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Global

스크린 속 '가상 스타' 시대 개막? AI 여배우, 인간 배우와 전면전 예고

 미국 할리우드에 인공지능(AI) 여배우가 등장하면서 영화계가 뜨거운 논쟁에 휩싸였다. 지난 27일 취리히 영화제에서 배우 겸 코미디언 엘린 반 더 벨던은 자신이 설립한 AI 스튜디오 시코이아(Xicoia)의 첫 AI 배우 '틸리 노우드'가 여러 에이전시와 계약을 논의 중이라고 발표했다. 

 

시코이아는 새로운 세대의 초현실적 디지털 스타를 창조,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벨던은 AI가 사람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창작 도구이자 예술 작품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 소식은 할리우드 배우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영화 '스크림'의 멜리사 바레라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런 짓을 하는 에이전트에게 고용된 모든 배우가 정신 차리길 바란다. 정말 역겹다"며 에이전시 보이콧을 촉구했다. 키어시 클레몬스, 니콜라스 알렉산더 차베스 등 동료 배우들도 비판에 가세했다. 

 

영화 '마틸다'에 출연했던 마라 윌슨은 "노우드를 만들기 위해 얼굴이 합성된 수백 명의 젊은 여성은 어떻게 되는가"라며 윤리적 문제를 제기했고, 시사 토크쇼 진행자 우피 골드버그는 "다른 배우 5000명의 요소를 합성한 것과 맞서야 한다"고 우려를 표했다.

 

미국 배우‧방송인 노동조합(SAG-AFTRA) 역시 공식 성명을 통해 "창의성은 인간 중심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AI 배우에 대한 강한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조합은 "노우드는 배우가 아닌, 수많은 전문 연기자들의 연기를 허락이나 보상 없이 도용해 훈련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만든 캐릭터"라고 정의했다. 이어 "이 캐릭터는 삶의 경험이나 감정을 끌어낼 수 없으며, 관객들은 인간의 경험과 무관한 컴퓨터 생성 콘텐츠에 관심이 없다"고 지적했다. SAG-AFTRA는 AI 배우의 등장이 배우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인간의 예술성을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라고 경고했다..

 


벨던은 쏟아지는 비판에 대해 노우드가 "인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창작물이자 예술 작품"이라고 항변했다. 그녀는 AI를 "새로운 수단"으로 정의하며, 상상력을 자극하고 이야기를 창조하는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현재 벌어지는 논란이야말로 창의성의 본질적인 힘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AI 여배우의 등장은 할리우드에 기술 발전이 가져올 예술의 본질과 인간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으며, 앞으로 이 논란이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AI 집사'까지 등장…순천만, K-관광의 미래를 건 거대한 도박

모습으로 관람객을 맞이한다. 단순히 꽃과 나무를 감상하던 공간을 넘어, 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로 가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미래형 관광지로의 대대적인 변신을 선언한 것이다. 이는 한국관광공사와 손잡고 추진하는 '2025 관광현장 문제해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낡은 관광 방식을 버리고 기술을 통해 K-관광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겠다는 야심 찬 계획의 서막이다.이번 거대한 변화의 중심에는 딥파인, 플리토, 플루언트 등 국내 유망 기술 기업들이 있다. 이들은 순천만국가정원이라는 거대한 실증 무대 위에서 자신들의 혁신적인 기술을 마음껏 펼쳐 보일 예정이다. 단순히 기술을 전시하는 것을 넘어, 언어 장벽, 길 찾기의 어려움 등 관광객들이 현장에서 겪는 실제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기업들 입장에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정원에서 자사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성장 발판을 마련할 절호의 기회이며, 순천만은 이들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 기업과 관광지가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게 된다.관람객들이 가장 먼저 체감하게 될 변화는 바로 'AI 집사'의 등장이다. '광집사'라는 이름의 이 AI 안내 시스템은 10월 1일부터 4일까지 운영되는 안내부스에서부터 만나볼 수 있다. "어디부터 봐야 할까?" 고민하는 관람객에게는 개인 취향에 맞는 최적의 코스를 추천해주고, 복잡한 정원 곳곳을 헤매지 않도록 AI 지도로 길을 안내한다. 뿐만 아니라 정원 곳곳에 숨겨진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비추면, 눈앞의 실제 풍경 위로 화려한 증강현실 콘텐츠가 펼쳐지는 마법 같은 경험도 할 수 있다. 정원을 산책하는 행위 자체가 하나의 흥미로운 게임처럼 바뀌는 것이다.노관규 순천시장이 "스마트·글로벌 정원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듯, 이번 프로젝트는 순천만국가정원의 미래를 건 중요한 승부수다. 첨단 기술 도입을 통해 내국인에게는 새로운 즐거움을, 외국인에게는 언어의 장벽 없는 편리함을 제공함으로써 관광지 자체의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과연 AI와 AR 기술이 순천만이라는 아름다운 자연과 만나 어떤 시너지를 폭발시킬지, 그리고 이 혁신적인 시도가 대한민국 관광 산업 전체에 새로운 성장 모델을 제시하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을지 그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