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최신

경제최신

모르고 사면 호구 잡힌다! 추석 선물세트, ‘이곳’이 가장 비쌌다

 민족 대명절 추석을 앞두고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한 선물 세트 구매가 한창인 가운데, 동일한 제품이라도 어디서 어떻게 사느냐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현명한 선택이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이 주요 유통 채널에서 판매 중인 추석 선물 세트 16종의 가격을 비교 분석한 결과, 유통 채널별 가격 전략과 할인 정책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선물 세트의 가격이 가장 높게 형성된 곳은 백화점이었다. 반면 가장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곳은 제조업체가 직접 운영하는 온라인몰(자사몰)인 경우가 절반(8종, 50%)을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대형마트와 자사몰의 가격이 동일하게 가장 저렴한 경우가 31.2%(5종), 대형마트 단독으로 가장 저렴한 경우가 18.8%(3종)로 그 뒤를 이었다. 결국 온라인 채널이나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것이 백화점에서 구매하는 것보다 경제적으로 유리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정성껏 포장된 ‘선물 세트’가 오히려 구성품을 각각 낱개로 구매하는 것보다 비싼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았다는 사실이다. 소비자원은 자사몰에서 판매하는 선물 세트 43종을 대상으로 세트 가격과 낱개 구매 가격을 비교했는데, 무려 83.7%에 달하는 36종의 상품이 세트로 구매할 때 더 비쌌다. 이들의 가격 차이는 평균 24.9%에 달해, 사실상 포장 비용과 브랜드 가치를 소비자가 추가로 부담하는 셈이었다.

 


구체적인 사례를 보면 그 차이가 더욱 명확해진다. ‘동원 참치 S22호’의 경우, 세트 가격은 5만 3000원이지만 구성품을 낱개로 모두 구매하면 4만 1800원으로 1만 1200원의 차이가 발생했다. ‘CJ 백설 포도씨유 3호’는 그 격차가 더 커서, 세트 가격(2만 9029원)이 낱개 합산 가격보다 1만 4779원이나 비쌌다. 편리함과 보기 좋은 모양새를 위해 적지 않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고물가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선물 세트 가격 자체는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를 보였다. 지난해와 올해 모두 판매된 선물 세트 116종 중 절반이 넘는 50.9%(59종)가 가격을 동결했으며, 6%(7종)는 오히려 가격을 인하했다. 가격이 오른 품목은 43.1%(50종)로 조사됐다.

 

소비자원은 명절이 임박할수록 유통업체들이 제공하는 할인 혜택을 잘 활용하면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온라인 최저가 수준으로 구매가 가능하다고 조언했다. 다만, 동일한 구성의 세트임에도 유통 채널별로 상품명을 다르게 표기하거나 구성품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경우가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각 유통 채널에 정확한 상품 정보 제공을 권고하고, 소비자들에게는 구매 전 채널별 가격, 할인 정보, 구성품 등을 꼼꼼히 비교하는 습관을 가질 것을 강력히 당부했다.

 

택시까지 불러주는 울산시의 '역대급' 반려동물 관광 코스

주관한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조성' 공모사업에 광역단체 최초로 선정된 것을 계기로, 단순한 펫 프렌들리 시설 확충을 넘어 반려동물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차별화된 관광 콘텐츠 개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는 반려동물 양육 인구 1500만 시대에 새로운 관광 수요를 선점하고, 도시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리려는 전략적인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이미 지난해 운영한 시범 프로그램에 851명의 관광객과 731마리의 반려동물이 참여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며 성공 가능성을 입증했다.울산시가 선보이는 프로그램들은 반려인들의 취향을 정밀하게 조준한다. 대표적으로 울산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동반 트레킹 투어 '미션 멍파서블 울산'은 지역 관광명소 47곳에서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재미와 건강을 동시에 잡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관내 농장 3곳과 협력하여 계절별로 딸기나 배꽃을 즐기는 테마형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도시에서는 경험하기 힘든 특별한 추억을 선사한다. KTX와 연계한 반려동물 동반 기차 관광상품 '울산 댕댕트레인' 역시 출시와 동시에 큰 호응을 얻으며, 반려동물과의 장거리 이동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는 획기적인 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이러한 성공적인 프로그램 운영의 배경에는 관광객의 편의를 극대화하려는 울산시의 세심한 지원 정책이 깔려있다. 시는 반려동물 동반 단체 관광객을 유치하는 여행업체나 관광사업체를 대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관련 상품 개발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또한, 낯선 여행지에서 반려동물과 함께 이동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관광객들을 위해 맞춤형 이동 서비스인 '반려동물 관광택시'를 운행하며 교통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이는 단순히 '오라'고 손짓하는 데 그치지 않고, 여행의 전 과정에서 마주할 수 있는 불편함을 선제적으로 해결하려는 울산시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울산시는 현재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더욱 창의적이고 매력적인 관광상품을 발굴하기 위해 이달 중으로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반려동물 친화 관광도시 조성은 단순히 새로운 상품을 하나 더하는 것이 아니라, 관광문화의 패러다임 자체를 전환하는 중요한 시도"라고 강조하며,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여행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대표 도시가 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적, 재정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장생포 고래바다여행선부터 일산해수욕장, 황방산 생태야영장에 이르기까지, 울산의 모든 공간이 반려인과 반려동물을 위한 즐거운 놀이터로 변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