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칼 들어봤다' 토니안, 극단 선택 고백에 충격

 H.O.T. 멤버 토니안이 과거 우울증으로 힘들었던 시간을 고백하며 많은 이들의 공감을 자아냈다. 29일 방송된 tvN STORY ‘어쩌다 어른’ 10주년 특집에는 김용 전 세계은행 총재가 출연해 ‘한국은 끝났다?’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고, 이 과정에서 한국 사회의 중대한 이슈로 떠오른 ‘우울증’ 문제를 조명했다. 이날 김 전 총재는 유명 인사들의 사례를 들며 정신 건강에 대한 사회적 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전 총재는 “미국에서는 드웨인 존슨, 레이디 가가, 엠마 톰슨 같은 스타들이 우울증에 대해 솔직히 이야기한다”며 “나 역시 운 좋게 BTS를 UN 연설 당시 만난 적이 있다. RM이 ‘자신을 사랑하라’는 메시지를 던졌는데, 이는 우울증이나 자살을 직접 언급한 건 아니지만 전 세계 청년들에게 큰 울림을 줬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유명인의 목소리가 정신 건강 문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시사한 것이었다.

 

이날 패널로 참석한 토니안은 그간 드러내지 않았던 자신의 정신적 고통을 진솔하게 털어놓았다. 그는 “20대 중후반에 극심한 우울증을 겪었고, 매일같이 죽음을 떠올릴 정도로 힘든 시기를 보냈다”며 “그 당시 술과 약에 의존하며 삶을 이어갔다”고 밝혔다. 이 같은 고백은 스타로서 화려한 이미지 이면에 숨겨져 있던 내면의 고통을 보여주는 순간이었다.

 

 

 

토니안은 이어 “그 시기를 돌아보면 모든 게 ‘비교’에서 시작된 것 같다. ‘왜 나는 잘 안 풀릴까’, ‘왜 남들보다 성공하지 못했을까’라는 생각이 나를 갉아먹었다”며 “그런 강박이 스스로를 불행하게 만들고 우울증을 키웠던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높은 층에서 살던 당시 자살을 생각하며 창밖을 바라보거나 칼을 들어본 경험도 있다고 고백해 충격을 안겼다. 하지만 그 후 스스로를 되돌아보며 남과의 비교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중요했음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용 전 총재는 실질적인 정신 건강 관리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정신 건강 캠페인 ‘마인드 SOS’를 소개하고 싶다. 또 백종우 박사님이 주도한 ‘보고 듣고 말하기’ 프로그램도 있다. 이는 심폐소생술(CPR)처럼 누구나 배워야 할 응급 처치 개념”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대학 캠퍼스에서 전 구성원을 대상으로 심리 응급처치 교육을 진행한 경험도 공유했다.

 

김 전 총재는 “교육의 핵심은 힘든 사람을 알아보고 말을 건네는 것이다. 정신과에서 가장 먼저 배우는 건, 같은 공간에 있을 때 상대의 우울을 느낀다면 실제로 그 사람이 우울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심리 응급처치는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저 사람이 혹시 힘든 건 아닐까’라고 주변을 관찰하고 진심으로 귀 기울여야 한다”며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한국 자살 예방 상담센터 109번을 꼭 알려줘야 한다. 모든 자살은 예방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방송은 단순한 유명인의 고백을 넘어, 한국 사회가 직면한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해 보다 깊이 있는 대화의 필요성을 환기시켰다. 특히 우울증을 겪고 있는 이들에게는 위로와 공감의 메시지를, 주변인에게는 관심과 대화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박물관은 낮에 가세요! 강릉 야행은 '골목길 인생샷'과 '할머니표 썰'이 메인

일까지 강릉대도호부관아, 서부시장, 명주동 일원에서 성대한 막을 올린다. 2016년 첫선을 보인 이래 1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야행은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과 지역 연계 콘텐츠를 대폭 강화하며, 더욱 풍성하고 다채로운 야간 문화축제를 선보일 예정이다.이번 야행은 밤에 즐길 수 있는 '야경(夜景)', '야설(夜設)', '야로(夜路)', '야사(夜史)', '야화(夜話)' 등 8가지 테마 아래 총 42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역사 문화시설을 야간 개방하는 것은 물론, 다채로운 전시, 체험, 공연 프로그램들이 강릉의 밤을 수놓을 계획이다.축제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강릉대도호부사 부임행차 퍼레이드'다. 강릉의 역사적 상징성을 담은 이 퍼레이드는 관람객들에게 생생한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선사할 것이다. 또한, 강릉시민 모델이 직접 참여하는 '오색달빛 한복 패션쇼'는 전통의 아름다움과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진 특별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밤하늘을 수놓을 '드론, 강릉 국가유산 그리다'는 지난해보다 300대 늘어난 1천 대의 드론이 강릉의 국가유산과 지역 정체성을 표현하는 문구 퍼포먼스를 펼치며 환상적인 장관을 연출할 예정이다. 강릉의 대표 무형문화유산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향연' 역시 놓칠 수 없는 프로그램이다.특히 올해 야행은 기존 국가유산 중심의 프로그램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행사 권역을 명주동 일원까지 확대하며 더욱 풍성한 콘텐츠로 시민과 관광객을 맞이한다. 명주동 골목골목에서는 '할머니가 들려주는 이야기보따리', '명주동 가맥 프로그램' 등 강릉의 정겨운 이야기를 담은 골목 프로그램들이 펼쳐져, 방문객들에게 지역의 정취와 먹거리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먹거리 콘텐츠 또한 대폭 강화되었다. 강릉의 신선한 1차 농·축산물을 활용한 로컬푸드 간식 포장마차, 지역 양조장과 연계한 전통주·수제 맥주 체험존은 물론, 강릉성남시장 상인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프리마켓까지 운영되어 지역 상권과의 상생 모델을 실현한다. 이는 단순한 축제를 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김홍규 강릉시장은 이번 야행이 "국가유산을 단순히 즐기는 것을 넘어, 지역 골목의 일상까지 함께 경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야간 행사"가 될 것이라 강조하며, "시민과 방문객 모두에게 잊지 못할 특별한 추억을 선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강릉의 깊은 역사와 풍부한 문화, 그리고 생동하는 현재가 한데 어우러질 '2025 강릉국가유산야행'은 올여름, 강릉을 대표하는 문화 축제로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