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최신

경제최신

코스피, 추석 앞두고 사상 첫 3500선 돌파… 'AI·금리인하 기대감' 쌍끌이 상승

 추석 황금 연휴를 하루 앞둔 2일, 코스피 지수가 사상 최초로 3500 고지를 정복하며 국내 증시에 뜨거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69.65포인트(2.02%) 급등한 3525.48에 개장했으며, 장중 한때 3538.71까지 치솟아 역대 장중 최고가 기록을 새로 썼다. 이는 지난달 24일 기록했던 종전 장중 최고치 3497.95와 지난달 23일 종가 기준 최고점 3486.19를 모두 갈아치운 수치다.

 

이번 급등세의 배경에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 먼저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 중단)' 현실화에도 불구하고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오히려 증폭된 점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올해 12월까지 미 기준금리가 50bp(1bp=0.01%포인트) 인하될 확률은 86.7%로 전망되며, 뉴욕 증시 또한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며 국내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개발사 오픈AI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은 국내 시가총액 '투톱'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가 파죽지세로 급등한 것이 장 전반의 온기를 더했다. 시총 1위 삼성전자는 장중 9만원을 기록하며 '9만전자'에 재진입했는데, 이는 정규장 기준 2021년 1월 15일 이후 4년 9개월 만이다. 시총 2위 SK하이닉스 역시 장중 40만원까지 치솟으며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는 '큰손' 외국인 투자자가 9764억원 규모의 순매수세를 기록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기관 투자자도 697억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했으나, 개인 투자자는 1조269억원 규모의 순매도세를 보이며 차익 실현에 나서는 분위기였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셧다운, 관세 등 매크로(거시경제) 및 정치 이슈와 무관하게 인공지능(AI), 반도체는 주도주로서 제 갈 길을 가고 있다"며 미국 반도체주 강세가 국내 증시 상승의 주요 재료가 됐다고 분석했다.

 

한편, 코스닥 지수 역시 전장보다 8.06포인트(0.95%) 오른 853.40으로 출발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1.2원 내린 1402.0원에 개장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AI 집사'까지 등장…순천만, K-관광의 미래를 건 거대한 도박

모습으로 관람객을 맞이한다. 단순히 꽃과 나무를 감상하던 공간을 넘어, 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로 가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미래형 관광지로의 대대적인 변신을 선언한 것이다. 이는 한국관광공사와 손잡고 추진하는 '2025 관광현장 문제해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낡은 관광 방식을 버리고 기술을 통해 K-관광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겠다는 야심 찬 계획의 서막이다.이번 거대한 변화의 중심에는 딥파인, 플리토, 플루언트 등 국내 유망 기술 기업들이 있다. 이들은 순천만국가정원이라는 거대한 실증 무대 위에서 자신들의 혁신적인 기술을 마음껏 펼쳐 보일 예정이다. 단순히 기술을 전시하는 것을 넘어, 언어 장벽, 길 찾기의 어려움 등 관광객들이 현장에서 겪는 실제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기업들 입장에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정원에서 자사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성장 발판을 마련할 절호의 기회이며, 순천만은 이들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 기업과 관광지가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게 된다.관람객들이 가장 먼저 체감하게 될 변화는 바로 'AI 집사'의 등장이다. '광집사'라는 이름의 이 AI 안내 시스템은 10월 1일부터 4일까지 운영되는 안내부스에서부터 만나볼 수 있다. "어디부터 봐야 할까?" 고민하는 관람객에게는 개인 취향에 맞는 최적의 코스를 추천해주고, 복잡한 정원 곳곳을 헤매지 않도록 AI 지도로 길을 안내한다. 뿐만 아니라 정원 곳곳에 숨겨진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비추면, 눈앞의 실제 풍경 위로 화려한 증강현실 콘텐츠가 펼쳐지는 마법 같은 경험도 할 수 있다. 정원을 산책하는 행위 자체가 하나의 흥미로운 게임처럼 바뀌는 것이다.노관규 순천시장이 "스마트·글로벌 정원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듯, 이번 프로젝트는 순천만국가정원의 미래를 건 중요한 승부수다. 첨단 기술 도입을 통해 내국인에게는 새로운 즐거움을, 외국인에게는 언어의 장벽 없는 편리함을 제공함으로써 관광지 자체의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과연 AI와 AR 기술이 순천만이라는 아름다운 자연과 만나 어떤 시너지를 폭발시킬지, 그리고 이 혁신적인 시도가 대한민국 관광 산업 전체에 새로운 성장 모델을 제시하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을지 그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