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최신

경제최신

"미국·중국 나와!"…KIST·LG, '한국형 휴머노이드'로 세계에 도전장

 미국과 중국이 양분한 로봇 시장에 '한국형 AI 휴머노이드'가 도전장을 내민다. 단순 동작을 반복하는 기존 로봇의 한계를 넘어, 스스로 생각하고 환경에 적응하며 사람처럼 섬세한 작업까지 해내는 로봇 '케이팩스(KAPEX)'가 그 주인공이다. 이는 KIST의 원천 기술력과 LG의 상용화 역량이 결합된, 국가 차원의 전략 자산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모은다.

 

케이팩스의 가장 큰 차별점은 '학습 능력'에 있다.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 '엑사원(EXAONE)'을 두뇌로 탑재해, 보고 듣는 정보를 스스로 이해하고 학습한다. 덕분에 정해진 명령만 수행하는 것을 넘어, 예측 불가능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사람과 협업하는 등 고차원적인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 여기에 사람 손처럼 섬세한 촉각을 지닌 로봇 핸드와 인간 수준의 신체 능력을 결합해, 재난 현장부터 일상생활 지원까지 활용 범위를 무한히 넓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산업 현장 실증과 상용화'라는 명확한 목표를 향해 달려간다. KIST가 AI 휴머노이드 원천 기술을 제공하고, LG전자가 제품화와 양산 노하우를, LG AI연구원이 로봇의 두뇌를 더하는 '드림팀'을 구성했다. 이들은 4년 안에 실제 산업 현장에 케이팩스를 투입하고 상용화에 착수하겠다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했다.

 

현재 세계 로봇 시장은 AI를 탑재해 스스로 판단하고 움직이는 '피지컬 AI'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미국과 중국이 이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케이팩스는 이러한 시장 구도에 도전하는 한국의 실질적인 첫 대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종원 KIST 휴머노이드연구단장은 "케이팩스는 미·중 중심의 시장 질서에 도전하는 새로운 글로벌 표준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연구실에 머무는 기술을 넘어, 실제 산업의 판도를 바꾸고 한국이 로봇 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는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을지, 케이팩스의 행보에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택시까지 불러주는 울산시의 '역대급' 반려동물 관광 코스

주관한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조성' 공모사업에 광역단체 최초로 선정된 것을 계기로, 단순한 펫 프렌들리 시설 확충을 넘어 반려동물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차별화된 관광 콘텐츠 개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는 반려동물 양육 인구 1500만 시대에 새로운 관광 수요를 선점하고, 도시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리려는 전략적인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이미 지난해 운영한 시범 프로그램에 851명의 관광객과 731마리의 반려동물이 참여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며 성공 가능성을 입증했다.울산시가 선보이는 프로그램들은 반려인들의 취향을 정밀하게 조준한다. 대표적으로 울산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동반 트레킹 투어 '미션 멍파서블 울산'은 지역 관광명소 47곳에서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재미와 건강을 동시에 잡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관내 농장 3곳과 협력하여 계절별로 딸기나 배꽃을 즐기는 테마형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도시에서는 경험하기 힘든 특별한 추억을 선사한다. KTX와 연계한 반려동물 동반 기차 관광상품 '울산 댕댕트레인' 역시 출시와 동시에 큰 호응을 얻으며, 반려동물과의 장거리 이동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는 획기적인 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이러한 성공적인 프로그램 운영의 배경에는 관광객의 편의를 극대화하려는 울산시의 세심한 지원 정책이 깔려있다. 시는 반려동물 동반 단체 관광객을 유치하는 여행업체나 관광사업체를 대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관련 상품 개발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또한, 낯선 여행지에서 반려동물과 함께 이동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관광객들을 위해 맞춤형 이동 서비스인 '반려동물 관광택시'를 운행하며 교통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이는 단순히 '오라'고 손짓하는 데 그치지 않고, 여행의 전 과정에서 마주할 수 있는 불편함을 선제적으로 해결하려는 울산시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울산시는 현재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더욱 창의적이고 매력적인 관광상품을 발굴하기 위해 이달 중으로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반려동물 친화 관광도시 조성은 단순히 새로운 상품을 하나 더하는 것이 아니라, 관광문화의 패러다임 자체를 전환하는 중요한 시도"라고 강조하며,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여행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대표 도시가 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적, 재정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장생포 고래바다여행선부터 일산해수욕장, 황방산 생태야영장에 이르기까지, 울산의 모든 공간이 반려인과 반려동물을 위한 즐거운 놀이터로 변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