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번 신보가 발매 첫날에만 약 143만 장 판매되어 단숨에 밀리언셀러에 등극했다는 것이다. 이로써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2022년 'minisode 2: Thursday's Child'를 시작으로, 2023년 '이름의 장: TEMPTATION'과 '이름의 장: FREEFALL', 2024년 'minisode 3: TOMORROW'와 '별의 장: SANCTUARY', 그리고 이번 '별의 장: TOGETHER'까지 6개 앨범 연속으로 초동 밀리언셀러를 달성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일본 시장에서의 성과도 눈부시다. '별의 장: TOGETHER'는 일본 현지 발매 직후 라인뮤직 일간 앨범 차트 1위에 오른 뒤 7월 22일부터 27일까지 6일 연속으로 정상을 지켰다. 오리콘 '데일리 앨범 랭킹'에서도 발매 직후 1위를 차지했고, 24일과 25일 자 차트에서도 다시 1위에 올라 현지에서의 높은 인기를 증명했다. 타이틀곡 'Beautiful Strangers' 역시 라인뮤직 일간 송차트에서 6일 연속(7월 22~27일) 1위를 차지하며 앨범과 타이틀곡 모두 고르게 사랑받고 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지난 7월 27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5 SBS 가요대전 Summer'에 출연해 다채로운 무대를 선보였다. 멤버 연준이 안무 창작에 직접 참여한 타이틀곡 'Beautiful Strangers'로 팀의 독창적인 색채를 강하게 드러냈으며, 수록곡 'Upside Down Kiss'에서는 한층 성숙하고 관능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 또한 지난 5월 발표했던 디지털 싱글 'Love Language'로 투모로우바이투게더 특유의 청량한 매력을 발산했다.

 

특히 멤버 범규는 지난 3월 발표한 첫 솔로 믹스테이프 'Panic'으로 스페셜 무대를 펼쳐 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그룹 활동과 함께 멤버 개인의 음악적 역량도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처럼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앨범 판매량 기록 경신과 함께 국내외에서 고른 인기를 누리며, 4세대 K팝 대표 보이그룹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24시간도 모자란다는 '이곳', '24시 여행지'로 폭발 중

6년 대비 93.5% 수준의 회복률이다. 하지만 부산의 경우 이러한 추세를 뛰어넘는 성과를 거두며 외래 관광 시장의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지난해 부산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는 약 292만 9000명으로, 이는 코로나 직전인 2019년 268만 8000명을 넘어서는 108.9%의 초과 회복률이다.특히 주목할 점은 부산을 방문한 외국인 중 대만인이 50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일본 관광객 45만 6000명을 제치며 1위를 차지했다는 사실이다. 부산의 관광 인기는 올해도 지속되고 있으며, 2024년 5월까지 약 138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부산을 방문해 연말까지 330만~3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이 같은 부산의 관광 인기 요인 중 하나는 야간 관광 콘텐츠의 활성화다. ‘24시간 부산’이라는 이미지가 확산되며 세계적인 여행 정보 사이트 ‘트립어드바이저’의 여행 만족도 분석에서 부산은 동북아 8개 도시 중 도쿄와 상하이를 제치고 2위를 차지했다. CNN과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아름다운 해변 도시 5곳’에도 이름을 올리는 등 글로벌 주목도 또한 상승세다.부산 방문 외국인 관광객의 패턴도 과거와는 달라지고 있다. 이전에는 BIFF광장, 해운대 등 정형화된 명소 위주로 움직였다면, 최근에는 현지인들의 일상을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가 인기를 끌고 있다. SNS와 블로그를 통해 소개된 ‘민락수변공원 야간 산책’, ‘송도해상케이블카 야간 탑승’, ‘바 크롤’, ‘사직야구장 야간 경기 관람’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사직야구장의 KBO 경기 관람은 색다른 문화 체험으로 자리 잡았다. 광안리 일대의 야간 콘텐츠 활성화도 눈에 띈다. ‘M드론라이트쇼’의 상설 운영 이후 광안대교 일대의 상권이 살아나면서, 해운대 중심이던 야간관광의 축이 광안리로 이동하고 있다. ‘별바다부산 원도심 나이트 미션투어’는 참여자 만족도 4.94/5점을 기록하며 화제를 모았고, 다대포해수욕장의 ‘나이트 뮤직 캠크닉 앤 트래블쇼’, 화명생태공원의 ‘나이트 마켓’ 등은 로컬 명소를 야간 관광지로 탈바꿈시키는 데 성공했다.부산은 서면, 해운대, 광안리, 남포동뿐 아니라 다대포, 화명동, 사직동 등 도시 전역에서 야간 관광이 가능한 ‘다중 거점형 야간관광 도시’로서의 강점을 지닌다. 이와 함께 안전한 심야 대중교통망과 외국인 맞춤형 서비스인 ‘비짓부산패스’, ‘위챗페이’ 연동 등 관광 편의성도 크게 개선됐다.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부산시는 2025년 ‘별바다부산 나이트 페스타’를 전역 축제로 확대해 개최할 계획이다. 7월부터 4개월간 이어지는 이번 축제에서는 기존 콘텐츠를 한층 강화해 글로벌 야간관광 도시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공고히 할 방침이다.올해 여름 휴가철에도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부산 원도심의 로컬 감성을 바탕으로 하는 ‘나이트 미션투어’와 ‘근현대역사관 키즈투어’, 국립부산과학관과의 협업 프로그램인 ‘사이언스 앤 매직 키즈밤놀이터’ 및 ‘가족과학캠프’ 등이다. ‘리버 디너 크루즈’는 대표 야간 콘텐츠로 자리 잡으며 가족 단위 여행객은 물론 외국인 개별 관광객들에게도 큰 호응을 얻고 있다.부산은 단순한 휴양지를 넘어, 밤에도 살아있는 입체적인 관광 도시로 진화하고 있다. 야간이라는 시간을 새로운 기회로 전환한 전략은 국내외 관광객의 발길을 끌어당기며 ‘부산 관광’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