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연예

'다 이루어질지니' 공개 코앞인데…김우빈, 차기작은 '눈물 나는' 야구 드라마

 배우 김우빈이 데뷔 후 처음으로 스포츠 드라마에 도전하며 파격적인 연기 변신을 예고했다. 그의 차기작은 tvN 새 드라마 '기프트'로, 여기서 그는 그라운드를 누비는 선수가 아닌, 선수들을 이끄는 야구 코치 역할을 맡아 새로운 모습을 선보일 예정이다. 넷플릭스 시리즈 '다 이루어질지니'의 공개를 바로 앞두고 쉴 틈 없이 차기작 소식을 전하며 팬들의 기대감을 한껏 끌어올리고 있다. 특히 최근 대한민국을 강타하고 있는 '야구 신드롬'의 열기를 브라운관으로 고스란히 옮겨올 것으로 보여 벌써부터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우빈이 연기할 '정민용'이라는 인물은 그야말로 인간미와 낭만으로 똘똘 뭉친 캐릭터다. 과거 프로 구단 코치였지만 현재는 한 고등학교 야구부의 감독을 맡고 있는 그는, 답답할 정도로 착하고 정이 많아 선수 한 명도 허투루 대하는 법이 없는 인물이다. 당장의 성적이나 승리보다는 선수 개개인의 노력과 성장 과정이 더 중요하다고 외치는 이상주의자이기도 하다. 선수들의 경기 분석과 리포트 작성으로 밤을 지새우는 것이 일상이지만 전혀 개의치 않으며, 틈만 나면 후배들을 모아 고기를 사 먹이는 따뜻한 마음씨를 지녔다. 김우빈이 그려낼 온기 넘치는 투수 코치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지 궁금증을 자아낸다.

 


드라마 '기프트'는 동명의 인기 카카오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작품이다. 불의의 사고 이후 남다른 특별한 능력을 갖게 된 프로팀 야구 코치가, 아무도 주목하지 않는 아마추어 꼴찌 팀 '덕천고' 야구부의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다. 꼴찌팀 선수들과 함께 성장하며 뜨겁고 치열하고 때로는 눈물 나는 한 시즌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감동적으로 펼쳐질 전망이다. 원작 웹툰이 가진 탄탄한 스토리에 김우빈이라는 톱배우의 연기력이 더해져 또 하나의 '인생 드라마'가 탄생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이번 작품은 김우빈의 필모그래피에 새로운 획을 그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다양한 장르에서 카리스마 넘치는 역할부터 코믹한 연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줬지만, 본격적인 스포츠 드라마는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이다. 선수들의 땀과 눈물, 성장의 드라마를 이끌어가는 감독 역할을 통해 그가 어떤 깊이 있는 연기를 보여줄지 주목된다. '기프트'는 내년 초 본격적인 촬영에 돌입할 예정으로, 김우빈이 만들어갈 그라운드의 기적이 벌써부터 야구팬과 드라마 팬 모두의 마음을 설레게 하고 있다.

 

'AI 집사'까지 등장…순천만, K-관광의 미래를 건 거대한 도박

모습으로 관람객을 맞이한다. 단순히 꽃과 나무를 감상하던 공간을 넘어, 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로 가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미래형 관광지로의 대대적인 변신을 선언한 것이다. 이는 한국관광공사와 손잡고 추진하는 '2025 관광현장 문제해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낡은 관광 방식을 버리고 기술을 통해 K-관광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겠다는 야심 찬 계획의 서막이다.이번 거대한 변화의 중심에는 딥파인, 플리토, 플루언트 등 국내 유망 기술 기업들이 있다. 이들은 순천만국가정원이라는 거대한 실증 무대 위에서 자신들의 혁신적인 기술을 마음껏 펼쳐 보일 예정이다. 단순히 기술을 전시하는 것을 넘어, 언어 장벽, 길 찾기의 어려움 등 관광객들이 현장에서 겪는 실제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기업들 입장에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정원에서 자사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성장 발판을 마련할 절호의 기회이며, 순천만은 이들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 기업과 관광지가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게 된다.관람객들이 가장 먼저 체감하게 될 변화는 바로 'AI 집사'의 등장이다. '광집사'라는 이름의 이 AI 안내 시스템은 10월 1일부터 4일까지 운영되는 안내부스에서부터 만나볼 수 있다. "어디부터 봐야 할까?" 고민하는 관람객에게는 개인 취향에 맞는 최적의 코스를 추천해주고, 복잡한 정원 곳곳을 헤매지 않도록 AI 지도로 길을 안내한다. 뿐만 아니라 정원 곳곳에 숨겨진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비추면, 눈앞의 실제 풍경 위로 화려한 증강현실 콘텐츠가 펼쳐지는 마법 같은 경험도 할 수 있다. 정원을 산책하는 행위 자체가 하나의 흥미로운 게임처럼 바뀌는 것이다.노관규 순천시장이 "스마트·글로벌 정원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듯, 이번 프로젝트는 순천만국가정원의 미래를 건 중요한 승부수다. 첨단 기술 도입을 통해 내국인에게는 새로운 즐거움을, 외국인에게는 언어의 장벽 없는 편리함을 제공함으로써 관광지 자체의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과연 AI와 AR 기술이 순천만이라는 아름다운 자연과 만나 어떤 시너지를 폭발시킬지, 그리고 이 혁신적인 시도가 대한민국 관광 산업 전체에 새로운 성장 모델을 제시하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을지 그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