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놓친 '뇌'들, 영국이 쓸어 담는다!" '글로벌 인재 전쟁' 영국, 판을 뒤집었다!

지난 22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영국 총리 직속의 '글로벌 인재 태스크포스(TF)'는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해외 우수 인재 유치에 집중하고 있다. 이 TF의 주요 논의 사항 중 하나는 바로 특정 전문가들에게 발급되는 비자 수수료를 완전히 없애는 것이다. 한 당국자는 이 논의의 대상이 "세계 5대 최고 대학 출신이거나 권위 있는 상을 받은 사람들"이라고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이들에게는 비자 발급 비용을 전액 면제하는 구상을 하고 있다고 밝혀 그 파급력을 짐작게 했다. 이는 단순히 수수료를 낮추는 것을 넘어, 최상위 인재들에게는 영국으로의 문턱을 완전히 없애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러한 논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H-1B 비자 수수료를 현행 1,000달러(약 140만원)의 무려 100배에 달하는 10만 달러(약 1억4000만원)로 올리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하기 전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미국의 이러한 급진적인 비자 수수료 인상 움직임이 전 세계적인 혼란과 논란을 야기하면서, 영국의 '비자 시스템 개혁' 논의에는 오히려 순풍을 달아준 격이 되었다. 미국의 문이 좁아지는 틈을 타 영국이 세계 최고 인재들을 흡수하려는 전략적 기회가 마련된 셈이다.

영국 당국자들은 현재의 글로벌 인재 비자 시스템이 '관료주의의 악몽' 수준이라고 혹평하며 변화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이들은 이번 개혁이 "순이민을 줄이겠다는 우리의 결의를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뛰어난 인재를 영국으로 불러오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브렉시트 이후 이민 정책에 대한 보수당 내부의 비판적 시각을 의식하면서도, 경제 성장을 위한 핵심 인재 유치는 포기할 수 없다는 영국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 발언이다. 즉, 양적 이민 감소 기조는 유지하되, 질적 이민, 특히 국가 발전에 필수적인 최고급 인재는 적극적으로 유치하겠다는 투트랙 전략인 셈이다.
현재 영국의 글로벌 인재 비자는 과학, 공학, 인문학, 의학, 디지털 기술, 예술, 문화 분야에서 리더 또는 리더가 될 잠재력이 있는 인재에게 발급된다. 2020년 도입된 이 비자의 신청 수수료는 1인당 766파운드(약 144만원)이며, 동반 가족 역시 각각 같은 금액을 지불해야 한다. 여기에 통상 연 1,035파운드(약 194만원)에 달하는 보건 요금도 별도로 부과되어, 가족 단위로 영국에 정착하려는 최고 인재들에게는 상당한 초기 비용 부담으로 작용해 왔다. 비자 수수료 폐지 검토는 이러한 금전적 장벽을 완전히 허물어, 세계 각국의 최고 인재들이 영국을 첫 번째 선택지로 고려하게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이러한 영국의 움직임은 단순히 비자 수수료를 없애는 것을 넘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투자로 볼 수 있다. 인공지능(AI), 바이오 기술, 첨단 제조업 등 미래 핵심 산업 분야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는 기술력과 연구 역량을 갖춘 인재 확보가 필수적이다. 영국은 이번 정책을 통해 세계적인 연구 기관과 혁신 기업들을 유치하고, 나아가 국가 전체의 혁신 생태계를 강화하려는 장기적인 비전을 가지고 있다. 미국의 보호주의적 인재 정책과 대비되는 영국의 개방적이고 공격적인 인재 유치 전략이 과연 어떤 결실을 맺을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