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Global

스크린 속 '가상 스타' 시대 개막? AI 여배우, 인간 배우와 전면전 예고

 미국 할리우드에 인공지능(AI) 여배우가 등장하면서 영화계가 뜨거운 논쟁에 휩싸였다. 지난 27일 취리히 영화제에서 배우 겸 코미디언 엘린 반 더 벨던은 자신이 설립한 AI 스튜디오 시코이아(Xicoia)의 첫 AI 배우 '틸리 노우드'가 여러 에이전시와 계약을 논의 중이라고 발표했다. 

 

시코이아는 새로운 세대의 초현실적 디지털 스타를 창조,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벨던은 AI가 사람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창작 도구이자 예술 작품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 소식은 할리우드 배우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영화 '스크림'의 멜리사 바레라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런 짓을 하는 에이전트에게 고용된 모든 배우가 정신 차리길 바란다. 정말 역겹다"며 에이전시 보이콧을 촉구했다. 키어시 클레몬스, 니콜라스 알렉산더 차베스 등 동료 배우들도 비판에 가세했다. 

 

영화 '마틸다'에 출연했던 마라 윌슨은 "노우드를 만들기 위해 얼굴이 합성된 수백 명의 젊은 여성은 어떻게 되는가"라며 윤리적 문제를 제기했고, 시사 토크쇼 진행자 우피 골드버그는 "다른 배우 5000명의 요소를 합성한 것과 맞서야 한다"고 우려를 표했다.

 

미국 배우‧방송인 노동조합(SAG-AFTRA) 역시 공식 성명을 통해 "창의성은 인간 중심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AI 배우에 대한 강한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조합은 "노우드는 배우가 아닌, 수많은 전문 연기자들의 연기를 허락이나 보상 없이 도용해 훈련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만든 캐릭터"라고 정의했다. 이어 "이 캐릭터는 삶의 경험이나 감정을 끌어낼 수 없으며, 관객들은 인간의 경험과 무관한 컴퓨터 생성 콘텐츠에 관심이 없다"고 지적했다. SAG-AFTRA는 AI 배우의 등장이 배우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인간의 예술성을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라고 경고했다..

 


벨던은 쏟아지는 비판에 대해 노우드가 "인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창작물이자 예술 작품"이라고 항변했다. 그녀는 AI를 "새로운 수단"으로 정의하며, 상상력을 자극하고 이야기를 창조하는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현재 벌어지는 논란이야말로 창의성의 본질적인 힘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AI 여배우의 등장은 할리우드에 기술 발전이 가져올 예술의 본질과 인간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으며, 앞으로 이 논란이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강서 치킨도 못 시키는데"…'관광 100조' 구호가 무색한 K-관광의 현실

장벽에 부딪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강국'이라는 명성이 무색하게, 실질적인 관광 소비를 가로막는 걸림돌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정연욱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관광객이 꼽은 한국 여행의 가장 큰 불편함은 교통(19.7%)이었다. 음식(13.5%), 언어(13.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정 의원은 "한강에서 치킨 한 마리 시켜 먹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소비 자체가 막히는 구조적 문제"라고 꼬집었다.특히 전 세계적인 흐름에 뒤처진 결제 시스템이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전 세계 오프라인 결제의 74%가 비접촉식(EMV) 방식인 반면, 한국의 보급률은 10% 수준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애플페이나 구글페이 등 해외 결제 서비스가 국내 매장에서 '먹통'이 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교통 시스템 역시 낡은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티머니 교통카드는 해외 신용카드로 충전이 불가능하며, 아이폰 이용자는 모바일 티머니를 사용할 수 없다. 런던, 뉴욕 등 세계 주요 도시들이 십수 년 전부터 해외 카드 한 장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한 것과 대조적이다.정 의원은 "K-콘텐츠는 국경을 넘었지만, K-서비스는 국경 안에 갇혀 있다"고 비판하며, "관광공사는 홍보 포스터를 만들기 전에 관광객이 실제로 돈을 쓸 수 있는 시스템부터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는 "한류 열풍을 내세우기 전에 외국인들이 겪는 불편부터 해소해야 '다시 찾고 싶은 나라'가 될 수 있다"며, 정부가 공허한 목표 수치보다 실질적인 이용 환경 개선에 집중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