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미용실 샴푸대 '이 자세' 계속하면 뇌졸중 온다…당신이 몰랐던 치명적 위험

 일상의 작은 사치로 여겨졌던 미용실 방문이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뇌졸중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용실 뇌졸중 증후군(Beauty Parlor Stroke Syndrome, BPSS)'으로 명명된 이 현상은 미용실 샴푸대에 누워 머리를 감기 위해 목을 뒤로 과도하게 젖히는 자세에서 비롯된다. 이 자세는 목이 정상적인 가동 범위를 넘어 젖혀지는 '과신전' 상태를 유발하는데, 이때 뇌로 혈액을 공급하는 핵심 통로인 척추동맥이 심하게 눌리거나 압박을 받아 손상될 수 있다. 심각한 경우 동맥이 파열되어 혈액 공급이 차단되면서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경고다. 이는 드물게 발생하는 현상이지만, 그 결과가 치명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위험성은 '미국 응급의학 저널'에 발표된 한 연구 보고서를 통해 더욱 구체화되었다. 연구진은 지난 50년간 기록된 '미용실 뇌졸중 증후군' 관련 연구 22개를 분석했으며, 총 54건의 사례를 통해 그 위험성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환자의 약 80%가 여성이었으며, 연령대는 10대 청소년부터 고령층까지 매우 폭넓게 분포되어 있어 특정 연령에 국한된 문제가 아님이 드러났다. 증후군의 주요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어지럼증, 시야 흐림, 균형 감각 상실 등이 있으며, 두통이나 메스꺼움을 동반하기도 한다. 또한 말이 어눌해지거나 신체 한쪽에 마비 증상이 나타나는 등 전형적인 뇌졸중 증세를 보인다. 이러한 증상은 목을 젖힌 자세에서 즉각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며칠이 지난 후에 발현될 수도 있어 더욱 위험하다.

 


실제로 2014년, 엘리자베스 스미스라는 여성은 미용실에서 머리를 감은 지 약 2주 만에 '미용실 뇌졸중 증후군'으로 인한 뇌졸중을 겪는 비극적인 사례의 주인공이 되었다. 당시 샴푸대에서 목을 과도하게 젖힌 자세로 인해 척추동맥이 손상된 것이 원인이었다. 이 사고로 그녀는 걸음걸이가 불안정해지고 왼손의 운동 능력을 상실했으며, 왼쪽 눈에도 영구적인 장애를 얻는 등 심각한 후유증을 평생 안고 살아가게 되었다. 이처럼 '미용실 뇌졸중 증후군'은 단순히 통계상의 드문 현상이 아니라, 한 개인의 삶을 송두리째 파괴할 수 있는 실재하는 위협임을 명심해야 한다.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몇 가지 안전 수칙을 권고한다. 미용실에서는 샴푸 시 고객의 목을 보호하기 위해 말린 수건이나 쿠션을 받쳐주어 목이 과도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고객 스스로도 샴푸를 받는 동안 목에 긴장감이나 불편함, 어지럼증 등 이상 증상이 느껴진다면 즉시 미용사에게 알려 자세를 바로잡아야 한다. 사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불편함이 사실은 우리 몸이 보내는 위험 신호일 수 있기 때문이다. 편안함을 위해 찾은 미용실이 돌이킬 수 없는 비극의 장소가 되지 않도록,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 모두의 세심한 주의와 인식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1978년 미군 병사의 발견이 2029년 '세계 엑스포'로! 연천의 기적은 시작될까?

열린 현장 설명회에서 연천군의 유치 의향서를 접수하고, 기획재정부에 공동 개최 승인을 신청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는 이번 엑스포가 4만 1천 명 인구의 연천군에 수십만, 수백만 명의 생활인구를 유입시켜 교통 문제를 자연스럽게 해결하고, '지붕 없는 박물관' 연천을 대한민국 관광의 요람으로 만들 것이라는 포부를 드러냈다. 김덕현 연천군수 또한 이번 엑스포가 대한민국의 가치를 세계사적으로 한층 더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했다.연천 세계 구석기 엑스포는 1978년 동아시아 최초로 주먹도끼가 발견된 전곡리 유적의 세계적인 역사·문화적 가치를 바탕으로 기획된 국제 행사다. 당시 이 발견은 동아시아가 유럽이나 아프리카에 비해 문화적으로 뒤떨어지지 않았음을 입증하는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후 연천군은 매년 구석기 축제를 개최하며 올해로 32회를 맞이하는 등 구석기 문화의 중심지로서의 명맥을 이어왔다. 이제 연천군은 지역 축제를 넘어 세계적인 엑스포를 통해 연천이 지닌 평화, 문화, 생태적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리고, 구석기 문화의 글로벌 허브로 도약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손안의 혁명, 미래를 깨우다'라는 주제 아래 2029년 개최될 엑스포는 주제관, 전시체험관, 산업관 운영은 물론 국제학술대회, 다채로운 공연 및 부대행사로 채워질 예정이다. 성공적인 국제행사 개최를 위해서는 국고 지원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중앙행정기관 또는 광역자치단체가 기획재정부에 행사 승인을 신청하여 타당성 심사를 받아야 한다. 내년 2월에 나올 타당성 심사 결과에 귀추가 주목되는 가운데, 경기도가 연천군의 공동 개최 제안을 수용하면서 엑스포 추진에 강력한 동력이 확보되었다. 경기도는 기본계획 수립부터 조직위원회 구성, 예산·인력·홍보 지원, 중앙부처 협의 등 실무 전반을 도우며 엑스포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힘을 보탤 예정이다.이번 엑스포 공동 개최는 단순히 하나의 국제행사를 유치하는 것을 넘어, 인구소멸 위험지역인 연천군의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나아가 경기 북부 전체의 문화·관광 발전을 견인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경기도와 연천군은 이번 엑스포를 통해 연천의 잠재력을 세계에 알리고, 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각오다. 과연 연천 세계 구석기 엑스포가 경기 북부의 미래를 어떻게 바꾸어 놓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