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Global

"하마스가 거부하면 끝장"...트럼프의 제안은 평화가 아닌 최후통첩

트럼프 행정부가 제시한 가자지구 평화 구상은 '평화'라는 단어의 의미를 무색하게 만든다. 협상 테이블조차 마련되지 않은 채, 전쟁 당사자 중 하나인 하마스에게 일방적으로 통보된 이 제안은 평화를 위한 청사진이 아닌, 사실상의 항복 요구서에 가깝다. 국제 사회는 섣부른 환영을 보냈지만, 그 내용을 면밀히 들여다보면 곳곳에 숨겨진 독소 조항들이 전쟁의 종식이 아닌 새로운 갈등의 씨앗을 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이 구상이 하마스의 완전한 소멸을 전제한다는 점이다. 모든 무장 조직의 해체와 비무장화, 가자지구에서의 축출을 요구하는 것은 하마스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다. 2006년 총선에서 승리해 가자지구를 통치해 온 정치 실체에게 무조건적인 항복을 강요하는 것은 협상의 기본 전제를 무시하는 처사다. 알자지라의 선임 분석가 마르완 비샤라가 지적했듯, 이는 하마스에게 "항복하지 않으면 미국의 지원을 받은 이스라엘이 당신들을 끝장낼 것"이라는 최후통첩과 다름없다.

 

 

 

'재건'이 아닌 '재개발(redevelopment)'이라는 용어 선택 역시 의구심을 자아낸다. 이는 전쟁으로 파괴된 삶의 터전을 복구하는 인도주의적 관점이 아닌,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 욕심이 투영된 경제적 이익 계산이 깔렸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과거 그가 언급했던 '가자지구 휴양지 개발' 구상과 맞물려, 이는 팔레스타인 주민을 위한 재건이 아닌 외부 자본을 위한 특별 경제지구 개발 프로젝트로 변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민들의 강제 이주는 없다고 명시했지만, '떠날 사람은 자유롭게 떠날 수 있다'는 조항은 교묘한 방식으로 인구 구성을 바꾸려는 의도로 읽힐 수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 평화 구상이 팔레스타인의 미래를 완전히 지워버린다는 점이다. 국제사회가 유일한 해법으로 인정하는 '두 국가 해법'은 단 한 줄도 언급되지 않았다. 오히려 네타냐후 총리는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은 합의에 없으며, 우리는 강력히 반대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이는 가자지구를 미래의 팔레스타인 국가에서 영원히 분리하고, 이스라엘의 통제 아래 두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하마스가 저항의 명분을 버리고 이 제안을 받아들일 어떠한 대의명분도 남겨두지 않은 셈이다.

 

결국 이 '평화 구상'은 하마스가 절대로 받을 수 없는 조건들로 채워진 외교적 함정이다. 현지 주민들조차 "미국과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것임을 알면서 내용을 만들었다"며 냉소적인 반응을 보이는 이유다. 전쟁 종식이라는 허울 좋은 명분 아래, 상대에게 일방적인 항복을 강요하는 것은 진정한 평화를 향한 길이 될 수 없다. 이는 단지 더 큰 비극을 정당화하기 위한 명분 쌓기에 불과하며, 가자지구의 고통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임을 암시하는 비극적 서막일 뿐이다.

 

"한강서 치킨도 못 시키는데"…'관광 100조' 구호가 무색한 K-관광의 현실

장벽에 부딪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강국'이라는 명성이 무색하게, 실질적인 관광 소비를 가로막는 걸림돌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정연욱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관광객이 꼽은 한국 여행의 가장 큰 불편함은 교통(19.7%)이었다. 음식(13.5%), 언어(13.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정 의원은 "한강에서 치킨 한 마리 시켜 먹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소비 자체가 막히는 구조적 문제"라고 꼬집었다.특히 전 세계적인 흐름에 뒤처진 결제 시스템이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전 세계 오프라인 결제의 74%가 비접촉식(EMV) 방식인 반면, 한국의 보급률은 10% 수준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애플페이나 구글페이 등 해외 결제 서비스가 국내 매장에서 '먹통'이 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교통 시스템 역시 낡은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티머니 교통카드는 해외 신용카드로 충전이 불가능하며, 아이폰 이용자는 모바일 티머니를 사용할 수 없다. 런던, 뉴욕 등 세계 주요 도시들이 십수 년 전부터 해외 카드 한 장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한 것과 대조적이다.정 의원은 "K-콘텐츠는 국경을 넘었지만, K-서비스는 국경 안에 갇혀 있다"고 비판하며, "관광공사는 홍보 포스터를 만들기 전에 관광객이 실제로 돈을 쓸 수 있는 시스템부터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는 "한류 열풍을 내세우기 전에 외국인들이 겪는 불편부터 해소해야 '다시 찾고 싶은 나라'가 될 수 있다"며, 정부가 공허한 목표 수치보다 실질적인 이용 환경 개선에 집중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